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천근과 월굴- ??주역??의 그림과 자연주의적 사유 -

        이창일 한국기호학회 2007 기호학연구 Vol.22 No.-

        The Heavenly Phallus and the Lunar Cavern are the important concepts which represents the mode of circular thinking, i.e. naturalistic thinking in Cosmos. These concepts originated with the Shao Kangchieh's Xiān Tiān Changes Philosophy. He also created many I Ching images with which we has been familiar. These images like the Heavenly Phallus and the Lunar Cavern symbolize the everlasting recurrences in Cosmos. This naturalistic thinking however is not a mere naturalism which separates from the human world, but the mode of thinking which is to show the meaning of human life as it is, in other words, the real facticity of this world. This essay is, with the help of semiotic approach, to aim at the interpretation of that mode of thinking.

      • KCI등재후보

        노인 운동프로그램 참여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 생활양식 변화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창일,홍경주,이원웅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2014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Vol.13 No.-

        본 연구는 노인 운동프로그램이 생활양식 변화와 성공적인 노화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며, 노인 운동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서울 및 수도권에 거주하는 60세 이상 노인 600명을 대상으로 2014년 4월 16일∼5월 3일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 중 566부를 최종 분석으로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배우자가 있는 경우, 학력이 높은 경우, 종교가 있는 경우, 매우 건강한 경우운동프로그램의 참여가 높았다. 둘째, 나이가 어린 경우, 학력이 높은 경우, 경제수준이 높은 경우, 유배우자의 경우, 경제활동을 하는 경우, 종교가 있는 경우, 주관적 건강수준이 높은 경우 생활양식 변화와 성공적노화가 높았다. 셋째, 운동프로그램에 참여하거나 참여기간, 참여빈도, 참여시간이 높은 경우 생활양식 변화와 성공적 노화가 높았다. 넷째, 운동프로그램 참여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에서 생활양식변화는 부분매개효과가 성립됨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운동프로그램은 신체적 기능을 높게 유지할 수 있으며,또한 운동이나 규칙적인 생활, 적절한 식습관 등의 생활양식 변화를 통해 성공적 노화를 향상시킬 수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senior exercise program on successfulaging and lifestyle chang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aged 60 and older living in Seouland metropolitan area and survey was conducted April 16, 2014 to May 3, 2014. The 600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among them 596 questionnaires were finally collected. 566questionnaire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ellows;First, The participation of senior exercise program was higher in people having spouse,higher education, good health. Second, successful aging and lifestyle changes were was higherin younger age, higher education, higher economic levels, economic activity, having religion,the higher level of subjective health. Third, successful aging and lifestyle changes were higherin the case of participating in an exercise program and higher participating period, rate, time ofexercise program. Fourth, lifestyle changes had mediating effect between participation in seniorexercise program and successful aging. The findings of this study imply that senior exerciseprogram can maintain high physical function, successful aging can be improved through lifestylechanges, such as proper eating habits, exercise and regular life.

      • KCI등재

        다산 효변설의 역학사적 검토

        이창일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2015 다산학 Vol.- No.26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historical development and its meaning of yaobian, which is one of Yoklisabop, namely Four Core Methods of interpreting Zhouyi, established by Cheong Yagyong, in Yi learning. The originality of Tasan’s Yi learning seems to be found in the deep¬ening of recognition on the method of interpreting Zhouyi with yaobian theory. But It has been predominatingly evaluated that Tasan’s yaobian theory is not the universal method to interpret Zhouyi, because of only the method of his own. On this issue, looking into the yaobian appearing in the excavated Materials from chinese tomb and the past literatures, we could admit the yaobian to be a universal method to interpret Zhouyi, and Tasan’s method to find it also could be evidenced as a universal one. We find the evidences of yaobian from hexagrams composed of numbers in the excavated Materials, intensively implying the traces of yaobian. Subsequently, we gather the historical evidences that yaobian theory in ZuozhuanThe Commentary of Zou is connected to the Silk- Manuscript Yi from Ma Wang Dui, and once more to Jia Yi賈誼 and Jing Fang京房. Also, we examine the yaobian theorists, explaining concretely Du Jie都絜, Shen Hai沈該 and Zhuzi朱子 in Song dy¬nasty; Chen Yingrun陳應潤 in Yuan dynasty; Huang Daozhou黃道周 in Ming dynasty; Bao Yi包儀, Mao Quiling毛奇齡 in Qing dynasty. Although yaobian theory is not consciously passed down from age to age, it has the synchronic universality naturally draw from the in¬vestigation on Old Classics relevant to Yi. It is to say that the historical significances of Yi Learning on yaobian theorists is to find the yaobian method with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Yi left in Old Classics and decisively apply it to the interpretation of Yi. It can be said that Tasan’s yaobian theory has the synchronic univer¬sality, it result from careful study and research on Old Classic relevant to Yi. Furthermore, Tasan’s yaobian theory has characteristics, which gives an important position to it, as distinct from other yaobian theorists. Tasan’s yaobian theory gives unique and twofold position to yaobian, which is included as one of the Four Core Methods and at the same time transcends them, and makes the Four Core Methods a organized system. It could be said that this is because yaobian is extreme expres-sion of Yi’s authentic thoughts what is called changes. 이 글은 다산 정약용이 수립한 주역해석의 방법인 역리사법 가운데 효변爻變의 역학사적 전개와 그 의미에 대해서 탐색한 것이다. 다산 역학의 독창성은 효변의 해석방법에 대한 인식의 심화에서 찾을 수 있다. 그러나 다산의 효변설은 다산의 독자적인 고안이기 때문에 보편적인 해석방법이 아니라는 평가가 지배적이었다. 이에 대해 주역 관련 출토문물과 역대의 문헌에 등장하는 효변설을 추적하면 효변설이 보편적인 주역 해석 방법이라는 증거를 찾을 수 있고 이를 발견한 다산의 주역 해석 방법 역시 보편적임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출토문물에서 효변을 강하게 암시하는 증거들을 숫자괘를 통해서 탐색한다. 이어서 『좌전左傳』의 효변설이 백서본주역에 연결되고 이러한 효변설이 기원전 가의賈誼와 경방京房에게 계승되고 있는 역사적 증거를 모아보았다. 또한 송대의 도결都絜, 심해沈該, 주자朱子, 원대의 진응윤陳應潤, 명대의 황도주黃道周, 청대의 포의包儀, 모기령毛奇齡 등의 효변설을 살펴보았다. 비록 효변설은 의식적 계승 관계를 통해 전승된 것이 아니지만 고경古經에 대한 탐구에서부터 자연스럽게 도출되는 공시적 보편성을 가진 것이다. 효변론자들의 역학사적 의의는 있는 그대로의 주역을 이해하기 위해 고경에 잔존한 주역의 특징을 연구하다가 효변을 발견하고 이를 심화하여 주역 해석에 과감하게 적용했다는 데 있다. 이러한 효변의 역사 속에서 다산의 효변설은 공시적 보편성을 가진 것으로서 고경에 대한 투철한 연구의 산물이라고 할 수 있다. 더욱이 다산의 효변설은 이전의 효변론자들과 구별되게 효변의 지위를 더욱 특별하게 만들고 있다. 효변설은 핵심적인 주역해석 방법들인 사법 가운데 하나에 포함되면서 동시에 그것들을 초월하여 사법을 하나의 유기적 구조로 만드는 독특한 지위를 가지게 되었다. 이는 효변이 변화라는 주역의 본래적인 사상의 지극한 표현이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 KCI등재

        동아시아 우주론의 해체와 통합 — 동아시아 전통 우주론의 구성 원리인 상관적 사유를 계승한 대안적 우주론의 모색 —

        이창일 동양고전학회 2011 東洋古典硏究 Vol.44 No.-

        이 글은 동아시아 우주론의 미래적 가치에 대한 논의이다. ‘해체’는 동아시아 우주론이 근대세계에 들어와 해체되는 과정과 그 의미에 대한 것이며, ‘통합’은 동아시아 우주론의 현재적 혹은 미래적 전망에 대한 것이다. 우주론은 현재 자연과학의 영역에서 활발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지만, 여기에서 뜻하는 우주론이란 “인간의 총체적 경험을 해석하는 포괄적 도식”이라는 의미로 쓰이고 있다. 이런 의미에서 “세계관”과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이 글은 동아시아 우주론의 원형적 모습에 대한 재구성이나, 그의 해석을 지향하고 있지 않다. 동아시아 우주론을 형성시킨 사유 양식에 대한 논의를 통해, 그 사유 양식의 보편적 특질과 그로부터 구성되는 미래적 우주론의 한 가능성을 타진해 보려고 한다. 이에 따라 동아시아 우주론을 상관적 사유로 구성된 우주론이라 상정하고, 그것이 역사적으로 어떻게 구성되었는지 살펴보고 있다. 구제척으로 조선시대 정약용과 최한기의 상관적 우주론이 가지고 있는 차이점을 분석하고 이들의 우주론이 근대세계와 단절된 것을 확인한 뒤, 이 우주론에 포함된 전근대적 내용은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그 상관적 형식을 계승하는 문제를 살폈다. 이는 동아시아 우주론의 미래적 형태를 구상하는 것인데, 여기서 통합론자인 켄 윌버의 아퀄(AQAL)우주론이 시사하는 바를 비판적으로 짚어보고 있다. It is widely noted that traditional East Asian cosmology has been deconstructed since the Western Impact; thus, it cannot be deemed to be relevant in the present any longer. However, this article holds that the vision of traditional East Asian cosmology can now be re-appreciated as and improved into an alternative world view ("weltanschauung") for the future, which may help solve various problems that we, modern men, are now facing, and that the re-appreciation and improvement process could be made possible by the integration of the essence of traditional East Asian cosmology, viz. "correlative thinking" with rich information provided by the modern science. This article introduces the thinking mode of traditional East Asian cosmology, especially, the correlative thinking in Neo-Confucianism and two critical successors of Neo-Confucianism, Cheong Yak-Yong (1762~1836) and Choi Han-Ki (1803~1877) in late Joseon, who criticized the correlative thinking on one hand and succeeded it partly on the other hand; a consensus of scholarly opinion about the characteristic of the correlative thinking, viz., non-differentiation of fact and value was hardly reached. The gap between being pro and con non-differentiation of fact and value in the correlative thinking can now be regarded as bridgeable when the example of Ken Wilber (1949~) is consulted. Ken advocates the so-called "Kosmology," which emphasizes the integration of fact with value and of non-Western world view with the modern scientific information, showing us quite a possibility that traditional East Asian cosmology can be re-appreciated as and improved into an alternative world view.

      • KCI등재

        다도해해상국립공원 완도·조도 암반조간대 하계에 출현한 대형저서무척추동물

        이창일,양세희,강선화,서총현 해양환경안전학회 2022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28 No.6

        To determine the composition of benthic species on the southwest coast, a macrobenthos study was conducted at 18 sites on the islands of Wando and Jodo for seven summers (2014-2021) from June to September. Two hundred and twenty species(645 ind./㎡) were collected on the rocky shores of Wando and Jodo. A similar number of species was observed in Wando (165 species) and Jodo (167 species). The mean density was higher in Wando (726 ind./㎡) than in Jodo (564 ind./㎡). The number of species was the highest at Site 15 (116 species), and the density was highest at Site 7 (1,664 ind/㎡). The dominant species were Nodilittorina radiata with 175 ind./㎡ (27.1%), Littorina brevicula with 97 ind./㎡ (15.1%), and Heminerita japonica with 41 ind./㎡ (6.3%). The climate change indicator species, Tetraclita japonca, appeared in 15 sites, and the endemic species, Ptilohyale bisaeta, appeared in some sites. Fusinus spectrum, which appears on the Red List as a Near Threatened (NT) species, the lowest level of extinction risk, appeared in Jodo. The macrobenthos of Wando and Jodo demonstrate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rocky shores in Korea. Based on the tides and substrate, the rocky shores revealed a vertical distribution trend where Nodilittorina radiata, Littorina brevicula, Chthamalus challengeri, and Reishia clavigera were dominant. Wando and Jodo exhibited similar habitat distribution patterns. 서남해안 대형저서무척추동물의 출현종 조성을 알아보기 위해 완도와 조도 18개 정점의 암반조간대에서 2014년부터 2021년까지 6~9월에 7회 조사하였다. 완도와 조도 암반조간대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무척추동물은 220종, 645개체/㎡이었다. 종수는 완도 165종, 조도 167종으로 유사하였다. 평균밀도는 완도 726개체/㎡, 조도 564개체/㎡로 완도가 다소 높았다. 종수는 정점 15에서 116종으로 가장 많았고, 밀도는 정점 7에서 1,664개체/㎡로 높게 나타났다. 우점종은 좁쌀무늬총알고둥이 175개체/㎡(27.1%)로 가장 우점하였고, 총알고둥 97개체/㎡(15.1%), 갈고둥은 41개체/㎡(6.3%)순으로 출현하였다. 기후변화지표종인 검은큰따개비가 15개 정점에서 출현하였고, 고유종인 털채찍해조숨이옆새우도 일부 정점에서 출현하였다. 국가적색목록(Red List) 중에 절멸위험(Extinction risk)의 가장 낮은 수준인 준위협의 모난어깨긴뿔고둥이 조도에서 출현하였다. 완도와 조도의 대형저서무척추동물은 우리나라 암반조간대 해안에서 나타나는 일반적인 특징을 보였다. 암반조간대 해안은 조위에 따른 노출 시간과 암반의 기질에 따라 수직적인 분포 경향을 보였으며, 완도와 조도는 좁쌀무늬총알고둥, 총알고둥, 조무래기따개비, 대수리 등 우점하여 서식지 분포 양상이 유사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