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대한국사회에서의 다문화 사례 및 유형 -「삼국사기」·「삼국유사」를 중심으로-

        이춘양(Li Chunyang),조지형(Cho Jihy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5

        외국인 300만 시대의 한국은 고정 관념으로 인하여 타문화에 대한 배제, 외국인에 대한 편견, 다문화에 대한 두려움이 결국에는 다문화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으로 전환되고, 자국민들의 다문화 수용성이 여전히 낮은 실정이다. 다문화 수용성을 향상 시키기 위하여 고정 관념을 타파하고 다문화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먼저 개선하여야 한다. 고대국가 대부분은 전쟁과 집단 이주, 무역·문화 교류 등으로 인하여 민족적 융합이 빈번하였으며 이는 전 세계적으로 존재하고 있는 보편적 특징이라 할 수도 있다. 한국 또한 그럴 것이라 가정하여 오늘날의 다문화의 시각으로 한국 고대 사회를 되돌아보고자, 연구자는 2018년 3월부터 12월까지 한국 고대사회 삼국사의 실상을 파악할 수 있는 삼국사기 및 삼국유사 를 중심으로 고대한국사회에서의 이주 민·귀화인 사례를 수집하여 통계하고, 반복적 비교분석법으로 이주 유형을 분석해 보았다. 최종적으로 택한 57사례를 분석한 결과, 첫째, 고대사회에서 이미 ‘난민 이주 유형’, ‘종교 전파 이주 유형’, ‘거주 이주 유형’, ‘결혼 이주 유형’ 및 ‘기타 이주 유형’ 등의 이주민 집단이 있었으며, 오늘날의 한국에서 체류하고 있는 이주민 집단과 매우 유사하다. 둘째, 이주민과 타문화의 유입은 고대 한국 사회의 발전, 기술의 진보, 문화의 번영, 국가의 안전 등 여러 측면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한국은 다문화 국가로서 다문화 시대, 세계화 시대에서 한 발 더 발전하려면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다문화 인식 개선을 위한 다문화 연구 및 다문화 교육은 불가피한 것이다. 이 연구가 한국 다문화 현상 연구 및 다문화 교육에 활용되는 기초자료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 다. 더 나아가 자국민의 고정 관념을 타파하고, 다문화 인식을 개선하여 한국민의 다문화 수용성을 증진시킬 수 있기를 기대한다. In South Korea, the foreign population will soon reach 3 million. Most experts and scholars share the view that South Korea is gradually entering the cultural society. However, Korean citizens multi-cultural tolerance is still very low. Rejection of other cultures, prejudice against foreigners and fear of multiculturalism resulted in a negative perception of multiculturalism. To improve the acceptability of multiculturalism, we should break with stereotypes and improve the negative perception of multiculturalism first. Most of the ancient countries had frequent ethnic fusion due to wars, mass migration, trade and cultural exchanges. This is a universal feature that exists all over the world.This study reviews that ancient Korean society at the perspective of today s multicultural perspective. After a statistical analysis of the immigrants and other cultural examples in the Samguksagi and Samgukyusa by the constant comparison method from March to December 2018, it is found that, firstly, ancient society has already seen the emergence of “refugee migration type”, “culture diffusion migration type”, “residence migration type”, “marriage migration type” “other migration type” and so on. Secondly, the influx of immigrants and other cultures has played a positive role in the development of ancient Korean society, technological progress, cultural prosperity, national security and other aspects. As a multicultural country, if South Korea wants to further develop in the multicultural era and the globalized era, it will inevitably carry out systematic and sustained multicultural research and multicultural education on the improvement of multi-cultural understand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multicultural social phenomena and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to change stereotypes of their own citizens, thus, improve multicultural awareness and raise the level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in the future.

      • KCI등재

        중국계 결혼이주여성의 자녀 모어 교육에 관한 연구

        이춘양(Chunyang Li),박미숙(Misuk Park)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계 결혼이주여성들이 자신의 모국어인 중국어를 자녀들에게 제2언어로 교육 하지 못하는 원인을 그들의 경험을 통하여 탐색하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 해 2017년 3월부터 2017년 6월까지 한국 거주한지 10년 이상 된 중국인 결혼이주여성 4명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하고 그 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결혼이주여성들이 자녀들에게 자신의 모국어 를 교육하지 못하는 요인은 크게 네 가지로 나타났다. 첫째, 결혼이주여성 자신이 한국 환경에 적응 하기 바빠 어려서부터 자녀에게 모어 가르치는 것을 소홀히 하였다. 둘째, 자녀들이 한국에서 살아가 야하기 때문에 중국어보다 한국어교육에 더 많이 신경 쓰고 있었다. 셋째, 어머니 나라의 부정적인 인식 때문에 어머니의 모어를 배우려하지 않았다. 넷째, 한국인들의 부정적인 인식 때문에 당당하게 자신의 언어와 문화를 교육 시킬 수 없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하여 결혼이주여성들이 자녀들에게 모어를 가르쳐줄 수 있는 학습기회와 환경을 마련되길 기대한다. teach their children to learn their mother tongue to second language and to present improvement plans about it. We have collected data mainly through in-depth-interview of four Chinese marriage immigrant women that have lived in Korea for more than 10 years from March to June, 2017. The results show that there are four environmental aspects why they do not teach their children to learn their mother tongue. First, their children are lack of access to learn Chinese. Second, their children do not want to learn Chinese because of the negative images of China in Korea. Third, Chinese marriage immigrant women are busy adjusting themselves to the Korean society so that they have no time to teach their children to learn Chinese. Lastly, Chinese marriage immigrant women are lack of confidence to teach their children to learn Chinese and Chinese culture, because it exist that Koreans have negative perceptions of other cultures. We hope that there will be opportunities for marriage immigrant women to teach their children to learn their mother tongue through this study.

      • KCI등재

        후기청소년기 중국계 중도입국청소년 체류경험에 관한 연구

        이춘양 ( Chunyang Li ),박미숙 ( Misuk Pak )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17 다문화와 평화 Vol.1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계 중도입국청소년들의 체류와 관련된 경험을 탐색하고 이들의 체류와 관련된 정책 개선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2017년 3월부터 6월까지 중국계 중도입국청소년 5명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진행하고 이를 체류동기와 체류의 어려움, 체류와 관련한 지원요구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중도입국청소년들의 한국 체류 동기는 엄마와 함께 살고픈 마음과 새 아빠에 대한 기대, 중국에서 혼자 생활하는 것이 싫어서, 또 자신의 새로운 꿈을 위해서, 그리고 돈을 벌기 위해 한국에 체류하고 싶어 했다. 둘째, 한국 체류의 어려움은 국적취득에 대한 어려움과 비자로 인한 경제활동의 제한, 한국인들의 차별적인 대우, 한국생활에 대한 정보의 부재로 드러났다. 셋째, 한국체류에 대한 지원요구는 초기 입국자에 대한 고려, 연동이 안 되는 중도입국 청소년 관련 프로그램, 진로와 관련한 다양한 정보제공, 일할 수 있는 기회제공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중도입국청소년 체류와 관련한 정책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중도입국청소년들의 한국사회에 잘 적응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되길 기대해본다. This qualitative research explores the experiences related to the immigrated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from China and propose ways to improve their retention policies. For this purpose, an in-depth interview has been conducted with mid-entry immigrant youths from March to June, 2017. Queries were focused on the analysis of the motivation for the stay in Korea, and residence difficulties of the mid-entry immigrant youths, as well as the support requirements related to residence, etc. The findings from the study suggest that after immigrating to Korea, firstly, the desire to stay in Korea of motivation is to live with their moms, for expectation of the father in law, being fed up with living alone in China. And then, because of their dreams that they want to stay in Korea and to accomplish their dreams. After, they can earn money to feed theirselves. Secondly, The difficulty of staying in Korea is that it is difficult to acquire the Korean nationality. In the economic activity has been greatly constrained because of the identity of the restrictions. And, being discriminated against by Koreans, and lack of access to information on life in Korea. Thirdly, the demand for support stranded in South Korea is based on considerations for early arrivals, unable to bind mid-entry immigrant youths related programs,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future, as well as provide some support on job opportunity for mid-entry immigrant youths. Based on these results, an improvement plan for the policy on stay-in of adolescent children entering the country is proposed. Through this study, we look forward to being able to adapt Korean children in Korean society to Korean society in Korean society.

      • KCI등재

        가정폭력을 경험한 결혼이주여성의 이혼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황해영(Huang, Haiying),김영순(Kim, Youngsoon),이춘양(Li, Chunya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3

        본 연구는 내러티브 탐구 방법을 적용하여 가정폭력을 경험한 결혼이주여성의 삶을 심층적으로 탐색하는 데 있다. 연구참여자는 3명으로 출신국은 중국과 필리핀이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7년 7월부터 12월까지 5개월이며 개인별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연구참여자들은 한국에 대한 막연한 기대와 아울러 더 나은 삶을 위해 한국행을 선택하게 된다. 결혼 이후 그들은 주체적인 노력으로 경제적 어려움을 극복하고자 노력하였다. 그렇지만 남편의 일방적인 폭력으로 이혼을 하게 되고, 이혼 후 생계유지, 자녀 양육 등 홀로서기의 어려움 속에서 삶을 치열하게 살아가고 있었다. 그들은 힘든 상황에서도 주변 사람들과 긍정적인 인간관계를 맺고 있었을 뿐만 아니라 문제에 봉착했을 때 회피보다는 해결을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런 내러티브를 통해 이들에게 이혼은 이주 과정에서 절망의 시기가 아니라 사회적 생존과 적응을 위해 노력하는 자립 시기로 규정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이혼한 결혼이주여성들에 대해 공감과 이해를 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주며, 그들을 위한 지원체계 및 복지정책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의 역할을 행할 것이라고 본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narratives of foreign women married to Korean who had suffered from experiences of domestic violence. Through the theoretical research, this study will be the married immigrant woman of marriage life is divided into the following three stages: the early stage of marriage, the mid-terms stage of marriage, and post-divorce stage, thereby describe and analyze the different experiences that they have experienced or encountered in these three stages. In order to achieve research, this study adopts the approach to the study of narrative inquiry method, and the researchers selected three foreign daughters-in-law from China and the Philippines as the object of study as well. The results show that the study participants both said they chose to far from home and kindred to marry Korean, at first because of aspiration for a better life and blind expectation of life in Korea. However, the same thing happened to the study participants during their married lives, who were under increasing financial pressure and were often subjected to domestic violence. They tried to overcome all kinds of economic difficulties through their own efforts, but they were finally forced to divorce due to the unilateral violence of their husbands. After the divorce, they were fighting alone and living a hard life in order to survive and raise their children. In other words, for these married immigrant women, divorce should not be regarded as a period of hopelessness in the process of emigration, but rather as a new period of effort to better adapt to social survival, namely the self-reliance period .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based on the sympathy, understanding, and trust of divorced immigrant women, which can provide them with basic data on having an important role to play in helping to establish a support system and formulating welfare polic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