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새만금 간척지 곰솔과 졸참나무 수림대의 초기 수고 생장 모형 추정

        이창헌,김현,이총규,강학모,최수임 한국도서(섬)학회 2019 韓國島嶼硏究 Vol.31 No.3

        This study aimed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growth status of tree belts for the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forest zone in the development of the Saemangeum reclaimed land. The target location of this study was the tree belts established at the Saemangeum reclaimed land, and planted with Pinus thunbergii and Quercus serrata in November 2012. The height growth model was estimated using height growth data collected over four years from November 2012 to October 2016, and rearranged to include all possible growth measurements determined on a yearly basis. Moreover, the optimal height growth model was estimated by fitting the rearranged data to the non-linear anamorphic and polymorphic algebraic difference equations showing a lying S-shape that is similar to the growth pattern of trees. In case of both P. thunbergii and Q. serrata tree belts, the anamorphic algebraic difference equation exhibited a biased residuals pattern (Gompertz and Schumacher) or was likely to cause certain problem in estimating a model (Chapman-Richards and Hossfeld). All polymorphic equations, other than the Hossfeld equation, demonstrated excellent fit to the rearranged data. The results of development in the growth model revealed that the Chapman-Richards polymorphic equation was most suitable for the initial height growth model of the P. thunbergii tree belt, while the Gompertz polymorphic equation was most suitable for the Q. serrata tree belt. In case of both tree belts, the height estimation showed very high accuracy (P. thunbergii tree belt, -0.06 cm in average residuals and 41.5 cm in standard deviation; Q. serrata tree belt, 0.5 cm in average residuals and 46.2 cm in standard devia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and has value over other studies, as it targeted the artificial tree belts established at the Saemangeum reclaimed land. In addition, the estimated model can provide robust scientific data required for management and administration of the tree belts of P. thunbergii and Q. serrata during the initial establishment stage. 본 연구는 새만금 간척지 개발에 따른 수림대의 조성 및 관리에 필요한 수목의 생장 정보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연구 대상지는 새만금 노출 간척지에 곰솔과 졸참나무로 조성된 수림대로써, 2012년도 11월에 식재하였으며, 2016년도 10월까지 조사한 4년간의 수고 생장 데이터를 이용하여 수고 생장 모형을 추정하였다. 수고 생장 모형 추정을 위한 데이터는 1년 단위의 모든 가능한 생장 측정 기간을 포함하는 데이터로 재배열하여 이용하였다. 또한, 수고 생장 모형의 추정은 수목의 생장 패턴과 유사한 누운 S자 형태를 나타내는 동형과 다형의 비선형 대수차분 방정식에 재배열된 데이터를 적합하여 최적의 수고 생장 모형을 추정하였다. 곰솔 수림대의 경우, 동형 방정식은 잔차의 패턴이 편의를 보였거나(Gompertz, Schumacher) 모형을 추정함에 있어서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Chapman-Richards, Hossfeld). 다형 방정식 중 Hossfeld 방정식을 제외한 나머지 방정식들은 재배열된 데이터와 우수한 적합성을 보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생장 모형을 전개한 결과 Chapman-Richards 다형 방정식이 곰솔 수림대의 초기 수고 생장 모형으로 가장 적절하였다. 이때 잔차의 평균은 -0.06㎝, 표준편차는 41.5㎝로 수고 추정에 있어서 고도의 정확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졸참나무 수림대의 경우, 동형 방정식은 잔차 패턴의 편의(Gompertz, Schumacher), 모형 추정에 있어서의 문제점 발생 가능성(Chapman-Richards, Hossfeld)이 확인되었다. 다형 방정식 중 Hossfeld 방정식을 제외한 나머지 방정식들에서 재배열된 데이터와 우수한 적합성을 보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생장 모형을 전개한 결과 Gompertz 다형 방정식이 졸참나무 수림대의 초기 수고 생장 모형으로 가장 적절하였다. 이때 잔차의 평균은 0.5㎝, 표준편차는 46.2㎝로 고도의 정확도를 나타내는 모형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새만금 노출 간척지에 인공 조성된 수림대를 대상으로 하였다는 점에 있어서 기존 연구들과는 다른 중요성과 가치가 있으며, 추정된 모형은 곰솔과 졸참나무 수림대의 조성 초기의 합리적이고 과학적인 경영·관리에 필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경판방각소설 숙향전 판본의 재검토

        이창헌 열상고전연구회 2010 열상고전연구 Vol.31 No.-

        경판방각소설 숙향전 자료가 새로 나타났다. 현전하던 자료(<하30장본>, <상20장본>, <중21장본>, <하23장본>)에 근거하여 이미 그 존재가 추정되었던 자료(<상33장본>)를 포함하여, 전혀 예상하지 못했던 자료(<단44장본>)까지 나타났다. 숙향전 <상33장본>은 “戊午九月冶洞新板”이라는 간기를 가지고 있으며, <단44장본>은 “乙巳十月 由洞新板”이라는 간기를 가지고 있다. 이들 행문을 중심으로 판본 사이의 관계를 살핀 결과 <상33장본> <하30장본>으로 된 <상하63장본>에서 <단44장본>이 나온 것이 아니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단44장본>에서 <상하63장본>이 나온 것도 아니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상하63장본>과 <단44장본>에 선행하는 판본을 공동모본으로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또한 <단44장본>에 나타나는 을사년은 1785년으로, <상33장본>과 <하30장본>에 나타나는 무오년은 1798년으로 비정하였다. There are three kinds of <Sukhyang-cheon> Seoul Block Print : 2 vols, newly engraved at 冶洞 Yadong in the year 戊午(1798); 3 vols, newly engraved at 冶洞 Yadong in the year 戊午(1798); 1 vol, newly engraved at 由洞 Yudong in the year 乙巳(1785). The blocks of 2 vols is converted into the blocks of 3 vols. The blocks of 2 vols differs from the blocks of 1 vol in many respects. The blocks of 2 vols is not converted into the blocks of 1 vol, and also the blocks of 1 vol is not converted into the blocks of 2 vols. There will be one more blocks of 1 vol, sixty odd leaves probably. It is newly engraved on the blocks of 1 vol at Yudong, tenth month, 1785. And so it is newly engraved on the blocks of 2 vols at Yadong, from nineth month to tenth month, 1798. And some day the blocks of 2 vols is converted into the blocks of 3 vols.

      • KCI등재

        가청음에 의한 독가시치의 청각 능력 2. 청각 임계비

        이창헌,문종욱,서두옥,Lee, Chang-Heon,Moon, Jong-Wook,Seo, Du-Ok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2000 水産海洋敎育硏究 Vol.22 No.-

        이 연구는 제주도 연안에 분포되어 있는 정치망에서 음향 집어기에 의한 어류의 유집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정치망의 주요 어획 대상 어류인 독가시치를 선택하여, 가청 수중음과 전기 자극을 이용하여 음향 조건학습시켰으며, 주파수와 음압을 변화시켜가면서 심전도를 도출하여 심박 간격의 변화로부터 청각 능력을 알아내는 방법을 이용하여, 독가시치의 청각 문턱치 및 청각 임계비를 측정 조사 한 결과 75, 79, 83의 3단계 백색잡음을 방성하였을 때 독가시치의 청각 문턱치는 백색잡음이 없을 때보다 높게 나타나 마스킹 효과가 나타났고, 측정주파수 200Hz, 300Hz에서 보다 뚜렷하게 나타났다. 독가시치의 청각 임계비는 측정주파수 80, 100, 200, 300, 500, 800Hz에서 대략 28, 23, 31, 34, 40, 52dB이고 마스킹 현상은 음압이 약 70dB 이상의 잡음레벨에서 나타나기 시작하였고 측정주파수 100 - 200Hz에서 신호음을 인식하기 위해서는 음압이 대략 98dB이상, 배경잡음레벨보다 약 23dB이상의 높은 음압이 요구되었다. An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obtain the fundamental data on the auditory thresholds of fishes for catching method using audible frequency sound, the auditory thresholds of dusky spinefoot Siganus fuscescens(Houttuyn) were measured in the presence of masking noise in the spectrum level range of 74 - 83dB re $1{\mu}Pa/{\sqrt{Hz}}$ by heartbeat conditioning technique using pure tones coupled with a delayed electric shock. The auditory critical ratios were about 23 - 34dB at measurement frequency range. The ratio increased almost linearly with increasing frequency from 200 to 500Hz. The noise spectrum level at the start of masking was about 61 - 73dB within the measurement frequency range. This suggests that hearing of dusky spinefoot is masked in the natural environment with the noise spectrum level above 70dB. The sound pressure level of which the signal sound of 100Hz is recognized by dusky spinefoot under the white noise of 70dB is above 98dB and the critical ratio of them is above 23dB.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