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리학에서 기질과 기질변화의 의미 -주렴계와 주자의 기질변화론을 중심으로-

        이치억 ( Lee Chi-eok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9 儒學硏究 Vol.48 No.-

        기질의 문제는 리기(理氣)나 성리(性理) 같은 주제에 비해, 철학적 논의 상에서 그다지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지는 않지만, 실제 공부론 상에서는 매우 중요한 위치를 점한다. 주자를 비롯한 그 계통의 성리학자들은 “사람이 학문을 하는 이유는 기품을 변화시키고자 하는 것”이라고 할 만큼 기질변화를 중시했다. 성리학의 기질변화론은 이론상 크게 두 방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첫째는 기질을 맑은 상태로 정화시키고자 하는 것이며, 둘째는 기질의 치우침을 극복하고 ‘중(中)’의 상태로 이끌어가고자 하는 것이다. 전자는 주로 물의 정화에 비유되는데, 탁한 물을 정화하여 맑은 상태로 돌리면 그 안에 있는 구슬이 영롱하게 드러나는 것과 같은 이치로, 본성의 막히거나 가림 없이 드러나게 하고자 하는 공부이다. 이는 기질을 맑게 한다는 의미에서 ‘기질의 정화’라고 표현할 수 있다. 이에 비해 후자는 기질이 어느 한쪽에 치우치지 않고 ‘중(中)’을 유지할 수 있도록 기질 그 자체를 손보는 방식으로서, 이를 ‘기질의 중화(中和)’라고 표현할 만하다. 그러나 이 둘은 마치 『중용』의 ‘자성명, 자명성(自誠明, 自明誠)’과 유사한 논리구조를 가진다. 기질변화는 지적·실천적 능력을 극대화하는 것과 도덕적 성향·성품의 편향성을 극복하려는 것으로 집약되지만, 실질적인 의미에서 기질변화는 이 둘 중 후자를 가리키는 것이 된다. 왜냐하면 전자는 기질 자체의 변화라기보다는 그야말로 능력의 극대화를 가리키는 것이기 때문이다. 한편 전통 성리학에서 구체적으로 명시되지는 않았지만, 개인의 고유한 성격의 변화를 요구하는 것은 아닌 것으로 판단된다. The problem of temperament is not much of importance in Philosophical discussion compared to subjects such as liqi and Xingli. However, temperament is of great importance in practical study theory. “The reason people study is because they want to change their temper.” the scholars said. The theory of change in temperament in neo-Confucianism is pursued in two directions. The first is to purify the temperament in a clear state. The second is to overcome the bias of temperament and lead it to a state of the middle path. The former is the study that purifies the murky water and turn it to a clear state, as the bead in it is brilliantly revealed. The latter is the study of maintaining without bias toward the path of nature itself. While the ultimate purpose of temperament change is to realize bright nature intact without obstruction of temperament, it goes through two processes specifically. It is to maximize intellectual and practical ability and overcome bias in inclination and character. The purification of temperament and the realization of Zhong are in sync with the orientation of the theory of temperament change.

      • KCI등재

        공자사상에서 호학(好學)의 의미와 중요성

        이치억 ( Lee Chi-eok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9 儒學硏究 Vol.46 No.-

        공자사상에서 ‘학(學)’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15세에 ‘학(學)’에 뜻을 두었다.”라고 한 공자의 자술(自述)에서 알 수 있듯, ‘학’은 단순히 목적의 성취를 위한 수단이나 방법, 도구가 아니라, 그 자체로 독립적인 의미를 갖는 자기목적적인 행위이다. 공자에게서 ‘학’은 자기 자신의 변화와 성장, 인간으로서의 완성을 위한 유일하고 확실한 방법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공자에게서 ‘호학(好學)’ 또한 중요한 의미를 함의하게 된다. 호학은 오늘날의 단지 공부하는 것을 좋아한다는 의미만을 가지는 것이 아니다. 공자에게 호학은 인간 심연의 변화와 성인에의 성취 가능성을 내포한다. 이러한 의미로 공자는 ‘호학’이라는 말을 자기 자신을 특징적으로 표현하는 ‘겸사(謙辭)’인 동시에, 제자를 칭찬하는 ‘찬사(讚辭)’로 사용했다. 공자는 제자를 일률적 잣대로 성취의 정도를 평가하지 않고, 성취의 가능성으로서 ‘호학’을 중시했다. 또한 본인 스스로 원숙한 단계의 성취를 이루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스스로를 ‘배움을 좋아하는 사람’으로 칭했다. 공자에게서 ‘호학’은 자기 자신을 완성하고 또 타인을 성취시켜주는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호학’은 배우는 자에 대한 일률적이고 결과론적인 평가를 지양하고, 개인의 자질과 재능에 따른 자율적 학습과 성취를 고양시킨다는 점에서 오늘날에도 중요한 의의를 가질 수 있다. In the teachings of Confucius, ‘learning’ has a significant meaning. As appears by his saying, he himself had aspired learning at the age of 15. ‘Learning’ is not just a means or a demonstration for achieving the purpose, but a self-purpose act that has sufficient meaning in itself. What ‘Learning’ is to Confucius is the only and certain way to grow, change, and complete oneself. Therefore, ‘Love of Learning’ implies an important meaning. ‘Love of Learning’ does not mean today that it just likes to study. To Confucius, ‘Love of Learning’ implies a change in human abyss and the possibility of a certain achievement in human mind. In this sense, Confucius also uses the word ‘Love of learning’ not only to humble himself, but also to praise his disciples. He did not evaluate his students on a uniform basis, but valued and emphasized ‘Love of Learning’ as the possibility of achievement. He also called himself a person who loved to learn, although he had already reached the self-completion. To Confucius, ‘Love of Learning’ implies the possibility of completing oneself and others. ‘Love of learning’ may still have significant implications today in that it eliminates a uniform and result-oriented assessment of the learner, and enhances individual learning and achievement based on personal qualities and talents.

      • KCI등재

        퇴계(退溪) 사칠론(四七論)에서 사단(四端)의 순선(純善)함에 대하여

        이치억 ( Lee Chi-eok ) 한국유교학회 2011 유교사상문화연구 Vol.45 No.-

        일반적으로 退溪 사상의 특성이 리의 능동성, 특히 사단칠정론에서 理發을 주장한 데 있다고 한다. 그러나 엄밀히 말하자면 퇴계-고봉의 사단칠정왕복서에 드러난 퇴계 사단칠정론의 독창성은 사단과 칠정을 리와 기에 분속한 것에 있고, 그 중에서 리발을 제창한 것이라기보다는 오히려 기발을 떼어낸 데 있다고 보여진다. 이는 주자학에 정통했던 고봉의 반론을 통해서도 알 수 있는데, 사단칠정왕복서에서 高峯이 문제 삼은 것은 리발이 아니라 오히려 기발에 있는 것이다. 퇴계가 기발을 따로 분리해 낸 것은 물론 기발을 중시해서가 아니라 리발인 사단의 순선함을 드러내고 확보하려는 데 그 의도가 있다. 퇴계의 논리에 따르면 도덕적 감정이라고 해서 모두 사단이라고 할 수 없으며, 칠정도 충분히 도덕적 감정일 수 있다고 한다. 그러면서도 한편으로는 사단과 칠정은 본질적으로 다른 감정임을 주장한다. 즉 사단과 칠정의 분계점은 선과 악, 내지는 도덕-비도덕의 감정이 아니라, 인간 심연의 본연적 감정인가, 자기중심의 기질적 감정인가 하는 것에 있는 것이다. 퇴계는 자기중심적 감정은 그것이 아무리 도덕적이라 하더라도 칠정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것으로 본다. 본 논문은 리의 능동성, 리발-기발이라고 하는 理氣論의 무게를 최대한 내려놓고 퇴계의 논리에 따라 그가 상정한 사단과 칠정의 범주와 의미를 살펴보는 데 중점을 두었다. In general, the specific character of Toegye’s Thought is known for spontaneity of li(理), namely ‘issuance of li’(li-fa 理發) which he argued in Four Seven debate. However, creativeness of Four Seven debate completed from separating and distributing Four Beginnings and Seven Feelings respectively to li(理) and qi(氣) preferably parting ‘issuance of qi’ rather than parting ‘issuance of li’.As a matter of fact, what became a controversy by Gobong in Letters of Four Seven debate was ‘issuance of qi’, not ‘issuance of li’. Toegye separated ‘issuance of qi’, not for its significance; he intended to reveal and assure ‘Purity of Four Beginnings’. According to Toegye’s argument, all moral feelings are not necessarily Four Beginnings whereas Seven Feelings are possibly all moral feelings. He indicated Four Beginnings and Seven Feelings are naturally different feelings. More precisely, the boundary of Four Beginnings and Seven Feelings is not good and evil, or moral and immoral feelings, it is rather feelings of human nature or feelings of egocentric temperament since Toegye considered that egocentric feelings with all its morality always categorized in Seven feeling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ocus on categories and meanings of Four Beginning and Seven Feelings according to Toegye’s argument, excluding a heavy dispute of ‘activeness of li’, ‘issuance of li’, and ‘issuance of qi’ as possible.

      • KCI등재

        퇴계 사칠론(四七論)에서 칠정본선(七情本善)의 의미

        이치억 ( Lee Chi-eok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6 儒學硏究 Vol.36 No.-

        退溪 四七論은 理發說 또는 四端 중심의 理氣互發說로 특징지어지며, 현대의 연구도 그것을 중심으로 하여 진행되어 왔다. 퇴계가 사단과 칠정을 理發과 氣發로 나눈 것은 도덕감정인 사단의 순선함을 확보하고, 기발인 칠정을 잘 제어하여 악으로 흐르지 않도록 하려는 의도였다는 것이다. 논자는 퇴계 사칠론의 특징이 리발을 제창한 것이라기보다는 오히려 ``性發爲情``의 전통 주자학적 구도 속에서 기발을 떼어내어 본 데 있다고 주장한 바 있다. 본 논문은 그 연장선상에서 ``칠정도 본래 선한 것[七情本善]``이라고 하는 퇴계의 언설을 해석해 보았다. 칠정이 기발이라고 하는 것은 그것을 사단의 공적인 감정과 대비되는 개인의 기질적 감정이기 때문이다. 이 칠정은 생명을 지켜주는 선한 감정인 동시에 악의 가능성을 지닌 양면성을 지니고 있지만, 퇴계는 전자에 무게중심을 두고 있다. 퇴계의 칠정론을 분석해 보면 다음과 같은 점이 드러난다. 첫째, 사단은 당연히 도덕감정이지만, 칠정 역시 도덕적일 수 있는 감정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 기발인 칠정은 근본적으로는 개체의 생명을 지켜주는 선한 감정이다. 다만 거기에 과불급이나 착각이 있을 경우 불선으로 흐를 가능성을 가질 뿐이다. 셋째, 따라서 기발 칠정의 감정은 결코 버리거나 억제해야 할 것이 아니다. 그 자체로 소중하며, 특히 삶의 행복과도 직결된 ``즐거움``을 가져다주는 감정인 것이다. 퇴계철학은 궁극적으로 즐거움을 추구한다. 인간은 리와 기의 합으로 구성된 존재이기에 仁義禮智의 본성에 충만한 理的 즐거움뿐만 아니라, 기질적 즐거움 또한 중요하며, 퇴계는 결코 이를 경시하지 않았다. 퇴계는 리발과 기발을 나누어 봄으로써 궁극적으로는 그 조화를 통해 인간은 도덕적이면서 동시에 즐거울 수 있다는 점을 증명해 보였다. Toegye`s Four Seven Debate is characterized ``li-qi mutual issuance principle(理氣互發說`` focused on Seven Feelings, which contemporary studies also emphasized as well. It is studied and researched that Toegye intented to split li(理)and qi(氣) to secure the pureness of Four Beginnings of moral feelings and to control Seven Feelings of ``issuance of qi(qi-fa 氣發)``. However, I have argued in my past research that the characteristic of Toegye` Four Seven Debate is signified by separating qi-fa from traditional neo-Confucian structure which insists ``human nature arousing feelings(性發爲情)``. In accordance with such an argument, this study attempts to interpret Toegye`s opinion that ``Seven Feelings are naturally virtuous.`` Toegye splitted Seven Feelings both li and qi due to susceptibility to become the source of evil, however, regulating those feelings would not be the only reason. By analyzing Toegye`s Seven Feelings argument, the following points would be expiscated. Firstly, Four Beginnings is surely moral feelings, but Seven Feelings is possibly moral feeling as well. Secondly, Seven Feelings, the issuance of qi, is innately virtuous and emanating based on li. That feelings is favourable to life. Only there exists a possibility to excess or deficiency and an illusion. Thirdly, thus, feelings in the issuance of qi and Seven feelings is not a subject to suppress or discard. Seven Feelings is feelings of ``joy`` directly connected to happiness of life, and extremely important per se. Toegye`s philosophy is not a stifling lecture of ethics. Ultimately, it pursues joy of life. Human beings feel through qi and due to qi. Obviously, joy does not mean indulgence and avarice. Toegye by splitting the issuance of li and the issuance of qi, proved that ultimately, by balancing those two human beings are able to become moral and joyful at the same time.

      • KCI등재

        대동사회(大同社會)의 철학적 기초로서 퇴계(退溪) 주리철학(主理哲學)

        이치억 ( Lee Chi-eok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7 儒學硏究 Vol.38 No.-

        대동사회(大同社會)는 모든 사람이 꿈꾸는 이상적인 사회이다. 그러나 그 실현가능성에 대해서 긍정적인 견해를 가진 사람은 많지 않다. 그러나 퇴계(退溪)는 대동사회에 대한 실현가능성을 의심치 않았다. 퇴계의 철학은 리(理)를 존숭하고 우위에 놓은 주리철학(主理哲學)으로 특징지어진다. 본 논문은 퇴계의 주리철학에 근거하여 그 사상에서 제시하고 있는 대동사회의 철학적 기초를 정리해 보았다. 퇴계의 리기론은 `리와 기는 하나가 아니다`, `리는 비어 있다`라고 하여 중용적 원칙을 위배한 듯 보인다. 그러나 퇴계는 이러한 이론에 근거하여 리의 절대성과 편재성, 만물의 가치적 동등성을 주장한다. 퇴계사상에서 세계는 하나의 리가 다양하게 드러난 곳[理一分殊]으로서, `만물은 함께 자라면서 서로를 해치지 않는` 존재이다. 그리고 동등한 가치를 가지는 다양한 존재 속에서 사람은 가장 빼어난 존재로서 가장 중한 책임을 가진다. 퇴계는 대동사회의 실현여부는 바로 사람이 사람이라는 이름에 걸맞는 책임을 완수하는가 달려 있다고 주장한다. 세상은 하나의 리가 다양한 모습으로 펼쳐지는 곳이며, 만물은 각자의 영역에서 보편성과 특수성을 온전히 유지하며 살아가는 것으로 이 세계에 기여하고 있다. 따라서 인간 또한 인간의 보편성인 사람다움과 개인의 특수성인 나다움을 온전히 실현함으로써 대동사회의 기반을 구축할 수 있는 것이다. Utopia is a society that everyone has dreamed of. Nevertheless, a positive view on its practical realization has been a few. Yet, Toegye had never doubted on its success. Toegey`s Philosophy is characterized by Zhuli philosophy that strongly emphasizes on its deep reverence for Li. This paper investigates the philosophical base of utopia by suggesting its thoughts of Toegye`s. In liqi theory of Toegye, it seems to be against the rule of middle path that `li is being empty.` `li and qi is not considered as one.` which seems to be against the rule of 중용 that `Li is being empty.` However, Toegye insists an equality of all things and the absoluteness and ubiquity of li based on such theory. In Toegye`s thought, the world is the emergence of Li and `all creations grow all together and never harm one another.` Also, among all creations with equal values human beings are charged with the most significant responsibility since they are the distinguished beings of all. Toegye claims that the success of utopia is up to human beings whether they have accomplished their own resposibilities or not. The whole world is where all creations contribute in various ways and maintain their universality and uniqueness, and live to devote the rest of the world in their own way. Therefore human beings are able to establish the foundation by wholly completing `being-a-self` of individual in an universality.

      • KCI등재

        자본주의 사회에서 다시 보는 맹자의 성선론

        이치억(Lee, Chi-eok) 한국국학진흥원 2020 국학연구 Vol.0 No.42

        유학의 본성론은 기본적으로 성선론이며 이 전통은 2500년 유학의 역사 동안 줄곧 이어져 왔다. 전통 유학에서 성선론은 너무나 명백한 진리이기 때문에 오히려 그 타당성에 대한 논의는 그다지 이루어지지 않았다. 하지만 현대에 들어오면 객관적 증거를 요구하는 학문 풍토로 인해 맹자 성선론의 타당성이 의문시되기도 했다. 과거는 차치하고라도 현대사회에서 맹자 성선론이 의심받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 환경적 요인과 내부적 요인이 있는 듯하다. 첫째, 환경적 요인으로서는 현대 자본주의와 관련된 것이다. 자본주의는 맹자 사상과는 정반대로 인간의 욕심을 미화하고 부추기는 쪽으로 나아간다. 자본주의 체제가 지속가능하기 위해서는 사람들이 더 많은 물질을 추구하고, 더 많은 생산과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하는 것이다. 당연히 인간의 물욕은 적극적으로 긍정될 뿐만 아니라 심지어 물욕이 그 자체로 선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상황이라면 당연히 성선론보다는 이기적 욕망을 반영한 성악설이 지지되는 것은 전혀 이상할 것이 없다. 둘째, 인간 내부적 요인으로서 성性에 대한 오해와 관련된 것이다. 가장 중요한 문제는 사람들이 본성이라는 말을 드러난 심리상태와 혼동하는 데서 기인한 것이다. 유학에서 말하는 성性은 결코 드러난 심心과는 다르다는 점을 인지해야 한다. 성은 심이 드러나는 원리이자 근거이다. 이에 더불어 과연 본성을 인의예지에 국한하는 것이 타당한가 하는 점도 성선론에 대한 불신의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두 가지 요인에서 볼 때, 성선론이 받아들여지지 않은 이유는 자본주의 사회의 일시적 현상이며, 따라서 이는 사회 변동에 따라 극복될 가능성을 충분히 가지고 있다. 또한 사람들이 성性에 대한 오해를 벗어날 수 있다면 성선론이 용이하게 받아들여질 수 있을 것이다. The theory of nature of Confucianism is basically Mengzi’s theory of human nature, and this tradition has continued throughout the history of Confucianism for 2500 years. In traditional Confucianism, Mengzi’s theory of human nature was so obvious that there was not much discussion of its validity. However, the validity of the theory of human nature was questioned due to the academic climate, which requires objective evidence in modern times. Aside from the past, there seem to be two main reasons why Mengzi’s theory of human nature is suspected in modern society, environmental and internal factors. First, it is related to modern capitalism as an environmental factor. In contrast to the idea of Mengzi’s theory of human nature, capitalism moves toward glorifying and encouraging human greed. For a capitalist system to be sustainable, it is necessary to let people pursue more materials, and make more production and consumption. Naturally, not only is human desire actively positive, but it is even a virtue in itself. Under these circumstances, it is no wonder that Mengzi’s theory of human nature, which reflects selfish desires rather than Mengzi’s theory, is supported. Second, it relates to misconceptions about the human nature as a human internal factor. The most important problem is that people confuse the word “nature” with the revealed psychological state. It should be recognized that nature which is spoken in Confucianism, is different from that of mind, which has been revealed. Human nature is both the principle and the basis for which the mind is revealed. In addition, the fact that it is reasonable to confine nature to it also contributes to distrust in the theory. In view of these two factors, the reason why this theory has not been accepted is the temporary phenomenon of capitalist society, and thus it has ample potential to be overcome by social fluctuations. Also, if people can get away with the misconception of human nature, theory can be easily accep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