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나오미의 신앙과 좌절

        이충열(Choong Ryeol Lee)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22 신학사상 Vol.- No.197

        이 논문은 모압을 떠나기로 한 나오미의 결단(룻 1:6-7)과 베들레헴에 도착하여 보인 나오미의 혼란스러운 모습(19-22절)에 대한 상호본문비평적 연구를 통하여 나오미의 신앙과 좌절을 고찰한다. 학자들은 룻기 1장 6-7절에서 나오미가 “들었다, 일어났다, 떠났다”에 주목하거나, 아니면 “돌아갔다”를 중요하게 생각했다. 그러나 주목해서 보아야 할 부분은 6-7절에 두 번 언급된, “돌아갔다”의 문맥에서 사용된 세 행동 동사“일어났다, 떠났다, 걸어갔다”이다. 그 세 행동 동사를 통하여 룻기 1장 6-7절은 출애굽기 12장 31절과 사무엘상 23장 13절을 문학적으로 인유한다는 점을 알 수 있는데, 이 세 행동 동사는 하나님의 특별한 역사하심에 대한 반응으로 사용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인유된 그 두 사건과 비교해 볼 때 나오미가 직접 하나님의 음성을 듣거나 그분의 놀라운 역사를 직접 보지 않고도 베들레헴으로 돌아가기로 결단을 내렸다는 것은 나오미의 신앙적인 모습을 더욱 부각하고 있다. 나오미와 관련하여 주목해 보아야 할 다른 부분은 베들레헴에 도착했을 때이다. 학자들은 베들레헴으로 돌아오는 중에 룻의 헌신적인 고백에 대한 나오미의 침묵(1:18)과 그 침묵이 베들레헴에 도착하여서도 지속된다는 점(1:19-22)에 주목했다. 첫 번째 침묵과 두 번째 침묵은 나오미가 룻을 무시하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결론적으로, 하나님의 역사하심을 듣고 베들레헴으로 돌아가려고 결심한 나오미의 신앙적인 모습과 얼마 지나지 않아 베들레헴에 도착하여 하나님을 원망하면서 룻을 배제한 채 대화를 나누는 모습을 통하여 혼란스러워하며 좌절하는 나오미를 보게 된다. 결국 모압을 떠났을 때와 베들레헴에 도착했을 때의 나오미의 모습은 하나님에 대한 여러 감정이 있는 인간의 현실적인 모습을 잘 보여주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Naomi’s faith and frustration through an intertextual study of Naomi’s decision to leave Moab (Ruth 1:6-7) and her agitated appearance upon her return to Bethlehem (1:19-22). Scholars have mainly focused on the importance of the verbs “heard”, “arose” and “left”, or on the verb “returned”, in Ruth 1:6-7. However, the three action verbs “arose”, “left” and “walked”, which were used in the context of the two occurrences of “return” in Ruth 1:6-7, are also noteworthy. Through these three action verbs, we can observe that Ruth 1:6-7 is alluding to Exodus 12:31 and Samuel 23:13. These verbs evince a response to God’s special providence. Comparing Naomi’s case to the two other incidents, we can see Naomi’s great faith through her decision to return to Bethlehem even without directly hearing God’s voice or witnessing miraculous works. Naomi’s arrival at Bethelehem is also of significance. Scholars have noted Naomi’s silence regarding Ruth’s commitment on their way back to Bethlehem (1:18) and the continuation of such silence even after the arrival in Bethlehem (1:19-22). The first and second silences shows Naomi’s disdain for Ruth. In sum, we see Naomi’s faithfulness to God through her decision to leave Moab upon hearing God’s care for His people in Bethlehem and her frustration upon her arrival at Bethlehem through her blaming God and her lack of mention of Ruth in her conversation with people. Thus, Ruth Chapter 1 portrays Naomi as a realistic human figure with ambivalent feelings toward God.

      • 한나는 왜 아들을 원했는가?: 새로운 세상에 대한 염원

        이충열(Choong-Ryeol Lee) 삼육대학교 미래사회와기독교연구소 2024 융합학문과 기독교 Vol.5 No.1

        본 연구는 한나의 기도(삼상 2:1-10)를 통하여 한나가 아들을 원했던 이유와 그 아들을 통해 궁극적으로 바랬던 것을 이해해 보고자 한다. 첫째, 한나가 살았던 사사시대의 정치적인 혼란함, 도덕적인 타락, 영적인 부패는 왕에 대한 열망을 증폭시켰음을 알 수 있다. 둘째, 한나가 간절히 원했던 아들을 낳은 후에 드린 찬송과 감사의 기도가 사무엘상 2장 1-10절이므로, 한나의 기도와 한나가 아들을 간절히 원한 이야기가 서로 연결되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사무엘상 2장 10절에 언급된 ‘왕’과 ‘기름부음을 받은 자’는 하나님에 의해 사무엘을 통하여 세워질 왕권제도를 복선하고 있다. 하나님의 마음에 합한 자인 다윗 왕으로 시작하여 그의 후손으로 이어지고, 다윗의 후손으로 오신 예수 그리스도가 세우실 하나님의 왕국으로 계속 확장하여 종말에 있을 마지막 심판 날에 그 나라의 궁극적인 완성이 이뤄질 것을 예고하는 것이다. 넷째, 한나와 다윗이 지은 두 시편은 사무엘서에서 중요한 해석학적 열쇠를 제공하는데, 그것은 비록 인간의 눈에는 의와 공의가 실천되지 않고 하나님의 주권이 없는 것처럼 보일지라도, 하나님의 주권은 여전히 역사하시며 그분이 선택하신 왕과 도래할 메시아를 통해 온 세상을 의와 공의로 통치하는 때가 올 것을 보여준다. 결론적으로 한나가 아들을 그렇게 간절히 원했던 것은 자신이 낳은 아들을 통해 펼쳐질 새로운 세상에 대한 염원과 기대 때문이었으며, 그 아들을 통해 세워지는 왕권제도를 통해 사사시대의 혼란함이 물러나고 온 세상이 의와 공의로 통치되는 평화의 역사가 이뤄질 것을 고대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will examine Hannah's prayer (1 Sam. 2:1-10) to understand why she wanted a son and what she ultimately hoped to accomplish through him. First, the political turmoil, moral decay, and spiritual corruption of the time of the Judges amplified the desire for a king. Second, Hannah’s prayer of praise and thanksgiving after the birth of her longed-for son is in 1 Samuel 2:1-10, so it is clear that Hannah's prayer is connected with the story of her longing for a son. Third, the “king” and “anointed one” mentioned in 1 Samuel 2:10 are referring to the institution of kingship that God would establish through Samuel. It would begin with King David, a man after God's own heart, continues with his descendants, and expands into the kingdom of God that Jesus Christ, a descendant of David, will establish, foreshadowing its ultimate consummation at the end of time on the day of the last judgment. Fourth, the two psalms of Hannah and David provide an important hermeneutical key to unlock the book of Samuel, showing that even though righteousness and justice are not practiced, the time will come when God will rule the whole world in righteousness and justice through His chosen king and the coming Messiah. In conclusion, Hannah’s desire for a son was due to her longing and anticipation of the new world that would unfold through her son, and that through the kingship system that would be established through her son, the chaos of the Judges would be put to rest and the whole world would be governed with righteousness and just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