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정진바라밀의 교육학적 함의

        이치형 한국도덕교육학회 2022 道德敎育硏究 Vol.34 No.3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larify that education is the very job of teaching the subject(wholeness), which requires a long and long ‘effort’ called ‘study’(工夫) and that ‘patience’ or ‘diligence and sincerity’ to support it are the very principles. In order to clarify that, this article attempted to find an answer to it by analyzing the concept of ‘vῑrya(精進) and vῑrya-pāramitā(精進波羅蜜)’, which were important in Buddhist practice, focusing on the fact that education(the process of education) is similar to Buddhist practice. To this end, in the process of reviewing studies on modern educational theory(principle), based on articles that emphasize ‘patience, repetition, and (sudden enlightenment)gradual cultivation’, the ‘differentiation-related’ of ‘vῑrya and vῑrya-pāramitā’ was carefully examined. Therefore, the conclusion drawn from this article was that vῑrya-pāramitā cannot be achieved without efforts and patience called vῑrya, and that also means that vῑrya itself is not vῑrya-pāramitā. Therefore, it was also revealed that vῑrya-pāramitā is based on vῑrya, but a ‘process of qualitative transformation’ called ‘leap’ is required, which should be crucially important as the principle of education-leap as qualitative transformation. Nevertheless, in order for such a ‘qualitative leap’ to take place, it should be emphasized that it should not be forgotten that it is impossible without ‘efforts and perseverance’ or ‘diligence and sincerity’. 이 글의 목적은 교육은 ‘교과’(총체)를 가르치는 바로 그 일을 하는 것이며, 여기에는 소위 ‘공부’(工夫)라고 하는 지난하고 길고 긴 ‘노력’이 반드시 요구된다는 점과 그를 뒷받침할 수 있는 ‘인내’ 또는 ‘근면과 성실’이 바로 그 원리가 된다는 점을 밝히는 데에 있다. 이를 밝히기 위하여, 이 글에서는 교육(교육의 과정)은 곧 불교수행과 유사하다는 점에 착안하여, 불교수행에서 중요시된 ‘정진과 정진바라밀’ 개념을 분석함으로써 그에 대한 해답을 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현대의 교육이론(원리)에 관한 연구들을 검토하는 과정에서 ‘인내와 반복, 그리고 (돈오)점수’를 강조하는 글들을 바탕으로 하여 ‘정진과 정진바라밀’의 ‘구분과 관련’을 밀도 있게 점검해 보았다. 그리하여 이 글에서 도출된 결론은 정진바라밀은 정진이라고 하는 노력과 인내가 없이는 이루어질 수 없는 것이며, 그렇다고 하여 또한 정진 그 자체가 정진바라밀은 아니라는 점이었다. 따라서 정진바라밀은 정진을 ‘기반’으로 하되, 반드시 ‘도약’이라고 하는 ‘질적 전환의 과정’이 요구되며, 이는 결정적으로 교육의 원리―질적 전환으로서의 도약―로서 중요시되어야 한다는 점 또한 밝혀 보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러한 ‘질적 도약’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역시나 ‘노력과 인내’ 또는 ‘근면과 성실’로 대변되는 ‘정진’ 없이는 불가능하다는 점이 잊혀서는 안 된다는 것이 강조되어야 한다.

      • KCI등재후보

        Spontaneous Spinal Epidural Hematoma Coexisting Guillan-Barre΄ Syndrome in a Child: A Case Report

        이치형,송근성,김영하,손동욱,이상원 대한척추신경외과학회 2016 Neurospine Vol.13 No.3

        Spontaneous spinal epidural hematoma (SSEH) has been reported as a rare cause of spinal cord compression, especially in children. Clinical features are usually nonspecific, although cervicothoracic location of hematoma could be presented with progressive paraplegia. Guillian-Barré syndrome (GBS) is clinically defined as an acute peripheral neuropathy causing progressive limb weakness. Because SSEH and GBS have very similar signs and symptoms, SSEH could be misdiagnosed as GBS. Nevertheless, they can be presented together. We describe a rare case of SSEH coexisting with GBS.

      • KCI등재

        괴델 불완전성 정리의 교육학적 함의

        이치형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19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3 No.4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Gödel's incompleteness theorem. Gödel's incompleteness theorem is that it proves incompleteness in preparation for completeness in Hilbert's program in mathematical logic history, but the implication of this proof should be seen as pioneering the 'area of intuition' through logical proof in our thinking system by proving the limit of inferential thinking. Gödel's proof itself would have to be treated in the field of mathematical logic, but the wavelengths that this proof will bring are never just mathematical discussions. A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 Gödel’s incompleteness theorem induces in-depth explor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reasoning and intuition in our cognitive system, and suggests alternatives to how to treat it when inferential thinking encounters paradox. This clarifies the distinction between areas that can be accessed through inferential thinking and areas that can be accessed through intuition in education, and also explores how the role of teachers can work in the areas of intuition. This discussion finally concluded that the purpose of education is ultimately concluded as an absolute purpose as a cultivation of mind [whole man]. 본 연구는 괴델의 불완전성 정리의 교육학적 함의를 탐색하는 데 있다. 괴델의 불완전성 정리는 수리 논리학사에서 힐베르트 프로그램에서의 완전성에 대비하여 불완전성을 증명한 것으로 되어 있지만, 이 증명의 함의는 오히려 ‘추론적 사고의 한계’를 명확히 함으로써, 우리의 사고체계에서 ‘직관의 영역’[초월]을 논리적 증명의 형식을 통하여 개척하고 있다고 보아야 한다. 괴델의 증명 자체는 수리 논리학 분야에서 취급해야 할 것이지만, 이 증명이 불러올 파장은 결코 수리학적 논의에 그치지 않는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지듯이, 괴델의 불완전성 정리는 우리의 인식체계에서 ‘추론과 직관’의 관련을 심도 있게 탐색하도록 유도하며, 한편으로 추론적 사고가 역설(파라독스)에 부딪혔을 때, 이를 어떻게 취급할 것인가에 대한 대안을 제시한다고 할 수 있다. 이는 교육에서 ‘추론적 사고’를 통해 접근할 수 있는 영역과 ‘직관’을 통해 접근할 수 있는 영역의 구분을 명확히 해주며, 또한 직관의 영역에서 교사의 역할이 어떻게 작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탐구를 모색하게 한다.

      • KCI등재

        Relationship between 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 Fractional Anisotropy Value of Diffusion Tensor Image in Brain White Matter Region

        이치형,김경립,곽종혁,Lee, Chi Hyung,Kim, Gyeong Rip,Kwak, Jong Hyeok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2022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16 No.5

        Magnetic resonance diffusion tensor imaging (DTI) has revealed the disruption of brain white matter microstructure in normal aging and alcoholism undetectable with conventional structural MR imaging. we plan to analyze the FA measurements of the ROI of dangerous drinkers selected from 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 (AUDIT) and Tract-Based Spatial Statics (TBSS) tool was used to extract FA values in the ROI from the image acquired through the pre-processing process. TBSS has a higher sensitivity of the FA value and MD value in the white matter than the brain gray matter, and has the advantage of quantitatively deriving the unlimited degree of brain nerve fibers, and more specialized in the brain white matter. We plan to analyze the fractional anisotropy (FA) measurement value for damage by selecting the center of the anatomical structure of the white matter region of the brain with high anisotropy among the brain neural networks that are particularly vulnerable to alcohol as the region of interest (ROI). In this study, we expected that alcohol causes damage to the brain white matter microstructure from FA value in various areas including both Choroid plexus. Especially, In the case of the moderate drunker, the mean value of FA in Lt, Rt. Choroid plexus was 0.2831 and 0.2872, whereas, in the case of the severe drunker, the mean value of FA was 0.1972 and 0.1936. We found that the higher the score on the AUDIT scale, the lower the FA value in ROI region of the brain white matter. Using the AUDIT scale, the guideline for the FA value of DTI can be presented, and it is possible to select a significant number of potentially severe drinkers. In other words, AUDIT was proved as useful tool in screening and discrimination of severe drunker through DTI.

      • 교사의 실존: 수행론적 관점에서 본 ‘수업과 인성교육’

        이치형 전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1 미래융합교육 Vol.2 No.1

        이 글의 목적은 ‘교사의 삶’을 그 핵심적 활동이라고 할 수 있는 ‘수업’과 관련하여 파악함으로써, 수 행론적 관점에서 교사의 실존―수업하는 사람―과 학생의 ‘인성교육’과의 관련을 모색하는 데 있다. 말 하자면, 교사의 실존은 수업에서 ‘간접전달’[복제]로 발현되며, 수업에 임하는 교사의 태도 또는 그의 실 존에 의해 여타의 교사의 활동과 차별화되는 수업의 성격을 ‘수행론적 맥락’에서 규정함으로써, 이를 통 해 학생들이 수업에 의해 ‘인성적 측면’에서 어떤 영향이 있을지를 탐색하였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규 명작업으로 키에르케고르의 실존 개념을 교육학적으로 해석한 연구들에 의존하여 ‘수업하는 사람’으로서 의 교사의 간접전달 개념을 알아보고, 이를 불교수행론, 즉 유식학적 관점에서 파악되는 ‘전의’(轉依)개 념에 의해 교사의 수업은 ‘수행론의 맥락’에서 탐색될 수 있음을 밝혀보았다. 본 연구에 따르면, 교사의 수업은 수행의 관점에서 규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규정에 의하면 수업과 교사의 삶은 별개의 활동으로 볼 수 없으며, 이러할 때, 교사의 수업은 기술공학적 수준에서 예술적⋅종교적 수준으로 이행이 가능하 며, 또한 이를 통해 학생의 인성교육에 교과교육 또는 수업활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보다 구체적인 설명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이렇게 규정된 교사와 수업의 관련이 학생의 ‘인성적 측면’에 어떤 영향 을 미칠 수 있는지 구체적인 예를 통해 제시해 보았다.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