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기압 플라즈마 처리에 의한 TAC 필름의 표면에너지 변화

        이창호(Chang-Ho Lee),정도영(Do-Young Jung),박영직(Young-Jik Park),송현직(Hyun-Jig Song),이광식(Kwang-Sik Lee)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09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Vol.23 No.12

        표면의 친수성 작용기 형성과 접촉각 향상을 위하여 대기압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Tri-acetyl-cellulose(TAC) 필름에 대한 표면개질을 연구하였다. TAC 필름의 표면개질 목적으로 대기압에서 플라즈마를 발생시키기 위한 Dielectric barrier discharge(DBD) 구조의 플라즈마 반응기 내에서 이온화된 질소 플라즈마를 사용하였다. 플라즈마 처리 공정변수인 처리속도, 방전전력, 방전 갭 및 질소 가스 유속을 변화시켜가며 접촉각을 측정하여 접촉각과 표면에너지 변화를 검토하였다. 대기압 플라즈마 처리속도 100[㎜/sec], 방전 전력 1.5[㎾], 방전 갭 2[㎜] 및 N₂ 가스유량 140[LPM] 에서 가장 높은 접촉각과 표면에너지 값을 보였다. 표면친수화의 정도는 플라즈마 방전 전력과 처리 시간에 의존하였다. Tri-acetyl-cellulose(TAC) film surface was modified by atmospheric-pressure plasma technique to obtain the hydrophilic functional groups and improve the contact angle. TAC film was modified with N2 plasma ionized in dielectric barrier discharge(DBD) reactor under atmospheric pressure. We measured the change of the contact angle and the surface energy with respect to the plasma treatment conditions such as plasma treatment power, discharge gap and N2 gas flow rate. As the plasma treatment speed of 100[㎜/sec], the plasma treatment power of 1.5[㎾], discharge gap 2[㎜] and the N₂ gas flow rate 140[LPM], the best contact angle and the highest surface energy were obtained. The degree of hydrophilization depended strongly on the plasma-treating time and discharge power.

      • KCI등재
      • KCI등재
      • 유방암의 감시림프절 검사에서 유방크기와 체질량지수에 따른 검사시간 변화

        이다영,남궁혁,조석원,오신현,임한상,김재삼,이창호,박훈희,Lee, Da-Young,Nam-Koong, Hyuk,Cho, Seok-Won,Oh, Shin-Hyun,Im, Han-Sang,Kim, Jae-Sam,Lee, Chang-Ho,Park, Hoon-Hee 대한핵의학기술학회 2012 핵의학 기술 Vol.16 No.2

        유방암 환자의 감시림프절 생검을 위하여 현재 방사성동위원소와 blue dye를 이용한 감시림프절 매핑(Mapping)이 선행되고 있다. 현재 모든 환자에 대하여 일괄적인 검사방법이 적용되므로 환자의 유방의 크기나 비만도와 같은 특성이 고려되지 않아 림프절의 흐름이 느린 환자의 경우, 림프절을 충분히 형성하지 못한 채 검사가 종료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환자의 신체적 특성인 체질량지수와 유방의 크기에 따른 림프액의 속도차이를 관찰하였다. 이를 통해 방사성동위원소를 이용한 유방의 감시림프절 신티그래피 에서 환자의 특성을 고려한 최적의 검사시간을 도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는 2011년 10월부터 2011년 12월까지 수술직전 유방의 감시림프절 신티그래피를 시행한 100명(여성 100명, 평균연령 $50.34{\pm}10.26$)를 대상으로 하였다. 장비는 감마카메라 Forte (Philips Medical Systems, Nederland B.V.)를 사용하였으며, 방사성의약품은 $^{99m}Tc$-Phytate 18.5 MBq, 0.5 ml를 피내주사하였다. 먼저 8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기존의 5분 검사방법대신 충분히 림프절을 형성할 때까지 시간의 제한 없이 영상을 획득하였다. 이를 통해 환자의 유방크기와 체질량지수 별 그룹을 나누어 평균 검사시간을 구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검사시간을 변화시킨 변형 유방 림프신티그래피를 20명의 환자에게 시행하여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80명의 대상 중 유방의 크기에 따른 평균 검사시간은 A그룹 2.48분, B그룹 7.69분, C그룹 10.43분이었다. 80명의 대상 중 체질량지수에 따른 평균 검사시간은 저 체중 1.35분, 표준 2.56분, 과 체중 5.62분, 비만 15분이었다. 앞서 얻어진 정보를 바탕으로 각 그룹별 적절한 검사시간을 적용하여 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는 20명 중 성공평가를 받은 경우는 17회 실패평가를 받은 경우는 3회로 총 85% 성공률을 나타내었다. 유방의 크기와 체질량지수에 따른 총 검사 시간은 체질량지수가 높을수록, 유방의 크기가 클수록 증가하였으며, 얻어진 정보를 바탕으로 기존 검사방법에서 검사시간만을 변화시킨 변형 유방 림프신티그래피를 적용하였을 때 대부분의 경우 검사시간 내 림프절을 형성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모든 환자에게 일괄적으로 적용하던 검사방법보다 개인의 신체적 특성을 고려한 적절한 검사시간을 각각 다르게 적용하였을 때 검사에서 높은 성공률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Purpose : At this time, the sentinel lymph node mapping using radioisotope and blue dye is preceded for breast cancer patient's sentinel lymph node biopsy. But all patients were applied the same protocol without consideration of physical specific character like the breast sizes and body mass index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search the optimized scan time in breast sentinel lymphangiography by observing how much the body mass index and breast size influence speed of lymphatic flow. Materials and Methods :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100 breast cancer patients(Female, 100 persons, average age $50.34{\pm}10.26$ years old)at Severance hospital from October 2011 to December 2011. They were scanned breast sentinel lymphangiography before operation. This study was performed on Forte dual heads gamma camera (Philips Medical Systems, Nederland B.V.). All patients were intra-dermal injected $^{99m}Tc$-Phytate 18.5 MBq, 0.5 ml. For 80 patients, we have scanned without limitation of scan time until the lymphatic flow from the lymph node since injection. We measured how long the lymphatic flow time between departures from injects site and arrival to lymph node using stopwatch. After we calculated patient's Body mass Index and classified as 4 groups. And we measured patient's breast size and classified 3 groups. The modified breast lymphangiography that changing scan time according to comparison study's result was performed on 20 patients and was estimated. Results : The mean scan time as breast size was A group 2.48 minutes, B group 7.69 minutes, C group 10.43 minutes. The mean scan time as body mass index was under weight 1.35 minutes, normal weight 2.56 minutes, slightly over 5.62 minutes, over weighted 5.62 minutes. The success rate of modified breast lymphangiography was 85%. Conclusion : As the Body mass index became higher and breast size became bigger, the total scan time is increased. Based on the obtained information, we designed modified breast lymphangiography protocol. At the cases applying that protocol, most of sentinel lymph nodes were visualized as lymphatic pool. In conclusion, we found that the more success rate in modified protocol considering physical individuality than study carrying out in the same protocol.

      • 표준계수 측정 시 기하학적 요인이 방사성 요오드 갑상선 섭취율에 미치는 영향

        오주영,김정열,오기백,오신현,김재삼,이창호,박훈희,Oh, Joo Young,Kim, Jung Yul,Oh, Ki Baek,Oh, Shin Hyun,Kim, Jae Sam,Lee, Chang Ho,Park, Hoon-Hee 대한핵의학기술학회 2013 핵의학 기술 Vol.17 No.1

        방사성 요오드 갑상선 섭취율은 거대갑상선 환자의 경우 그 체적에 의한 유효 갑상선 깊이가 깊어짐으로 인한 기하학적 변동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본 연구는 방사성 요오드갑상선 섭취율에 있어 검출기와 선원 간 거리와 유효 갑상선 깊이에 따른 기하학적 요인의 영향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131}I$ 370 kBq 선원을 검출기로부터 거리를 20 cm부터 30cm까지 1 cm 간격으로 변화시키며 Captus 3000 thyroid uptake system(Capintec, NJ, USA)으로 측정하였다. 유효갑상선 깊이를 재현하기 위해 목 팬텀을 이용하여 팬텀 내 선원의 깊이를 1 cm, 2 cm, 5 cm으로 변화시키며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곡선추정 회귀분석 결과 모든 실험군이 거듭제곱곡선에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R2{\geq_-}0.915$$). 그러므로 검출기-선원 간 거리가 20 cm보다 30 cm에서 오차가 크게 감소됨을 예상할 수 있다. 모든 실험군에서 팬텀을 쓰지 않았을 때와 유효 갑상선깊이가 1 cm이 적용되었을 때의 계수율이 서로 유의할 만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선형회귀분석 결과 깊이에 따른 계수율의 변화는 모두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284.3keV{\pm}10%$ 영역에서 깊이에 따른 계수율의 변화는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회귀식을 통해 환자의 예상 갑상선 섭취율을 산출해 보았을 때, $364.4keV{\pm}10%$에서 1 cm 당 -6.42%, $364.4keV{\pm}20%$의 영역에 서 -5.09%의 더 낮은 오차를 보였다. 또한 거리에 따른 계수율의 변동계수는 모든 실험군에서 선형으로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 $364.4keV{\pm}20%$, $364.4keV{\pm}10%$ 영역은 비교적 낮은 변동계수와 증가폭을 보였다. 곧, 유효 갑상선 깊이에 따른 오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364.4keV{\pm}20%$의 영역의 사용이 더 적절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갑상선 깊이에 따른 오차는 갑상선 깊이에 따른 보정계수 적용,$364.4keV{\pm}20%$ 에너지 영역 설정, 디텍터와 선원과의 거리를 연장하였을 때 감소시킬 수 있다고 생각된다. Objectives: It is certain that Radioactive iodine thyroid uptake(RAIU) rate should be measured with the standard counts considering the thyroid gland depth in enlarged thyroid patients for the variation from geometric factor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nsider the effects of geometric factors according to detector to source distance and the effective thyroid depth on RAIU rate with experiment test. Materials and Methods: I-131 370 kBq ($10{\mu}Ci$) point source was measured by Captus-3000 thyroid uptake system (Capintec, NJ, USA) with a change Detector-Source Distance from 20 cm to 30 cm at an interval of 1 cm. And we changed the Neck phantom surface-Source Depth in the phantom with 1 cm, 2 cm, 5 cm using the neck phantom in order to reproduce the effective thyroid depth. Results: Every experimental group follows power curve as inverse square curve ($$R2{\geq_-}0.915$$). The average count rates in the case not using a phantom and the every case applied the effective thyroid depth using a phantom was not identical each other. There was significant fluctuations upon the effective thyroid depths applied the effective thyroid depth above 1 cm in $364.4 keV{\pm}10%$ energy ROI (p<0.01).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ount rates of 1 cm and 2 cm in $364.4keV{\pm}20%$ and $637.1keV{\pm}6.2%$ (p=0.354, p=0.397). In assumed RAIU rate from regression equation, $364.4keV{\pm}20%$ was lower difference than $364.4keV{\pm}10%$ as 6.42% and 5.09% per 1 cm. Every change of count rate upon depth appears decreased line on Linear Regression, but the case of $284.3keV{\pm}10%$ increased only. And also, The graphs of coefficient of variation upon depth increased as straight line on every experimental group. Conclusion: The result appears that application of $364.4keV{\pm}20%$ energy ROI is more suitable for reducing error from the effective thyroid depth. And also, we can estimate the error of 20 cm should be highly reduced than 30 cm for Inverse Square Law. Therefore, If there is not information of the thyroid depth, it is considered that the error from thyroid depth can reduce through set up energy ROIs for $364.4keV{\pm}20%$, and increase Detector-Source Distances.

      • PET/CT 검사에 있어서 MR Torso Coil의 CT 감쇄보정에 대한 영향 평가

        이승재,반영각,오신현,강천구,임한상,김재삼,이창호,서수현,박용성,Lee, Seung Jae,Bahn, Young Kag,Oh, Shin Hyun,Gang, Cheon-Gu,Lim, Han Sang,Kim, Jae Sam,Lee, Chang Ho,Seo, Soo-Hyun,Park, Yong Sung 대한핵의학기술학회 2012 핵의학 기술 Vol.16 No.2

        PET과 융합된 MR 영상에서 MR coil은 PET 영상용 감쇄보정에 있어서 위치 정보 수집에 관한 오류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이 시도 되어 왔다. 본원에서는 이런 문제점을 보완한 Three modality system (PET/CT +MR)을 이용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MR torso coil이 CT 감쇄보정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MR torso coil을 장착하고 CT로 감쇄보정한 PET 영상에서 인공물에 대한 평가를 하였다. 균일도 평가용 팬텀과 1994 NEMA 실린더 팬텀을 사용하여, CT의 관전압과 관전류를 변경해가며 표준화섭취계수에 대한 변화를 추적하였다. MR torso coil안에 있는 금속 물질로 인한 줄무늬 인공물이 관찰되었다. CT 검사에 있어서 관전압과 관전류를 변화 시키면 선 감쇄계수도 일정하게 변화하였다. 관전압과 관전류의 수치가 높아짐에 따라 PET 영상에서의 표준화섭취계수가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PET/CT 검사 시, MR torso coil은 금속으로 인한 줄무늬 인공물을 생성하며, 감쇄보정에 있어서 잠재적인 오류를 불러올 수 있다. 이와 같은 오류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첫째, 감쇄보정 알고리즘의 보완, 둘째, MR coil을 사용하지 않은 검사방법의 연구, 셋째, PET/CT 감쇄보정에 영향을 주지 않는 MR coil소재의 개발 등이 요구된다. Purpose : Combined MR/PET scanners that use the MRI for PET AC face the challenge of absent surface coils in MR images and thus cannot directly account for attenuation in the coils. To make up for the weak point of MR attenuation correction, Three Modality System (PET/CT +MR) were used in Severance hospital. The goal of this work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R Torso Coil on CT attenuation correction for PET. Materials and Methods : PET artifacts were evaluated when the MR Torso Coil was present of CTAC data with changing various kV and mA in uniformity water phantom and 1994 NEMA cylinderical phantom. They evaluated and compared the following two scenarios: (1) The uniform cylinder phantom and the MR Torso Coil scanned and reconstructed using CT-AC; (2) 1994 NEMA cylinderical phantom and the MR Torso Coil scanned and reconstructed using CT-AC. Results : Streak artifacts were present in CT images containing the MR Torso Coil due to metal components. These artifacts persisted after the CT images were converted for PET-AC. CT scans tended to over-estimate the linear attenuation coefficient when the kV and mA is increasing of the metal components when using conventional methods for converting from CT number. Conclusion : The presence of MR coils during PET/CT scanning can cause subtle artifacts and potentially important quantification errors. Alternative CT techniques that mitigate artifacts should be used to improve AC accuracy. When possible, removing segments of an MR coil prior to the PET/CT exam is recommended. Further, MR coils could be redesigned to reduce artifacts by rearranging placement of the most attenuating materials.

      • 방사성의약품 투여 시 피폭선량 저감에 대한 연구

        조석원,정석,박준영,오신현,남궁혁,오기백,김재삼,이창호,Cho, Seok-Won,Jung, Seok,Park, June-Young,Oh, Shin-Hyun,NamKoong, Hyuk,Oh, Ki-Beak,Kim, Jae-Sam,Lee, Chang-Ho 대한핵의학기술학회 2012 핵의학 기술 Vol.16 No.1

        전신 골 스캔은 골친화성 방사성의약품으로 뼈의 생리적 변화를 영상화하는 검사방법으로, 140 keV의 감마선을 방출하는 방사성핵종이 표지된 방사성의약품을 주사 후 촬영하는 영상기법이다. 외부피폭으로부터 방사선방호의 3원칙은 시간, 거리, 차폐이다. 방사성의약품은 투여 시 개봉선원이 되기 때문에 방사선방호 원칙에 따라 피폭을 줄이기 위하여 빠른 시간 내에 주사하는 것이 좋다. 하지만 방사성의약품은 환자에게 직접 투여하기 때문에 선원으로부터 거리를 멀리할 수 없는 제한점이 있다. 본 연구는 방사성의약품으로부터 거리에 따른 피폭선량 변화를 확인하고, 차폐체를 사용 후 피폭량의 변화를 관찰하여 방사선 종사자의 피폭 관리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방사성의약품 투여 시 소요되는 주사시간의 평균을 구하기 위하여 훈련된 주사 담당자가 환자에게 주사하는 시간을 총 50회 측정하였고, 그 평균값(약 2분)을 구하였다. 1 mL주사기에 옥시드로산테크네슘 925 MBq를 0.2 mL 로 맞춘 다음 50 cm, 100 cm, 150 cm, 200 cm에서 방사선 측정기(FH-40, Thermo Scientific, USA)로 선량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방사선차폐체(납 6 mm)를 선원으로부터 25 cm에 설치 한 후 50 cm 거리에서 선량을 측정하였다. 모든 선량측정은 각각 20회에 걸쳐 재현성을 검증하였다. 차폐 전과 차폐 후의 선량의 상관관계는 SPSS (ver. 18)을 사용하여 paired t-test로 검증하였다. 차폐체를 설치하지 않은 선원으로부터 거리에 따른 2분간 받는 피폭량은 50 cm에서 $1.986{\pm}0.052{\mu}Sv$, 100 cm에서 $0.515{\pm}0.022{\mu}Sv$, 150 cm에서 $0.251{\pm}0.012{\mu}Sv$, 200 cm에서 $0.148{\pm}0.006{\mu}Sv$로 나타났다. 차폐를 설치 후 측정 시 피폭량은 $0.035{\pm}0.003{\mu}Sv$로 차폐체 사용 전과 후의 피폭선량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1).전신 골스캔은 핵의학 검사에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방사성의약품 투여 시 피폭을 줄이기 위해서 외부피폭의 방어원칙을 적절히 병행하여 피폭 저감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하지만 방사성의약품은 환자에게 직접 투여하기 때문에 선원으로부터 거리를 멀리할 수 없고, 환자의 혈관 확보가 어려운 경우 주사시간이 길어질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피폭선량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선원으로부터25 cm 거리에 차폐체 설치 시 피폭선량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방사성의약품 투여 시 차폐체를 사용함으로써 방사선 피폭 저감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e whole body bone scan is an examination that visualizing physiological change of bones and using bone-congenial radiopharmaceutical. The patients are intravenous injected radiopharmaceutical which labeled with radioactive isotope ($^{99m}Tc$) emitting 140 keV gammarays and scanned after injection. The 3 principles of radiation protection from external exposureare time, distance and shielding. On the 3 principles of radiation protection basis, radiopharmaceutical might just as well be injected rapidly for reducing radiation because it might be the unopened radiation source. However the radiopharmaceuticals are injected into patient directly and there is a limitation of distance control. This study confirmed the change of radiation exposure as change of distance from radiopharmaceutical and observed the change of radiation exposure afte rsetting a shelter for help to control radio-technician's exposure. Materials & methods: For calculate the average of injection time, the trained injector measured the injection time for 50 times and calculated the average (2 minutes). We made a source as filled the 99mTc-HDP 925 MBq 0.2 mL in a 1 mL syringe and measured the radiation exposure from 50 cm,100 cm,150 cm and 200 cm by using Geiger-Mueller counter (FH-40, Thermo Scientific, USA). Then we settled a lead shielding (lead equivalent 6 mm) from the source 25 cm distance and measured the radiation exposure from 50 cm distance. For verify the reproducibility, the measurement was done among 20 times. The correlation between before and after shielding was verified by using SPSS (ver. 18) as paired t-test. Results: The radiation doses according to distance during 2 minutes from the source without shielding were $1.986{\pm}0.052{\mu}$ Sv in 50 cm, $0.515{\pm}0.022{\mu}$ Sv in 100 cm, $0.251{\pm}0.012{\mu}$ Sv in 150 cm, $0.148{\pm}0.006{\mu}$ Sv in 200 cm. After setting the shielding, the radiation dose was $0.035{\pm}0.003{\mu}$ Sv. Therefore, there was a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radiation doses with shielding and without shielding ($p$<0.001). Conclusion: Because the great importance of whole body bone scan in the nuclear medicine, we should make an effort to reduce radiation exposure during radiopharmaceutical injections by referring the principles of radiation protection from external exposure. However there is a limitation of distance for direct injection and time for patients having attenuated tubules. We confirmed the reduction of radiation exposure by increasing distance. In case of setting shield from source 25 cm away, we confirmed reducing of radiation exposure. Therefore it would be better for reducing of radiation exposure to using shield during radiopharmaceutical injection.

      • PET/CT 검사에서 움직임에 의한 인공물의 산란제한보정법 적용 영상 평가

        반영각,이승재,김정열,오신현,남궁혁,박훈희,강천구,임한상,이창호,Bahn, Young Kag,Lee, Seung Jae,Kim, Jung Yul,Oh, Sin Hyun,Nam-Koong, Hyuk,Park, Hoon-Hee,Kang, Chun Koo,Lim, Han Sang,Lee, Chang Ho 대한핵의학기술학회 2012 핵의학 기술 Vol.16 No.2

        PET/CT 검사에서 환자의 움직임으로 인해 영상에서 냉소 인공물이 발생한다. 본 연구는 Discovery 600 PET/CT 장비의 산란제한보정법을 이용하여 영상을 평가하고 환자의 움직임으로 인한 냉소 인공물의 개선을 연구했다. Discovery 600 PET/CT 장비로 산란보정법과 산란제한보정법의 방사능 섭취와 표준섭취계수의 차이를 평가하기 위해 1994 NEMA Phantom$^{TM}$을 사용하였다. 또한 움직임에 의한 인공물을 재현하여 산란제한보정법을 적용한 방사능의 섭취 차이와 표준섭취계수의 차이를 비교 평가하였다. 산란제한보정법은 산란보정법과의 방사능 섭취, 표준섭취계수의 평가에서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05). 그리고 환자의 움직임으로 인한 PET/CT 영상에서의 산란보정법을 적용한 영상은 방사능 섭취가 최대 3.1 kBq/ml에서 0.04 kBq/ml로 약 98.7% 과소평가되었다. 그러나, 산란제한보정법을 적용한 영상은 방사능 섭취가 최대 3.0 kBq/ml에서 2.11 kBq/ml로 약 30%만 과소평가되었다. 표준섭취계수는 1.05에서 0.006으로 약 98% 과소평가 되었으나, 산란제한보정법을 적용 후 0.67로 측정되어 약 25%만 과소평가되었다. 방사능의 섭취와 표준섭취계수에서 산란제한보정법은 산란보정법에 비해 약 60% 이상 개선 효과가 있었다. PET/CT 검사 시 환자의 움직임에 의한 냉소 인공물이 발생한 환자에서 산란제한보정법을 적용한다면, 정확한 진단에 도움을 줄 것으로 사료 된다. Purpose : Arm motion can give rise to striking cold artifact on PET/CT. We investigated that evaluation of scatter-limit correction and correct the patient arm motion artifact in Discovery 600 PET/CT. Materials and Methods : To evaluate a radioactivity uptake (Bq/ml) and a standard uptake value (SUV), the scatter limit correction and scatter correction were compared using 1994 NEMA Phantom$^{TM}$ in Discovery 600 PET/CT (GE Healthcare, Mi, We). Arm motion phantom study was involved a central 20 cm diameter cylinder simulating the neck and 2 peripheral 10 cm diameter cylinders simulating arms. The positions of the arms were altered so as to introduce different amounts of misalignment. The evaluation of arm motion phantom study used the radioactivity uptake and SUV in scatter correction and scatter limit correction. Results :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radioactivity uptake and SUV did not show the differences in comparisons of the scatter limit correction and the scatter correction that not show (p<0.05). Radioactivity uptake of the scatter correction was up to 3.1 kBq/ml in the 0.04 kBq/ml. It was approximately 98.7% undervalued in the arm motion phantom study. However, Radioactivity uptake of the scatter limit correction was up to 3.0 kBq/ml in the 2.11 kBq/ml. It was approximately 30% undervalued in arm motion phantom study. SUV of the scatter correction was 1.05 to 0.006 and underestimated about 98%. However, an applying SUV of the scatter limit correction changed the value as 0.67 which is underestimated about 25%. Radioactivity uptake and SUV of the scatter limit correction was increased approximately 60%, or more than the scatter correction. Conclusion : It is considered that if the patient arm motion artifact was occurred the scatter limit correction will be applicable to give an accurate diagnosis.

      • 동적신장팬텀시스템 개발에 따른 장비별 사구체여과율의 비교

        강천구,박훈희,오신현,이한울,김정열,오주영,이주영,김재삼,이창호,Kang, Chun Goo,Park, Hoon-Hee,Oh, Shin Hyun,Lee, Han Wool,Kim, Jung Yul,Oh, Joo Yung,Lee, Ju Young,Kim, Jae Sam,Lee, Chang Ho 대한핵의학기술학회 2013 핵의학 기술 Vol.17 No.2

        핵의학 검사 중 동적 신장검사는 신장기능을 평가하는 가장 대표적인 검사법으로 방사성동위원소를 이용하여 시간에 따른 신장의 기능을 평가하고 소변이 배설에 이르기까지의 질환 평가에 유용하다. 이러한 검사영상의 질 평가 및 정량 분석에서 현재 상용화 된 팬텀은 정적 상황만 재현하고 평가할 수 있기 때문에 동적 팬텀을 통한 시간에 따른 신장의 기능적 상황과 혈류속도, 방사성동위원소의 주입량에 따른 다양한 차이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연구가 미비한 상황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를 통해 동적 신장팬텀 시스템을 제작하여 신장의 동적 흐름을 통한 영상을 재현함으로써 핵의학에서 영상학적으로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신장팬텀은 정상 성인 신장을 기준으로 제작하였고, 동적 상황을 재현하기 위하여 혈류의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정량 펌프를 적용하였으며, $^{99m}Tc-pertechnate$를 신장팬텀에 방사성의약품이 집적되고 방광으로 배설되도록 제작하였다. 사용된 방사성의약품은 각 신장팬텀에 각각 주입되도록 하였으며, 주입속도, 방사성의약품, 좌우 신장팬텀에 다른 주입속도에 따른 변화를 확인하였다. 획득한 영상의 분석은 전면상과 후면상 각각의 신장과 방광에 관심영역을 그려 분석하였으며, 재현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각 10회씩 반복하여 분석하였다. 동일한 조건하에 주입속도 40 mL/min로 고정하여 펌프의 압력을 조절하였을 때 방사성의약품이 2-3분 사이에 신장팬텀에 가장 많이 집적되었다가 방광으로 배출되었다. 각 장비별 사구체 여과율은 각각 SYMBIA 1,091 mL/min, FORTE 1,232 mL/min, ARGUS 1,264 mL/min, INFINIA 1,302 mL/min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Tmax 값 그리고 T1/2 값 모두에서 장비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동계수인 CV 값은 5% 이하로 재현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 SYMBIA가 2.67%로 가장 낮게 나타났고, INFINIA가 4.86%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동적신장팬텀시스템이 실제 임상의 신장동적검사를 유사하게 재현이 가능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신장을 통해 방광으로 배설되는 흐름에 대해 시간에 따른 묘사가 충분하게 재현되었으며, 동적 영상의 질을 확인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리라 사료된다. 또한 추후 기능적 영상 분야에 연구 및 정도관리 분야에도 도움이 되리라 여겨진다. Purpose: Currently commercially available phantom can reproduce and evaluate only a static situation, the study is incomplete research on phantom and system which is can confirmed functional situation in the kidney by time through dynamic phantom and blood flow velocity, various difference according to the amount of radioactive. Therefore, through this study, it has produced the dynamic kidney phantom to reproduce images through the dynamic flow of the kidney, it desire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nuclear medicine imaging. Materials and Methods: The production of the kidney phantom was fabricated based on the normal adult kidney, in order to reproduce the dynamic situation based on the fabricated kidney phantom, in this study it was applied the volume pump that can adjust the speed of blood flow, so it can be integrated continuously radioactive isotopes in the kidney by using $^{99m}Tc-pertechnate$. Used the radioactive isotope was supplied through the two pump. It was confirmed the changes according to the infusion rate, radioactive isotopes and the different injection speeds on the left and right, analysis of the acquired images was done by drawn ten times ROI in order to check the reproducibility of each on the front and rear of the kidney and bladder. Results: Under the same conditions infusion rate 40 mL/min fixed to adjust the pressure of the pump when the radiopharmaceuticals between 2-3 minutes in the most integrated in the kidney phantom was excreted inthe bladder. Glomerular filtration rate (GFR), respectively, by each device SYMBIA 1,091 mL/min, FORTE 1,232 mL/min, ARGUS 1,264 mL/min, INFINIA 1,302 mL/min in that there is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Tmax values and T1/2 values stars from all equipment with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CV values of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less than 5% was found to be repeatable, and to 2.67% of the lowest SYMBIA appeared, INFINIA was the highest in the 4.86%. Conclusion: Through this stud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ynamic kidney phantom system is able to similarly reproduce renogram in the actual clinical. Especially, the depicted over time for the flow to be excreted through the kidney into the bladder was adequately reproduce, it is expected to be utilized as basic data to check the quality of the dynamic images. In addition, it is considered to help in the field of functional imaging and quality contr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