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절개지 사면의 생태환경 복원을 위한 자생식물 조합

        이창숙 ( Chang Shook Lee ),서형민 ( Hyoung Min Suh ),김동근 ( Dong Geun Kim ),엄상미 ( Sang Mi Eum ),최선아 ( Sun A Choi ),이남숙 ( Nam Sook Lee ) 한국환경보건기술학회(구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 2009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Vol.12 No.6

        To suggest the native plants combination for restoration of the dissected sloping area, the plant communities of thirty seven quadrats from five localities of mid-southern part of Korean peninsula were surveyed from 2007 to 2008. Their flora, vegetation structure, and dominant species based on the importance value were investigated. And the soil characters (pH, moisture content, water holding capacity, and organic matter) of each dominant species were analyzed. Also, germination tests were performed to check the stability of restored native plants using seed chips. As a result, 79 native plants were suggested for the dissected sloping area: 20 trees and subtrees for the upper layer, 18 shrubs and vines for the middle layer, and 41 herbs for the lower layer, taken together their flora, dominant species, vegetation structure, soil condition, germination test, flowering period.

      • SCOPUSKCI등재

        한국산 사초속 감둥사초절의 분류학적 연구

        오용자,이창숙,유경진,Oh, Yong Cha,Lee, Chang Shook,Ryu, Kyung Jin 한국식물분류학회 2001 식물 분류학회지 Vol.31 No.3

        한국산 사초속(Carex L.) 감둥사초절(section Atratae Kunth) 7분류군을 대상으로 외부형태학적 형질을 재검토하고, 광학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과낭, 수과와 잎의 표피형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얻어진 정량적 형질(줄기, 잎, 이삭, 비늘조각, 포, 과낭과 과낭부리, 수과의 길이와 너비)과 정성적 형질(이삭, 비늘조각, 과낭과 수과의 모양, 줄기와 잎의 횡단면, 비늘조각 윗 부분의 모양) 및 과낭과 수과의 표피세포모양, 잎의 표피구성요소(기본표피 세포의 모양, 세포벽 굴곡의 형태, 규소체의 수와 모양, 기공복합체의 크기와 빈도), 잎의 유두돌기와 가시돌기의 유무가 종을 식별하는데 유용하였다. 감둥사초절 7분류군은 줄기 정단부에 위치하는 이삭의 형태와 과낭부리의 모양, 수꽃이삭의 모양, 줄기의 길이에 따라 2그룹(group)으로 구분되었다. 제 1그룹은 감둥사초(C. atrata L.), 늪사초(C. buxbaumii Wahlenb.: 국명신칭), 덕진사초(C. gmelinii Hook. & Arn.), 해산사초 (C. hancokiana Maxim.)와 백두사초 (C. peiktusani Komarov)이며, 제 2그룹은 북사초(C. augustinowitzii Menish.)와 진들검정사초(C. meyeriana Kunth)이다. 또한 외부형태가 유사한 덕진사초, 해산사초와 백두사초는 비늘조각의 끝부분, 잎표피형, 수과와 과낭의 모양과 표피형에 차이가 있어 각 각을 구분할 수 있었다. Morphological characters of section Atratae of the genus Carex (Cyperaceae) were reexamined. The epidermal patterns of perigynium, achene and leaf were investigated using by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and a light microscope (LM). Morphological characters such as length and width of stem, leaf, bract, spike, scale, perigynium and achene, and shape of cross-sectioned stem, and leaf, spike, scale, apex of scale, perigynium, beak of perigynium and achene, and epidermal pattern of perigynium, achene and leaf (shape of fundamental epidermal cell and cell wall, type of silica body, shape of beak epidermal cell and cell wall in perigynium, subsidiary cell shape, size and frequency of stomatal complex of leaf) were useful for the identifications of the observed seven taxa. C. gmelinii, C. hancokiana and C. peiktusani have been confused each other due to similar morphological characters. Howerever these taxa were distinct with respect to shape of scale, apex of scale, perigynium, type of silica body, frequence of stomatal complex, subsidal cell shape, and epidermal patterns of achene and leaf.

      • 韓國末紀綠種植物 꼬마은난초(新稱)

        오용자,李昌淑 성신여자대학교기초과학연구소 1988 基礎科學硏究誌 Vol.5 No.-

        The authors recently discovered unrecorded and a new vascular plant species, Cephalanthera erecta(Thunb.) Blume var. subaphylla(Miyabe & Kudo) Ohwi, in Korea from Mt. Keum-san, Namhaedo, Kyongnam, southern part of Korea. The plant was reported from Japan by Ohwi(1953).

      • 韓國産 羊齒植物 圖譜Ⅰ

        吳용子,李昌淑 誠信女子大學校 1991 硏究論文集 Vol.31 No.1

        한국산 양치식물 35종은 직접 채집하여 연구한 해부도와 연구내용을 종합하여 1차적으로 정리하였다. 양치식물을 구별할 수 있는 주요한 특징을 기재하고, 식물전체의 특징을 그리거나 사진을 찍어 도해작성하였다. 식물체계는 그간 학자간에 의견을 달리하였던 두개의 과를 그 간의 연구를 통해 고사리과(Pteridaceae)는 Dennstaedtiaceae(잔고사리과)와 Adiantaceae(공작고사리과)로 나누었고, Aspidiaceae(면마과)는 Onocleaceae(야산고사리과), Athyriaceae(개고사리과), Dryopteridaceae(관중과), Thelypteridaceae(처녀고사리과)로 나누었다. The descriptions and anatomical charts about 35 species of the Korean ferns were arranged firstly. These distinct characters could divided tile ferns, and these were observed by light and stereo microscopes. During the time, the fern systems were dealt differently by many scholars. And so, in this paper through the many studies, the family Pteridaceae and the family Aspidiaceae were divided as follows : Pteridaceae was divided with Adiantaceae and Dennstaedtiaceae, and Aspidiaceae was divided with Onocleaceae, Athyriaceae, Dryopteridaceae and Thelypteridaceae.

      • 한국산 관중과(Dryopteridaceae)의 계통분류학적 연구

        이창숙,김성민,오용자 성신여자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1993 基礎科學硏究誌 Vol.10 No.-

        본 연구는 Dryopteroid fern의 과와 속의 위치를 정하고자 한국산 dryopterooid fern 4속 13종을 대상으로 외부형태와 내부형태학적 특징을 비교조사하였다. 관찰된 특징으로는 잎자루 우편에 있는 비늘조각의 모양과 크기, 잎몸과 우편의 모양, 소우편의 배열상태, 홈의 연결상태, 잎맥의 분지모양, 포막의 모양과 크기, 잎의 표피형과 중축과 잎자루 중심주의 모양등을 조사하였다. 관찰결과 dryopteroid fern은 중축에 홈이 있으며, 비늘조각의 가장자리는 거의 밋밋하고, 잎자루의 분주수가 3-7개이고, 포막이 신장형이거나 둥근 방패형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는 점이 aspidioid fern, onocleoid fern, athyroid fern, thelypteroid fern과 다르므로 dryopteroid fern을 면마과에서 독립시켜 Dryopteridaceae(관중과)로 하고 이에 한국에 분포하는 4속 즉 Polystichum, Cyrtomium, Rumohra와 Dryopteris을 소속시켰다.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some taxonomic problems such as the delimiation of intrafamilial groups and good diagnostic characters. The external and internal morphological characters such as shape of scale in stipe and pinna, shape of pinna and lamina, arrangement of pinnule, groove type, leaf venation, shape of indusium, epidermal patterns and shape of stele were observed about thirteen species belong to four genera of the Korean dryopteroid ferns. As the result, the Korean dryopteroid ferns can be seperated from Aspidiaceae, because the dryopteroid fern has grooved rachis, almost entire scale, three to seven meristeles, reniform or peltate indusium. The Korean Dryopteridacaceae include 4 genera(Polystichum, Cyrtomium, Rumohra and Dryopteris).

      • Leaf epidermal patterns of some Carex species in Korea

        Oh, Yong Cha,Lee, Chang Shook 誠信女子大學校 1989 硏究論文集 Vol.29 No.1

        한국산 사초속(Carex)식물 11절, 28종의 잎의 표피형을 광학현미경을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주로 조사된 특징은 기공의 크기, 부세포의 모양과 배열, 긴세포의 벽과 모양, 규소체, 가시털, 유두상 돌기 등의 유무와 모양이 조사되었다. 조사결과, 표피형의 구성요소는 종류에 따라서 차이가 있으므로 사초속 식물의 감별 및 분류에 사용할 수 있는 좋은 형질이 되었다. The epidermal surface of the leaf blades 28 species, 11 sections of Korean Carex(Cyperaceae) was examined under a light microscope. For the identification and classification of Car ex the following characters were found useful; shape of subsidiary cell, silica bodies, morphology on the wall of intercostal cell, prickle, papillae and arrangement of the elements. Characteristically, epidermal data support the present classification and identification of the Carex species.

      • 한국산 야생식물의 화학분류학적 연구

        오용자,이창숙 덕성여자대학교 식물자원연구소 1993 植物資源硏究誌 Vol.1 No.-

        한국산 야생식물 5종 즉 냉이, 닭의장풀, 메꽃, 참마와 며느리배꼽에 관해 식용 및 약용자원식물로서의 가치를 밝히고저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외부형태와 내부형태를 조사하였으며, 화학분류연구로서 paper chromatography에 의한 flavonoids 물질 분석을 통해 각 종의 정확한 종을 동정하였고, 유사종과의 유연관계를 비교분석하여 이들 종들의 계통을 밝히었다. 이들 결과로서 각 종들의 서식처를 달리하여 외부, 내부형태의 형질변화를 알아 보았으며, 각 서식처에 따른 flavonoids 물질의 검출여부를 밝혔고, 각 종간에 얻어진 spots의 Rf치, colour 변화, chromatogram과 UV spectral data를 통해 flavonoid type과 oxidation pattern을 얻었다. Five species of Korean wild plants, that is Capsella bursa-pastoris. Commelina communis, Calystegia japonica, Dioscorea Japonica and Persicaria perfoliata were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value of medical and esculent plants about them. The external and internal morphological characters were observed about them and similar species. And flavonoid chemistry by paper chromatography were examined about them. As the result. the vary habitats investigated among each species. were changed the external and internal characters of them. Flavonoid compounds of each spots were isolated and identified the flavonoid types and oxidation patterns through Rf values, colour changes, chromatograms and UV spectral datas.

      • 韓國産 羊齒植物 圖譜 Ⅱ

        오용자,이창숙 誠信女子大學校 1992 硏究論文集 Vol.32 No.-

        한국산 양치식물중 2과 8속 13종을 직접 채집하여 연구한 해부도와 연구내용을 종합하여 정리하였다. 양치식물을 구별할 수 있는 주요한 특징을 기재하고 식물전체의 특징을 그리거나 사진을 찍어 도해작성하였다. The descriptions and anatomical characters about 13 species, 8 genera, 2 families of the Korean ferns were arranged. These distinct characters could divided the ferns, and these were observed by light and stereo microscopes. And these important characters were drawing u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