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19대 대선 시기 한국 과학기술 정책이슈의 지형 분석

        이다은(Daeun Lee),강민지(Minji Kang),창의(Changui Hong),홍성주(Sungjoo Hong) 한국기술혁신학회 2018 한국기술혁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8 No.5

        본 연구는 19대 대선 시기에 과학기술 정책 담론 형성 과정에서 어떤 행위자들이 어떤 이슈를 제기하고, 담론을 주도하는지를 과학기술계와 정치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과학기술계는 하나의 균질한 집단이 아니고, 다양한 관점과 이해관계가 존재하는 생태계로서 다양한 정책 문제를 제기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정치계는 양당에서 다당체제로 변화했음에도 불구하고, 5대 정당의 과학기술정책 공약은 ‘사람 중심’, ‘4차 산업혁명 대응’으로 수렴하여 전반적으로 큰 차별성 없이 대동소이한 모습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현장의 다양한 과학기술계 이슈를 종합하기 위한 통로가 필요하며, 정책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정치계와 과학기술계와 대화를 장려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과학기술 현장의 목소리는 과학, 기술, 지식의 가치사슬상 서로 다른 이해관계 속에서 도출될 수밖에 없으므로, 정부는 그 다양성을 전제로 정책을 만들어야 한다. 또한, 과학기술정책이 해결해야 할 문제는 나날이 복잡해져가고 있으므로, 과학기술 정책 이슈와 정책 형성 과정을 좀 더 선명히 드러낼 수 있는 미시적인 연구가 더욱 필요하다. This research examines a variety of issues that came out during the nineteenth presidential election focusing on the science and technology society and political circles. It analyzes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issues in the two levels; first is to identify major agents and policy issues of korean science and technology society and political circles. Through this analysis, we aim to figure out what issues they tackle and problematize, on what issues they put priorities, and what policy alternatives they suggest. Second, we draw a geography of issues from science and technology society and political circles, based upon eight major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areas. Our research showed that korean science and technology society is more of an ecosystem of heterogenous interests from scientific knowledge creation to technological advancement rather than a homogeneous group. They raised a variety of issues in terms of policy areas and perspectives. Contrary to scientific society, policy differentiations were hardly found from political circles. But that does not come from neither ignorance nor indifference; but rather it is the nature of politics that they put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out of many other public policies. In other words, the way political circles approach to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is different from that of science and technology society. This result implies a necessity of channels that collect a variety of opinions across the scientific and technology society. Also, concerted efforts to mediate policy issues between scientific community and political circles are nee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