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2007개정 실과 교과서 정보 단원의 비교 분석

        이철현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1 實科敎育硏究 Vol.17 No.2

        2007개정 실과 교과서가 2011년도부터 초등학교 현장에 적용되고 있다. 새로운 교과서가 교육 현장에 적용되는 시점에 이를 분석하여 결과를 제시하는 것은 관련된 교육구성원들에게 교과서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제공할 수 있다는 면에서 매우 의미있는 일이다. 이 연구에서는 2007개정 실과 교과서 중 ‘정보’단원을 중심으로 5, 6학년 각 7종의 교과서를 비교 분석하였고 이에 대한 문제와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교과서 분석에 대한 다양한 선행 연구 분석을 통해 분석 준거를 설정하였고, 이를 15인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CVR조사를 통해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타당도 검증을 통해 최종적으로 단원체제, 학습 목표, 내용 요소 배치 방식, 단원 보조 자료, 체험 활동, 평가를 분석 준거로 결정하였다. 교과서 분석을 하기 위하여 양적 측면과 질적 측면을 분석하기에 적절한 내용분석법을 적용하였다. 분석 준거에 따라 분석한 결과 교과서별로 바람직한 측면과 그렇지 못한 측면이 다양하게 발견되었다. 추후 이러한 분석 결과를 적극적으로 반영하여 교과서를 보완하면, 각 교과서의 질이 좀 더 높아지고 실과교과서 내 ‘정보’단원에 대한 교육 구성원들의 인식도 좀 더 개선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팀 프로젝트 중심의 실과 웹코스웨어 개발 코스 모형 구안 및 적용

        이철현 한국실과교육학회 2003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16 No.3

        It is very important that pre-service teacher build the developmental ability of digital material. This is possible by completion of a organized course in undergraduate day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course model based on team project for developing web coursewares in practical arts education.First, we studied the theory about courseware design, and discussed web coursewares development model and performance strategy based on team project for developing coursewares. Next, it was proposed course model based on team project for developing web coursewares in practical arts education. This model was developed for applying to lectures of one term in the department of practical arts education. This course model was composed of three phases as follows: theoretical lecture, demonstration·practice, and team project. Each Phase of this model was progressed successively and kept pace with partially. In the end of this study, the course model was applied to 'courseware development' course in practical arts education for fifteen weeks, and it was described concretely the process of application and discussed the results of application and survey.The application of the course model based on team project was very affirmative. The evaluation about the course was very successful, but it was founded there were some problems should be improved and modified partially. If similar course would be planned later on, it should be made more careful plan to minimized these problems

      • KCI등재후보

        초등교사의 인공지능교육 관심도 분석

        이철현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20 實科敎育硏究 Vol.26 No.4

        초등학교 교사는 인공지능교육의 비전공자로써 인공지능교육 실천에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될 것 임에 따라 인공지능교육의 역량 증진과 함께 관심을 유도하는 기회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 은 관점에서 이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 381명을 표집하여 그들이 갖고 있는 인공지능교육에 대한 관심을 CBAM을 통해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사의 인공지능교육 관심 단계는 비사용자 프로파일과 유사하였고, 인공지능교육의 영향과 결과에 대한 관심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둘째, 여자교사의 인공지능교육 관심도가 남자보다 전반적으로 높았고, 특히, 정보, 운영, 결과 단계에서 통계적 유의차를 보였다. 셋째, 소프트웨어교 육 관련 과목 이수가 많을수록 관심도가 높았고, 소프트웨어교육 관련 과목을 많이 수강하면, 인공 지능교육의 관심도는 크게 증가하였다. 넷째, 인공지능관련 과목을 수강한 초등교사의 관심도가 상 대적으로 높았지만, 관심도의 각 단계별 유의차가 두드러지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다섯째, 전반적 으로 소프트웨어교육 관련 연수를 많이 이수할수록 관심도가 높았고, 특히, 31시간 이상의 연수 이수자가 큰 차이로 관심도가 높았다. 여섯째, 인공지능교육 관련 연수 이수 시간이 많을수록 전반 적인 관심도가 높았고, 특히, 31시간 이상의 연수를 이수한 초등교사가 나머지 교사와의 통계적 유의차가 컸다. 일곱째, 소프트웨어교육 역량이 높을수록 관심도가 높았고, 거의 모든 관심도 단계 에서 유의차가 나타났다. 여덟째, 인공지능교육 지지도가 높은 초등교사가 관심도가 훨씬 높았고, 인공지능교육의 효과에 대한 관심도는 인공지능교육 지지도와 깊은 관련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초등교사의 인공지능교육의 관심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인공지능교육 관련 과목의 이수 확대를 위한 대학의 교육과정 정책 운영 및 인공지능소양 함양을 위한 연수 기회 확대 등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As elementary school teachers, as non-majors in AI education, will have a lot of difficulties in practicing AI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expand opportunities to induce interest as well as increase the competence of AI education.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sampled 381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analyzed their concerns in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through CBAM and derived 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interest in AI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was similar to that of non-user profiles, and interest in the effects and results of AI education was relatively low. Second, women teachers' interest in AI education was generally higher than that of men, and in particular,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information, operation, and results. Third, as the number of courses related to software education increased, the degree of interest increased, and as subjects related to software education increased, the degree of interest in AI education increased significantly. Fourth, although the degree of interes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completed AI-related subjects was relatively hi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interest at each stage. Fifth, overall, the higher the degree of interest in software education-related training, the higher the degree of interest, and in particular, those who completed the training for more than 31 hour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Sixth, the greater the number of hours for AI education-related training, the higher the level of interest, and in particular,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completed more than 31 hours of training was greater. Seventh, the higher the software education competency, the higher the degree of interest,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most all levels of interest. Eighth, primary school teachers with high support for AI education had much higher interest, and the degree of interest in the effects of AI education was deeply related to the support for AI education. According to these results, policy support such as operating university curriculum policies to expand the completion of AI-related subjects and expanding training opportunities to cultivate AI literacy is necessary as a way to increase the degree of interest in AI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Suggest.

      • 정보시스템 직업 관련 STEAM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이철현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15 교육논총 Vol.35 No.2

        이 연구에서는 정보시스템 직업 관련 STEAM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일선학교에 적용하여 프로그램의 현장적용성과 만족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정보시스템 직업을 분석하여 학생들에게 친숙한 직업을 선정하고, 이와 관련한 주제를 선정하여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용 STEAM 교육프로그램 32차시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모든 프로그램을 초, 중, 고 학생들에게 적용하였고, 학생들을 대상으로 STEAM 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한 수업에서 느낀 점이 무엇이고 수업에 대한 만족도는 어느 정도인지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은 정보시스템 직업 관련 STEAM 수업을 통해 과학기술 분야에 대한 관심, 친구들을 배려하는 마음, 도전의식, 과학기술 분야 관련 직업에 대한 관심 등을 갖게 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에서 개발한 STEAM 교육프로그램은 만족도가 높아서 STEAM 수업 자료로써 충분히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In this study, we tried to develop STEAM education programs specialized to information system career, apply to he site of the school, and then examine the field applicability and the satisfaction of the program. And for this, we analyzed the work of the information system to select the familiar work to students, and selected the theme associated with this. And then we have developed the 32-classes STEAM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s, middle schools, and high schools. All of the programs that have been developed was applied to elementary schools, middle schools, and high schools, and then we examined what students felt in the classroom had been applied the STEAM education program, and what extent they satisfied the classes. As a result, the students were surveyed to have the interest in science and technology, mind caring friends, challenge consciousness, and interest in the profession related to the field of science and technology. As a conclusion, STEAM education program have been develop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fully utilized as STEAM materials because the satisfaction of those are high.

      • KCI등재

        실과 교과 중심의 STEAM 융합인재교육 모형 개발

        이철현,한선관 한국실과교육학회 2011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4 No.4

        The STEAM education has been popularly tried in education field under the influence of the convergence among several academic areas. The objectives of STEAM which integrates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s, and mathematics is to make students foster the abilities, attitudes, and human natures required in the 21st century. In this study, we approached to the applicable plans for STEAM education in Practical Arts in the elementary school which corresponds to the technology area of STEAM. Then we suggested two Practical Arts-centered models for STEAM education. One is called 'the Activity-Reconstruction and Integration Model of STEAM education', which reconstructs and integrates activities for STEAM education related to science, technology,engineering, arts, and mathematics into the contents of the Practical Arts Curriculum. The other is called 'the Time-Creation Model of STEAM education' which can generate additional class time from the modification of the current curriculum in Practical Arts. A surve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join STEAM in-service training shows that both models are appropriate in the school field and that 'the Time-Creation Model' is preferred to the other model. Later, various cases of STEAM education activities should be investigated by applying these two models into the Practical Arts curriculum, and a Subject-centered Model for STEAM education should also be developed in addition to these two models. 최근 들어 나타나는 학문간 융합의 영향으로 교육 분야에서 STEAM 융합인재교육이 시도되고있다. 과학(Science), 기술(Technology), 공학(Engineering), 예술(Arts), 수학(Mathematics)의학문 영역이 유기적으로 융합되는 STEAM 교육의 목적은 학생들이 21C 사회에 필요한 핵심 역량, 태도, 인성을 기르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STEAM의 한 축인 기술 영역의 초등학교 교과에 해당하는 실과 교과를 중심으로 하는 STEAM 융합인재교육 방안을 모색하였고, 그 결과, 두 가지의 실과 교과 중심 STEAM 융합인재교육 모형을 제안하였다. 하나는 실과 교육과정 내용 요소에 과학, 기술, 공학, 예술, 수학 영역별로 관련 있는 STEAM 융합인재교육 활동을 재구성하여 통합하는 ‘실과 STEAM 교육활동 재구성 통합 모형’이고, 또 다른 하나는 기존 실과 단원의 차시를 조정하여 확보한 여분 차시를 이용하여 STEAM 교수∙학습 활동 차시를 추가로 생성하여 운영하는 ‘실과 STEAM 차시 생성 모형’이다. 이 두 가지 모형의 현장 적합성에 대하여 STEAM 교육 교사 연수에 참여한 초등학교 교사들을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두 가지 모형 모두 현장에 적합하다는 반응을 보였고, 두 모형 중‘실과 STEAM 차시 생성 모형’의 현장 적합성이 더 높게 나타났다. 추후 이 두 가지 모형을 실과 교육과정에 적용하여 실과 STEAM 교육 활동의 다양한 사례를발굴하고, 이 연구에서 제안한 모형과는 별도로 실과 주제 중심의 STEAM 교육 모형이 개발되어야 한다.

      • KCI등재

        관심기반 채택모형(CBAM)에 기반한 초등교사의 코딩교육 관심도 분석

        이철현 한국실과교육학회 2018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31 No.1

        Coding education occupies an important position in elementary school software education. It is important to find what kind of concerns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charge of software education at elementary school have on the coding education. In this study, we analyzed 419 elementary school teachers’ stage of concerns about coding education based on Concerns-Based Adoption Model(CBAM). In the research, the stage of concerns in coding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showed characteristics most similar to nonuser profiles. Male teachers were more interested in coding education than female teachers, showed more concerns in exploring alternative aspects of coding education and the interests of teacher groups. Teachers with experiences of training have higher concerns in coding education than teachers without experiences of training, and they were interested in the influences on students and the cooperation with coworker teachers. The lower the coding ability and coding preference, the less concerned in coding education, the uncertainty, and the less concerns in the influences of coding education. Therefore, in order to eliminate the uncertainty of the coding education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possess, the educational authorities have to guide what they should prepare, and have to clarify what they can offer to teachers. Research on the effectiveness of coding education should been expanded and it is necessary to be widely known to teachers. and coding education training curriculum must be made that includes sufficient methods and informations for coding education management. Training course for improving teachers’ coding ability should be expanded, and it is necessary to make effective use of teachers love and be good at coding. 코딩교육은 초등학교 소프트웨어교육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초등학교에서 소프트웨어교육을 담당할 초등교사가 코딩교육에 대해 어떤 관심도를 갖고 있는지 파악하는 일은 중요하다. 이 연구는 CBAM에 기반하여 초등교사 419명을 대상으로 코딩교육 관심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교사의 코딩교육 관심도는 비사용자의 프로파일과 가장 유사한 특성을 보였다. 남자 교사가 여자교사보다 코딩교육의 관심도가 더 높았고, 코딩교육의 대안적 측면과 교사집단의 이익을 모색하는데 더 많은 관심을 보였다. 연수경험이 있는 교사가 없는 교사보다 코딩교육 관심도가 높았고, 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과 동료 교사와의 협력에 더 관심이 많았다. 코딩역량과 코딩선호도가 낮을수록 코딩교육에 무관심하고, 불확실해 하며, 코딩교육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관심이 낮았다. 따라서 초등교사들이 갖고 있는 코딩교육의 불확실성을 해소하기 위하여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지 안내해야 하고, 교육당국이 무엇을 제공할 수 있는지 명확하게 해야 한다. 코딩교육의 효과에 대한 연구가 확대되어 널리 알려질 필요가 있고, 코딩교육 운영 방법과 정보가 충분히 포함된 코딩교육 연수교육과정이 만들어져야 한다. 코딩역량 향상을 위한 연수가 확대되어야 하고, 코딩을 좋아하고 잘하는 교사를 유용하게 활용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축산물유래 Listeria monocytogenes의 virulence marker 및 gene 조사

        이철현,송현호,김미령,강호조,손원근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008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Vol.23 No.3

        To investigate the epidemiological characteristics of 68 Listeria monocytogenes isolates, including 11 reference strains and 57 isolates from imported US beef, domestic meats (beef, pork, chicken meat), raw milk, and milk plants. L. monocytogenes was to evaluate the production of virulence proteins, such as hemolysin (LLO) and lecithinase (LCP), the adsorption of Congo red (CRA), and to detect virulence genes using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In the study of virulence protein production, 68(100%), 62(91.2%), and 54(79.4%) of the 68 L. monocytogenes strains were positive for LLO production, the LCP test, and the CRA test, respectively, while strains of other species, such as L. innocua, L. gray, L. murrayi, and L. welshimeri, were no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L. monocytogenes serotypes and the ability to produce LLO or LCP. L. monocytogenesstrains had very high hemolytic titers (2 to 16 fold), while the other Listeria species, other than L. ivanovii and L. seeligeri, did not. The hemolysin activities of L. monocytogenes, L. ivanovii, and L. seeligeri usually exceeded 1.0 HU/mg, while those of other Listeria spp. were less than 0.04 HU/mg. In the PCR assay, all of the L. monocytogenes strains contained the hlyA, plcA, plcB, inlA, and inlB virulence genes and produced a product of the expected size. In the PCR of the actA gene, the expected 385-bp product was seen in 39(57.4%) L. monocytogenesstrains, while an unexpected 268-bp product was seen in 29(42.6%) strains. Most L. monocytogenes strains isolated from Hanwoo beef produced the 385- bp actA gene product, while strains of imported US beef usually produced the 268-bp actA gene product. By contrast, no virulence gene products were amplified in the other Listeria spp. To investigate the epidemiological characteristics of 68 Listeria monocytogenes isolates, including 11 reference strains and 57 isolates from imported US beef, domestic meats (beef, pork, chicken meat), raw milk, and milk plants. L. monocytogenes was to evaluate the production of virulence proteins, such as hemolysin (LLO) and lecithinase (LCP), the adsorption of Congo red (CRA), and to detect virulence genes using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In the study of virulence protein production, 68(100%), 62(91.2%), and 54(79.4%) of the 68 L. monocytogenes strains were positive for LLO production, the LCP test, and the CRA test, respectively, while strains of other species, such as L. innocua, L. gray, L. murrayi, and L. welshimeri, were no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L. monocytogenes serotypes and the ability to produce LLO or LCP. L. monocytogenesstrains had very high hemolytic titers (2 to 16 fold), while the other Listeria species, other than L. ivanovii and L. seeligeri, did not. The hemolysin activities of L. monocytogenes, L. ivanovii, and L. seeligeri usually exceeded 1.0 HU/mg, while those of other Listeria spp. were less than 0.04 HU/mg. In the PCR assay, all of the L. monocytogenes strains contained the hlyA, plcA, plcB, inlA, and inlB virulence genes and produced a product of the expected size. In the PCR of the actA gene, the expected 385-bp product was seen in 39(57.4%) L. monocytogenesstrains, while an unexpected 268-bp product was seen in 29(42.6%) strains. Most L. monocytogenes strains isolated from Hanwoo beef produced the 385- bp actA gene product, while strains of imported US beef usually produced the 268-bp actA gene product. By contrast, no virulence gene products were amplified in the other Listeria spp.

      • KCI등재후보

        초등 예비교사의 프로그래밍 학습 경험에 따른 프로그래밍 인식 및 이미지 변화

        이철현 한국실과교육학회 2016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at kind of differences is on the perceptions and the images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programming before and after the experiences of programming learning. Study subjects was the 332 freshmen who have taken the programming courses at the K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 first semester, 2016. The survey tools were developed through the discussion on the preceding research and the analysis of learner’s reports of the previous semester, an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ose were verified. Conclusion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rogramming learning experiences enhanced the confidence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programming and improved the programming immersion and concentration of them. Students get a sense of accomplishment and joy, eliminating the sense of fear and vague through the results from the programming learning. Second, the negative images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programming were changed positively through the programming learning. This shows that the difficulties and the boredom recognition of programming was changed to the positive directions by the resolution and the result confirmation of the problems experienced in the programming.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 예비교사들의 프로그래밍 인식 및 이미지가 프로그래밍 학습 경험 전과 후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었다. 연구대상은 2016년 1학기에 K교육대학교에서 프로그래밍 교육 관련 강좌를 수강한 332명의 신입생들이었다. 검사 도구는 선행연구 고찰과 이전 학기 학습자 보고서 분석을 통해 개발하였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이 연구에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래밍 학습 경험은 초등 예비교사에게 프로그래밍의 자신감을 높였고, 프로그래밍 몰입과 집중력, 그리고 선호도를 향상시켰다. 또한 창의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인식을 강화시켰다. 학생들은 프로그래밍 학습에서 얻는 결과를 통해 프로그래밍의 두려움, 막연함을 없애고, 성취감과 기쁨을 얻게 된다. 둘째, 프로그래밍 학습은 초등 예비교사의 프로그래밍 이미지를 긍정적으로 변화시켰다. 프로그래밍 학습 경험은 이러한 부정적 이미지를 쉽고, 재미있음으로 변화시켰다. 이는 프로그래밍 과정에서 경험하는 문제 해결과 결과 확인이 프로그래밍의 어려움, 지루함의 인식을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화시켰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 KCI등재

        초등예비교사의 EPL 프로그래밍 학습 어려움 분석

        이철현 한국실과교육학회 2019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32 No.2

        이 연구의 목적은 EPL 프로그래밍에 익숙하지 않은 초등예비교사들이 겪는 EPL 프로그래밍학습의 어려움을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프로그래밍 사전 단계와 프로그래밍 진행 단계로 구성되는 컴퓨팅 사고력 기반 실생활 문제해결(CT-RLPS) 모형을 기반으로 하는 프로그래밍 과제를 약 170 여명의 학습자에게 적용하였다. 설문 검사에 동의한 126명을 대상으로 EPL 프로그래밍 학습 어려움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학습자들은 문제 분석 및 분해를 약간 어려워하고 설계를 상당히 어려워하는 반면, 코딩의 어려움 인식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둘째, EPL 프로그래밍의 하위 단계의 경우 학습자들은 디버깅을 가장 어려 워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EPL 프로그래밍 역량에 대한 자기 인식 수준과 EPL 프로그래밍 의 선호도가 낮을수록 EPL 프로그래밍 어려움을 느끼는 정도가 더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 분석을 통해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EPL 프로그래밍 학습은 적절한 난이도 유지와 학습자 수준별 차별화된 접근 전략을적용한 언플러그드 활동인 사전 단계 활동을 거쳐서 프로그래밍 진행 단계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둘째, 선택 구조, 변수, 리스트, 함수의 구현 및 디버깅에서 학습자가 느끼는 어려움을 좀 더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치밀한 학습 전략을 구안할 필요가 있고, 학습자들이 이들에 대한 개념을 숙지하고 구현 방법을 숙달할 수 있도록 반복학습을 하도록 해야 한다. 셋째, 학습자들이 EPL 자기 역량 인식 수준과 흥미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학습자 수준에 적합한 과제부여 및 점진적 난이도 조정 등의 학습 전략의 적용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 이어서 초등예비교사가 EPL 프로그래밍 학습 과정에서 범하는 오류를 분석하고, 이러한 오류를 줄일 수 있는 학습 전략 설계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 초보 학습자가 겪는 어려움에 대한 질적 분석

        이철현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9 實科敎育硏究 Vol.2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the beginners in programming. The difficulties faced by the novice learner are the ambiguity and reluctance of the programming advance stage that must go before the programming progress stage, difficulty in object control in connection with various situations, various questions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 complex logic using selective structure, iterative structure, signal transmission, difficulties in recognizing situations that require the use of variables and the difficulty of implementation that links variables and other programming elements, disconceptions in implementing how to control specific items of a list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difficulties in recognizing situations that require the use of functions and difficulty in implementing functions, difficulty in identifying causes of logical errors and difficulty in implementing programs without logical errors. The results showed that beginner learners found difficulty in the situation where EPL programming elements and EPL programming basic structures were linked or combined. Therefore, for beginner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method of teaching programming that can be used in a complex situation by starting from the basic elements of programming and basic structure, and developing them in a way that gradually deepens them. 이 연구는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 초보 학습자가 겪는 어려움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 초보 학습자가 겪는 어려움은 프로그래밍 진행 단계 전에 거쳐야 하는 프로그래밍 사전 단계의 모호함과 거부감, 다양한 상황과 연계한 오브젝트 제어의 곤란함, 선택 구조, 반복 구조, 신호보내기를 이용한 프로그램 복합 논리 구현의 다양한 의문, 변수 사용이 필요한 상황 인지와 다른 프로그래밍 요소와 연계한 구현의 난감함, 리스트의 특정항목을 특정 조건에 따라 제어하는 방법 구현의 오개념, 함수 사용이 필요한 상황 인지와 함수 구현의 어려움, 논리적 오류의 원인 파악과 논리적 오류 없는 프로그램 구현의 어려움 등으로 파악되었다. 연구 결과에 의해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 초보 학습자들은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의 프로그래밍 요소와 프로그래밍 기본 구조가 연계되거나 복합되는 상황에서 어려움을 주로 느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 초보 학습자를 위하여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의 기본 요소 및 기본 구조에서 시작하여 이러한 것들을 점차 심화하는 방식으로 전개함으로써 복합적인 상황에 익숙해 질 수 있는 방향의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 교육 방법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