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항원성 자극을 받은 임파절세포의 Rough Surfaced Endoplasmic Reticulum 의 변화

        이창수,권세훈,손태중,Lee Chang-Soo,Kwon Sae-Hoon,Sohn Tae-Joong 한국현미경학회 1973 Applied microscopy Vol.3 No.1

        토끼의 족서부 피하로 Bovine Gamma Globulin과 Ineomplete Freud's Adjuvant를 주입한 후 국소임파절내의 항체생산 세포인 형질세포의 rER을 경시적으로 관찰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항원투여전의 형질세포의 rER 는 일반적으로 편평낭상 (flattened sac) 을 정하고, 항원 투여 후 3 일째에는 일반적으로 소포상 (vesic lar) 를 그리고 7 일내지 10 일째에는 공포상 (vacuolar) 를 정하고 그 강내에는 intracisternal granule 이 다수 출현하며 20 일째에는 다시 확장낭상 내지는 편평낭상을 정하게 된다. 이상의 연구성적으로 보아 편평낭상을 정하는 형질세포의 rER에 항원성 자극을 가하면 처음에는 소포상으로 되었다가 공포상으로 변화하며, 항원 성자극이 소퇴하면 다시 편평낭상으로 복귀된다고 생각된다. The changes of rough surfaced endoplasmic reticulum of plasma cells in the regional lymph node after injection of Bovine Gamma Globulin summarized as follow: The rough ER of plasma cells before antigenic stimulation shows flattened sac but changed to vesicular at 3rd day and vacuolar at 7th to 10th day. lntradisternal granules are appeared within the lumina or rough ER at 7th to 10th day. The rough ER is changed to distended sac or flattened sac at 20th day. The results suggest that normally flattened sac of rough ER is changed to vesicular and then to vacuolar after antigenic stimulation. But they are returned to distended sac or flattened sac with disappearance of antigenic stimuli.

      • KCI등재

        반복하중 시 발생하는 미소파괴음을 이용한 KURT 화강암의 손상도 평가

        이창수,이경수,김진섭,최희주,Lee,Chang-Soo,Lee,Kyung-Soo,Kim,Jin-Seop,Choi,Hey-Joo 한국방재학회 2012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2 No.6

        본 연구에서는 Acoustic Emission (AE)기법을 이용하여 반복하중을 받는 화강암의 손상도를 평가하였으며 AE는 변형에너지의 일부이기 때문에 손상의 절대적 지표인 응력-변형률 곡선 결과와 비교하였다. 응력-변형률 곡선 결과 중 소산에너지 결과만이 재하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손상이 증가하며 특히 5번째 재하(3번 시료는 6번째)에서부터 손상이 0.23에서 0.48로 급격히 증가하였다. AE 에너지를 이용한 결과 또한 이와 유사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이에 두 결과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상관관계는 0.988로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AE 에너지를 이용하여 암석시료의 손상규준을 평가한 결과 화강암의 손상도가 0.3이하, 0.3~0.6, 0.6이상을 기준으로 손상등급은 초기, 중간, 심각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이 때의 횡 방향 변형계수는 평균 9%, 18%, 28% 감소, 포아송비는 65, 88, 108% 증가하였다. In this study, damage assessment of granite under uniaxial cyclic incremental loading was analyzed by the acoustic emission (AE) techniques and the obtained results were compared with stress-strain curve data. As the loading cycle number increased, the dissipated energy result obtained from stress-strain curve was only shown the rock samples were gradually damaged, then damage degree increased 0.23 to 0.48 from the 5th cyclic loading in stress-strain curve data. AE energy result also began to increase the damage degree dramatically at the same stage and it was similar to the result of dissipated energy. Thus, AE result was correlated with dissipated energy measurement and it was highly correlated (<TEX>$R^2$</TEX>=0.988). As a result, the criterion to qualify the damage could be denoted by minor, intermediate and heavy damage, respectively given by 0.30, 0.30~60, 0.60 of damage degree based on AE energy. However, the lateral deformation modulus and poisson`s ratio was decreased 9%, 18%, 28% and increased 65%, 88%, 108% at each damage level.

      • KCI등재

        능동적 블록정합기법을 이용한 객체의 움직임 검출에 관한 연구

        이창수,박미옥,이경석,Lee Chang-Soo,Park Mi-Og,Lee Kyung-Seok 한국통신학회 2006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31 No.4c

        카메라를 통한 객체의 움직임 검출은 불필요한 잡음이나 조명의 변화에 따라 정확한 움직임을 검출하는 것은 어렵다. 또한 객체의 유입 후 일정시간 동안 움직임이 없을 경우에는 배경으로 인식될 수도 있다. 따라서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영상에서 정확한 객체를 추출하고 움직임을 검출할 수 있는 알고리즘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객체의 정확한 움직임을 검출하기 위한 방법은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배경영상의 일부를 교체하고, 객체가 유입된 시점에서 객체의 영역을 추출하기 위하여 그물형 픽셀검사를 통하여 객체의 윤곽점을 추출한다. 추출된 윤곽점은 객체의 사각영역인 최소블록의 생성과 객체의 움직임을 빠르게 검출하기 위한 가변 탐색블록을 생성하여 정확한 객체의 움직임을 검출한다. 설계하고 구현한 시스템은 실험을 통한 성능평가에서 95% 이상의 높은 정확도를 보였다. It is difficult for the movement detection of an object through a camera to detect exact movement because of unnecessary noises and changes of the light. It can be recognized as a background, when there is no movement after the inflow of an objec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ast search algorithm for tracking and extract of object that is realtime image. In this thesis, we evaluate the difference of the input vision based on initial image and replace some pixels in process of time. When there is a big difference between background image and input image, we decide it is the point of the time of the object input and then extract boundary point of it. The extracted boundary point detects precise movement of the object by creating minimum block of it and searching block that maintaining distance. The designed and embodied system shows more than 95% accuracy in the performance test.

      • KCI등재

        수정(修正)된 Jones모형(模型)을 이용(利用)한 한국(韓國)의 성장요인(成長要因) 분해(分解)

        이창수,Lee, Chang-Su 한국개발연구원 1999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KDI JEP) Vol.21 No.2

        Romer류의 내생적 성장모형과 신고전학파의 성장모형을 통합한 Jones(1997, 1998a)에 의하면 장기균형성장요인의 기여도가 예상보다 작고 여러 단기요인의 성장기여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고에서는 기술이용능력과 모방노력의 개념을 도입하여 Jones모형을 수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한국의 성장요인을 분해한다. 이에 따르면 대GDP 투자비중, 연구인력비율 및 취업자 교육연수의 증가 등 이행경로상의 단기요인이 지난 30년간의 노동생산성 증가의 78%를 설명하고 있으며 균형성장경로 요인의 기여도는 22%에 지나지 않는다. 자본축적의 뒤를 이어 R&D 투자 등 새 단기요인의 역할이 증대되면서 우리나라의 경제성장률이 크게 하락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 KCI등재

        고정도 3상 직선형 절대 위치 센서의 구현

        이창수,Lee, Chang Su 한국전기전자학회 2015 전기전자학회논문지 Vol.19 No.3

        Recently a demand for high precision absolute position transducer is increasing in order to control thickness in steel industry. LVDT (linear variable differential transformer) is widely used to measure the absolute position in the linearly moving cylinder under poor factory environment. In this paper we implement the three phase LVDT with a high resolution of one micron and L/D (LVDT to digital) converter. First we designed U, V, and W three phase signaling using FPGA. Second a pulse output algorithm is designed for position information with A and B phase waveforms. Finally the performance is compared with previous sensors. Experiments show that the linearity deviation error is 0.009788 [mm] and the average sinusoidal THD is 0.0751%, which means 2.2% and 33% more improved result than the previous sensors respectively. 최근 들어 철강의 두께 제어를 위해 고정밀도의 절대 위치 검출 센서에 대한 필요성은 증가하고 있다. 열악한 공장 환경 하에서 직선 운동하는 실린더의 절대 위치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LVDT가 널리 사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1 미크론의 고해상도를 가지는 3상 LVDT 및 L/D (LVDT to digital) 변환기를 구현하였다. 이를 위하여 첫째 U, V, W 3상 정현파에 대한 시그널링을 FPGA로 설계하였다. 둘째 위치 정보에 대한 A상, B상 펄스 파형 출력 알고리즘을 구현하였다. 마지막으로 성능 평가를 위하여 기존의 센서들과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 직선성 편이 오차는 0.009788 [mm] 로써 2.2% 향상된 결과를 얻었고 정현파의 왜곡률은 평균 0.0751%로 기존보다 33%의 향상된 결과를 얻어 우수한 센서임을 입증하였다.

      • KCI등재후보

        콘크리트 수분관련 수축에 관한 다중물리모델

        이창수,박종혁,Lee. Chang-Soo,Park. Jong-Hyok 한국방재학회 2009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9 No.2

        물-결합재비 0.4이하의 고성능 콘크리트 수축 변형을 파악하기 위해 전체 수축을 수분의 외부이동에 의한 건조수축과 수분의 내부소모에 의한 자기수축으로 분리한 후, 자기건조에 의한 상대습도 변화와 변형률의 관계를 묘사하기 위하여 계면역학적 접근법에 의한 습도-변형률 관계를 설정하였다. 이에 대한 검증을 위해 자기수축 시험체에서의 습도-수축 측정을 수행하였으며, 기존 연구 모델인 Tazawa, CEB-FIP 모델에 비하여 측정값과 가장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어 본 연구에서의 자기수축모델은 자기건조에 따른 자기수축은 선형성을 나타내는 수분의 외부이동에 의한 수축과는 달리 지수적 관계를 갖는 특성과 초기재령에서의 급속한 자기수축 발현 특성을 적절히 묘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후 본 연구의 수분이동-수축 모델을 반영하여 온도, 수분이동, 변형률 해석의 다중물리 모델 해석과 모형시험체 측정을 수행한 결과 매우 유사한 값을 나타내어 본 연구를 통해 측정된 수분의 내부소모에 의한 습도와 수축변형률을 고려한 다중물리모델은 타당할 것으로 판단된다. Water binder ratio combine high-performance concrete shrinkage of less than 0.4 to determine the transformation to a total shrinkage of water to move outside and internal consumption of moisture due to drying shrinkage and autogenous shrinkage, and then, the relative humidity changes and strain to be approached by surface physics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esiccation and autogenous shrinkage was set. To verify the self-desiccation in the humidity shrinkage and humidity measurements performed, and the research model, Tazawa, CEB-FIP model than to let the measure and the most similar results in this study based on self-desiccation model, autogenous shrinkage didn`t represent the linear shrinkage by the drying shrinkage of the external moving but exponential relationships, unlike with the nature and rapid in the early age properly describes the attributes in shrinkage could see. After this research to move moisture and to reflect the shrinkage model, temperature, moisture transfer, strain analysis by multi-physics model is very similar to the results of mock-up specimen measurements performed for this research, the value measured by the internal consumption of moisture, therefore self-desiccation and a multi-physics model considering autogenous shrinkage might be relevant.

      • Investigation and Evaluation on Performance of Durability for Freeway Concrete Viaducts in Seoul Metropolitan Area

        이창수,윤인석,Lee, Chang-Soo,Yoon, In-Seok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2002 한국방재학회지 Vol.2 No.1

        본 연구는 서울시내 위치한 39개 콘크리트 고가차도의 중성화 깊이, 가용성 염화물량 및 철근의 자연전위 등을 측정하여 열화의 원인을 분석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전체 조사대상 구조물 가운데 철근위치까지 중성화 깊이가 진행된 구조물은 약 25%에 해당되었으며 중성화 속도는 물-시멘트비 60%, R=1의 조건인 kishitani의 제안식 3.727 $\sqrt{t}$ 보다 5%가 빠른 3.92 $\sqrt{t}$로 나타났다. 콘크리트의 염화물량의 조사결과에서는 전체 측정부위의 24%가 임계염화물량을 초과하였으며 철근의 자연전위는 -350mV(vs. CSE)이하로 측정된 것이 약 31%에 해당되는 구조물로서 과다한 염화물량이 철근부식의 주요 원인이 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자연전위 -350mV 이하인 구조물에 한한 철근부식의 주요요인을 추정한 결과, 약 60%에 해당하는 부위가 치대 허용염화물량을 초과하였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The objectives of this paper were to obtain the fundamental data to analyze the causes of deterioration of 39 freeway concrete viaducts in Seoul metropolitan area.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concrete deterioration, carbonation depth, soluble chloride concentration in hardened concrete and half-cell potentials of reinforcement were measured. The number of structures which carbonation depth penetrates to reinforcement was 25% of total. The model of carbonation .ate was induced to 3.92 $\sqrt{t}$, which was 5% faster than 3.727 $\sqrt{t}$ assumed 60% water-cement ratio, R=1 in that of kishitani. After measuring chloride concentration in concrete, it was concluded that about 24% of all readings on samples from concrete exceed the critical content to minimize the risk of chloride-induced corrosion. About 31% of the freeway viaducts structures had a value lower than -350mV(vs. CSE), so it could conclude that the excessive chloride concentration was the major cause of reinforcement corrosion. Among the structures which measured half-cell potentials less than -350mV, about 50% exceeds the maximum acceptable limit of chloride concent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