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EKCI등재

        고추중의 Capsaicin 정량에 관한 연구

        이태영,박성오 한국농화학회 1963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Appl Biol Chem) Vol.4 No.1

        Various species of the genus Capsicum contain in their fruits an intensively sharp and pungent substance, Capsaicin, which was first isolated in an almost pure state by Thresh. Containing the pungent principle, Capsicums are used extensively in food as a spice and in medicine as a rubefacient and carminative. Numerous methods have been proposed for the isolation, the chemical structure and the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Capsaicin. Modifying the several methods described before, the Capsaicin contents in various species of the genus Capsicum were determined as follows. (1) The isolation of pure Capsaicin was the essential first step for the determination of Capsaicin contents. Powdered cayenne pepper was extracted with acetone. By the method of ether alkali partition extraction slightly modified at this laboratory and by the recrystallization with light petroleum ether that was repeated ten times, the pure crystalline Capsaicin was obtained. Using this Capsaicin, the standard absorption curve was drawn with Beckman spectrophotometer model DU for the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Capsaicin. (2) The powdered sample was extracted in a Soxhlet extractor with ether-acetone solvent system (3 : 1) for 25 hours. Capsaicin in this ether-acetone extracts was efficiently separated in a pure state by paper partition chromatography using 58% methanol solution as developing agent. It was found that 58% methanol was one of the most valuable solvent to separate Capsaicin from impurities such as sterols, fatty acids, waxes and carotenoid pigments. (3) The colorimetric method modifying the Schulte-Kruger's method which consists of measuring the red color produced with diazobenzenesulphonic acid was used. Capsaicin in various species of the genus Capsicum was determined quantitatively with use of Beckman spectrophotometer model DU at 480 mμ.

      • KCI등재

        한국어 정보화의 방향과 과제

        이태영 한글학회 2008 한글 Vol.- No.282

        This thesis is intended to research into the direction, subject of computer-processing in Korean language corpus. already we had a very great corpus that was builted about ten years. but we have not made the synthetic use of various corpus as like a historical corpus, dialect corpus, modern corpus, literature corpus. therefore this thesis emphasize the necessity for synthetic, efficient application of various corpus. we must make an effort to accomplish a through study by completing the work of tag corpus as soon as possible. The most meaningful parts consist of two subjects : Firstly, the synthetic searching is very important to us for precise analysis of materials and various corpus. Secondly, we surely must have tag corpus in historical study of korean language because of a systematic research is possible. In conclusion, it is desirable that Korean language researches in this information-oriented age must be done through building synthetic corpus as well as doing the efficient application for raw corpus and tag corpus. 이 논문은 한국어 정보화 사업의 성과를 돌아보면서 정보화의 방향과 과제를 살펴보려 한 논문이다. 여러 가지의 방향이 있겠지만 필자는 통합 검색과 주석 말뭉치 구축 문제에 초점을 맞추었다. 한국어의 정보화 사업은 그간 말뭉치를 구축하는 데 힘을 써 왔다. 그리하여 국어사 말뭉치, 방언 말뭉치, 현대국어 말뭉치 등을 구축하고, 주석 말뭉치와 병렬 말뭉치를 일부분 구축하였다. 그러나 이처럼 많은 말뭉치가 국가적으로 또는 개인이나 용역 사업을 통하여 구축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국어 연구에서 크게 활용하지 않고 있다. 그 이유는 말뭉치의 대부분이 원시 말뭉치이어서 정확한 예문을 추출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이제 우리는 그간 구축한 말뭉치를 한꺼번에 검색할 수 있도록 통합 말뭉치를 구축해야 하고 통합적 검색을 통하여 보다 정확하게 제시할 수 있는 예를 추출하여야 하고 체계적으로 연구하는 풍토를 가져야 한다. 국어사 연구와 방언 연구, 현대국어 연구가 서로 상보적으로 연결되어 도움을 주어야 하는데 따로 연구가 진행되는 이유도 바로 통합적 검색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주석 말뭉치를 구축하는 일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그러나 국어 정보화가 성공하려면 반드시 거쳐 가야 하는 관문이다. 원시 말뭉치의 한계를 극복하고 매우 정밀하게 국어학을 연구하려면 반드시 형태소 분석이 된 말뭉치, 문장 분석이 된 말뭉치, 의미 분석이 된 말뭉치를 구축해야 한다. 그래야만 정확한 예문을 통하여 새로운 국어 현상을 밝혀 낼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초등학생의 실과 문제해결 활동에 관한 질적 탐구

        이태영,송현순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1 實科敎育硏究 Vol.17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실과 문제해결 과정에서 초등학생이 사용하는 전략을 확인하고, 이러한 실과 문제해결에서 초등학생이 경험한 것들이 어떠한 의미가 있는 지를 귀납적으로 알아보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 김포시 M초등학교 6학년 학생 10명을 대상으로 일정한 조건 속에서 i 신문지를 이용하여 가방 만들기 I를 문제로 제시하고 학생들의 문제해결 과정을 질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실과 문제를 해결하면서 크게 네 가지 전략을 사용하였는데 이를 정리하면 메타인지, 맥락화 하기, 경험칙 전략, 자기평가로 나타났다. 둘째, 학생들은 직접 활동하고 체험하는 실과 문제를 해결하면서 여러 가지 의미 있는 경험을 하였는데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보면 학생들은 실과 문제를 해결하면서 잠재되어 있는 능력들을 직접 활용해보는 경험을 하게 되었고y 학생들은 실과 문제를 해결하면서 직접 활동하고 체험함으로써 시행착오를 거치며 새로운 방법들을 발견하고 다양한 지식을 습득하게 되었으며 I 학생들은 자신의 문제해결 과정과 결과를 되돌아보며, 반성적 사고를 할 기회를 가졌으며 정의적으로 긍정적인 변화가 일어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trategies that elementary school children use in their practical arts problem solving process and to examine inductively the meanings of what the children experiences from solving practical arts problems. For this purpose, following the qualitative research procedure, we presented students with problem 'Making a bag with newspaper' under a specific condition, collected data through observing their problem solving process, and analyzed the data.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0 sixth graders at M Elementary School.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ink aloud, observations, interviews and free form essays. Finding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A. What strategies do elementary school children use in solving a practical arts problem? The students used largely four strategies to solve the practical arts problem, which were meta cognition, contextualization, empirical rule, and self evaluation. B. what do elementary school children experience from a practical arts problem solving activity? Not as in other curriculums, the students had various meaningful experiences while solving the practical arts problem, which provided them with opportunities to work by themselv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