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EKCI등재

        한국산 고구마의 화학적 조성에 관한 연구

        이춘영,김호식,김재욱 한국농화학회 1963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Appl Biol Chem) Vol.4 No.1

        For the studies an the Chemical compositions of Sweet potatoes grown in Korean soil, Suwon No. 118 and Suwon No. 147 were applied as the samples during growing period, and 15 varieties of sweet potatoes as the samples for comparisons among them. As the results ef the studies followings were obtained. Changes of the chemical compositions of root tuber during growing period. 1. Total weights of root tubers and mean weight per root tuber were increased gradually as grew with the values of Suwon No. 147 is higher than that of Suwon No. 118 except the weight of Suwon No. 147 on September 9. 2. The moisture content of the roots were fairy uniform. 3. While the starch contents and crude starch yield in the root tuber were gradually increased with almost parallel as grew except the values of Suwon No. 147 on September 7. were markedly higher. 4. The total weight of the Sweet potatoos per Dan-Bo (about 0.25 acre) showed increased values with Suwon No. 147 is higher than Suwon No. 118 except the unexpected lower weight of Suwon No. 147 on September 9. and the crude starch yield of Suwon No. 147 per Dan-Bo also showed higher values than that of Suwon No. 118 with almost parallel increase of them as they grew. 5. Reducing sugar contents of them showed gradual decreases at earlier stages then increases at latter stages as grew, and total sugar and sucrose of them also showed gradual increases except extremly higher contents of Suwon No. 147 and lover values of Suwon No. 118 on September 9. 6. Total protein and soluble protein contents of them showed that initial and last stages of the growth are in higher values but middle stages are fairy low values with a little changes of difference between total protein, and soluble protein. The comparisons among those varieties. 7. The moisture contents of root tuber varies from 63% to 72% among them. 8. The starch contents of Suwon No. 118 (23.9%) is highest value among them, Ko-Ke No. 14 and Won-Ki successively lower and Dae-Nong No. 45 is the lowest one. Crude starch yield (%) of Ko-Ke No. 14 and Won-Ki successively lower and Dae-Nong No. 45 is the lowest one. Crude starch yield (%) of Ko-Ke No. 147 is highest value, Suwon No. 118. Won-Ki are successively lower and Do-Ip is the lowest one. 9. Won-Ki is highest value in reducing sugar content, and Do-Ip No. 2 is lowest one in it. The sucrose content of Chil-Bok is highest and Won-Ki is lowest among them. Soluble total sugar content of Yu-Sim is in highest and Chun-Mi is in lowest value. 10. Total protein content showed that Suwon No. 147 is in highest value and Yu-Sim is in lowest one. On the other hand, soluble protein contents showed that Chil-Bok is in highest value and Yu-Sim is in lowest one.

      • KCI등재

        국악 가창수업의 문제점 및 지도 방안

        이춘영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07 국악교육연구 Vol.1 No.1

        좋은 수업을 하기 위해서는 좋은 내용의 교과서와 학습자료 및 교사의 적절한 학습지도 방법이 필 요하다. 이 글은 중학교 가창지도의 문제점과 해결방안을 찾아보고 교수ㆍ학습지도의 교사가 유의 할 점을 살펴보았다. 가창지도의 문제점으로는, 교사의 악곡에 대한 이해와 지식의 부족, 가창 설기능력 부족, 교과서 내 용의 오류 및 미흡함, 오선악보 표기의 한계로 인한 한국음악의 표현의 어려움, 수업용 시청각 자료 부족 및 교사용 지도서 내용의 미흡, 여러 장르의 다양한 악곡 중 어느 곡을 선택해야 하는지 선곡 의 어려움 등이 있다. 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체계적이고 충실한 내용의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자료가 필요하고 우수한 교사 배출을 위한 교사 양성기관의 교육과정내용의 충실화, 교사 재교육을 위한 프로그램 의 활성화 및 질적 제고가 필요하다. 또한 효과적인 수업자료의 개발과 개발된 교육자료의 공유 시 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이외에 충분한 기자재를 구비한 국악실과 교사의 열정이 더해진다면 수업 효과가 극대화 될 것이다. 가창 지도시 교사가 유의할 점으로는, 수업내용을 학생의 수준에 맞추어 악곡에 따라 기초적 내용 부터 차근차근 지도하며, 노래를 부르기 전에 가사의 뜻을 음미하고 여러번 듣는 악곡탐색 과정을 거친다. 가락을 익힐 때는 가락선 악보를 사용하거나 쉬운 부분부터 노래하면 효과적이다. 이외에 신체표현을 통해 음악이해를 돕고 칭찬을 통해 학생들에게 자신감을 주면 교수학습에 도움이 될 것이다. Good textbooks and materials are essential sources for successful teaching.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problems in vocal training at middle school and its resolution. Also I searched for what music teachers should keep in mind during the class. There are many kinds of problems coaching in singing. For example teachers' shortage of understanding and knowledge of musical compositions, and teachers' shortage of singing ability, the errors of textbook, the difficulty of expressing Korean music due to the restriction of marking staff notation, the insufficiency of teaching audio-visual materials and teachers' guidebooks that leave much to be desired and difficulty of choosing songs to teach and so on. To solve these problems, we need good textbooks and teachers' guidebooks, the faithful curriculum for producing good teachers and the program of re-educating teachers. Also we have to construct the system of share effective teaching materials. It will be better if there are Korean classical music rooms that have sufficient equipments and teachers' passion for teaching. To achieve good results from singing lesson for Korean Music, teachers have to lesson according to students' learning ability and let the students think of the words of songs and listen to the songs many times. It is effective to use Garakseon notation and let students sing from easy part in learning melody. Finally it is helpful to use body expressions for the understanding songs and to encourage students by praising them.

      • KCI등재
      • SCIEKCI등재

        쌀단백질에 관한 연구(제2보) : 갱나수륙도(粳나水陸稻)의 미단백질 획분정량 Fractionation of Rice protein of upland and paddy rice with waxy and nonwaxy types

        이춘영,김수일,김성곤 한국농화학회 1969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Appl Biol Chem) Vol.12 No.1

        The fractions of protein, albumin, globulin, oryzenin, and prolamine extracted from 20 varieties of rice were determined, which include upland and paddy rice with both waxy and nonwaxy types. The protein content is higher in the waxy type and especially in upland rice. The content of oryzenin and albumin were likewise higher in the waxy and upland types. The results were discussed in the view point of nutrition.

      • KCI등재

        ≪설문해자(說文解字)≫ 정전(正篆)과 인용문(引用文) 독약자(讀若字)의 관계 탐석(探析)

        李春永 영남중국어문학회 2020 중국어문학 Vol.0 No.85

        ZhengZhuan(正篆) included in the ShuowenJiezi(說文解字) is written in Sound, and 49 of ZhengZhuan(正篆) quote the phrase of Confucian scriptures. In addition, Chinese Characters in the phrase use DuRuozi(讀若字). There are DuRuo(讀若), DuYu(讀與) and DuYouRuo(讀又若) in the phonetic language of these materials. The 經典 phrases quote 3 phrases in LunYu(論語), 20 phrases in ShiJing(詩經), 4 phrase in ShuJing(書經), 9 phrases in Yi(易), 9 phrases in ChunQiuZuoZhuan(春秋左傳), 1 phrase in ChunQiuGongYangZhuan(春秋公羊傳), 3 phrases in ErYa(爾雅). Quoting the Confucian scriptures phrase has the effects of limiting the sound of the DuoYinZi(多音字) and making the meaning more clearly. This emphasis great value of the academic achievements of the XuShen(許愼), who is one of the outstanding literary arts scholars at the time. In the DuRuoZi(讀若字) of the quoted construction, there are 20 Chinese characters with the same pronunciation and different shapes, 7 Chinese characters with the same pronunciation and the same shape, 1 JiaJieZi(假借字) with the same pronunciation, 19 Chinese characters of the same ShengFu(聲符), and 2 Chinese characters with similar pronunciation. From this, it can be seen that XuShen(許愼) attempted to express the pronunciation of Chinese Characters as clearly as possible by quoting the phrase of Confucian scriptures in the pronunciation of ShuowenJiezi(說文解字). Also, through the pron- unciation relationship between ZhengZhuan(正篆) and DuRuozi(讀若字), it is clearly shown that the basic function of ShuowenJiezi(說文解字) ‘DuRuo(讀若)’ is in the pronunciation notation.

      • SCIEKCI등재

        쌀 단백질 : 그의 조성 · 구조 · 소재와 생합성

        이춘영,김성곤 한국농화학회 1977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Appl Biol Chem) Vol.20 No.1

        Some of the recent developments and studies in the area of rice protein are reviewed. Protein content and amino acid composition of rice are briefly described. Emphasis is given to characterization of rice protein fractions, effects of protein content on grain properties and lysine content of rice, occurence of protein in rice grain and biosynthesis of protein during grain development.

      • 녹두(Phaseolus aureus)와 팥(Phaseolus angularis)의 저장단백질의 분리와 그 특성에 관하여

        이춘영,김수언,유기중,Lee, Chun-Yung,Kim, Soo-Un,Yoo, Ki-Jung 생화학분자생물학회 1978 한국생화학회지 Vol.11 No.3

        녹두(P.aureus)와 팥(P.angularis)의 저장단백질을 Sephadex G-150으로 크로마토그라피하여 분리하고 그의 전기영동상 특성을 연구하였다. 분리된 단백질은 잠정적으로 Fl globulin 과 F2 globulin 으로 명명하였는데 각각 legumin과 vicilin으로 동정되었다. F2 globulin은 주 저장단백질로서 당단백질이었으며 disc-전기영동에서 확산된 하나의 분리대로 나타났다. 한편 SDS-전기영동과 PAW-전기영동에서는 작은 분리대 몇개가 주분리대와 함께 나타났다. SDS-전기영동에서 나타난 다섯 주분리대의 겉보기 분자량은 녹두에서 64,000, 53,000, 50,000, 27,000 그러고 23,400 이었으며 팥에서는 55,300, 53,000, 29,600, 26,600 그리고 25,000 이었다. A successful fractionation of the storage proteins in mung bean (P. aureus) and small red bean (P. angularis) seeds with chromatography on Sephadex G-150 was attained. Isolated proteins, tentatively designated as F2 globulin and F1 globulin, were classified as vicilin and presumably as legumin, respectively. Disc-PAGE of the major storage protein, F2 globulin, displayed a diffused band stained with periodic acid-Schiff's base reagent. However, SDS-PAGE demonstrated the faint bands besides five major bands. Apparent molecular weights of each subunit determined with SDS-PAGE were 64,000, 53,000, 50,000, 27,000 and 23,400 in F2 globulin of the mung bean and 55,300, 53,000 29,600, 26,600 and 25,000 in small red bean.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후보

        감상 학습을 위한 수업모형 연구

        이춘영 한국국악교육학회 2000 국악교육 Vol.18 No.-

        우리 전통 성악곡 중 하나인 정가의 아름다움은 다른 성악곡이 따르지 못한다. 그 중에서도 가곡은 선율의 유려함과 형식미, 자연스런 창법과 발음법, 반주와의 조화, 시김새의 맛깔나는 표현, 남녀창의 경우 선율진행의 조화와 대비, 소리의 세기의 조절과 절정의 표현, 긴장과 이완의 효과적 짜임 등을 두로 갖춘 빼어난 음악이다. 학생들에게 이러한 가곡의 아름다움을 경험하게 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먼저 감상을 통한 학습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여창가곡의 특징이 잘 드러난 곡 우락 ‘바람은’과 유일한 남녀창인 ‘태평가’를 택하여 분석하고 수업모형을 제시하였다. 가곡 감상학습을 함에 있어 우선 가사 읽기를 하여 가사에 대한 이해를 하고 악곡의 장단을 알아 본 후, 가사를 읽으며 장단을 치게 하고 이후 시김새의 종류를 알고난 후 시김새의 표현을 익히고 그에 맞는 손동작으로 나타내 보도록 하여 시김새의 이해를 돕는다. 이후 악곡을 들으면서 순수하게 겉소리만 사용하여 소리를 내는 남창의 창법과 겉소리와 속소리를 조화롭게 사용하는 여창의 창법의 차이를 인식하도록 한다. 악곡 전체를 다시 들으면서 몸동작으로 표현하여 보거나, 선율선을 그려 보거나 시김새에 맞는 모양을 그림으로 표시해 본다(관현악 반주에서는 강하게 들려오는 거문고 선율에 명암을 주는 방법도 좋다). 반주악기 중 현악기와 관악기의 조화로움을 느껴보고 반주악기와 노래의 어울림 등에 주의를 기울여 듣도록 한다. 다음으로 가능하다면 악곡의 특징이 농축되어 들어있는 초장의 선율을 익혀 노래한다. 이때에는 긴 호흡의 가곡을 한번에 부르기가 어려우므로 선율선을 작은 부분으로 나누어 충분히 연습하도록 한다. 가락선을 익힌 후 가능하면 시김새 표현도 하게 한다. 가곡감상 후에는 가곡을 처음 접하는 학생들이 가곡에 대한 느낌을 발표하고 악곡을 익힌 후의 느낌을 발표하도록 하여 자신과 친구들의 의견을 교환하도록 한다. 감상학습을 하기 전 학생들이 가곡을 들어본 경험이 있는가를 질문하였더니 한 학급이 1, 2명이 있거나 전혀 없는 학급이 대부분이었고 악곡을 처음 들려준 후 느낌을 물었더니 좋다는 학생이 거의 없었다. 이유는 가사도 제대로 알아들을 수 없고 선율의 흐름이나 장단, 시김새 등 모든 것이 잘 이해가 되지 않는다는 의견이 대다수였다. 그러나 감상 학습 후에는 가곡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갖게 되었다고 하며 우리 성악곡에도 목 쉰소리나 거친 소리로 하는 노래만 있는 줄 알았더니 이런 노래도 있는 줄 처음 알았다고 대답하였으며, 2/3 정도의 학생들이 재미있으며 다시 듣고 싶다고 하였다. 이러한 지도 후에 연구자가 제언을 한다면 첫째, 음악교과서를 집필할 때 감상영역의 교육적 중요성에 비추어 체계적이고 균형을 이루는 악곡 선정이 필요하며 특히 성악부분은 민요나 판소리에 치우치는 경우가 많으므로 정가의 비중을 높여야 한다. 둘째, 정가 감상의 경우 악곡의 제목만 열거하거나 학습 목표도 표기되지 않은 채 간단한 설명에 그치는 경우가 많으므로 명확한 학습목표와 함께 깊이 있는 악곡설명이 필요하고 가곡 감상곡의 경우 시각적으로 음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도록 악보 전곡을 수록해야 한다. 이와 더불어 제재곡의 영상자료와 CD, 녹음테이프 등의 보급도 절실하다. 여창가곡은 한바탕 전곡 CD 자료가 있으나 남창은 연주회에서 자주 연주되는 몇몇 곡만 있을 뿐 전곡을 수록한 것을 구하기가 어렵다. 특히 영상자료는 학생들이 가곡을 연주하는 모습을 보고 들음으로써 반주 악기들의 특징과 음색을 더 쉽게 구별하고 반주의 중요성도 느낄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필요하다. 또한 교사는 학생들이 쉽고 재미있게 느낄 수 있는 가곡감상 기회를 갖도록 노력해야 한다. 이러한 기회를 통해 학생들이 가곡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갖게 되면, 차차 느린 음악이 가진 아름다움을 한껏 느낄 수 있는 이수대엽의 감상도 가능하게 될 것이며 나아가 가곡의 아름다움을 직접 표현할 수 있는 가곡 부르기도 할 수 있을 것이다. 학생들은 격조있고 폭넓은 음악체험을 통해 음악을 사랑하는 사람으로 성장할 것이며 우리 음악문화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