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주관적 건강 상태 영향요인

        이창관(Chang Kwan Lee) 안전문화포럼 2022 안전문화연구 Vol.- No.19

        고령화율 20%를 바라보는 현 시점에서 노인의 건강상태를 정확히 파악하고 필요한 지원을 제공하는 것은 노인과 그 가족의 삶의 질 제고를 위해 중요하다. 노인에게 있어 건강은 다른 연령층보다 상대적으로 삶의 만족도에 큰 의미를 가지는 변수이며, 노인의 신체적 건강이란, 단순히 진단받은 질병이 없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중간 정도의 신체적 일을 할 수 있는 수준을 일컫는다. 최근 질병 여부와 관계없이 노인 본인이 주관적으로 느끼는 신체적, 정신적 상태 즉, 주관적 건강 상태가 개인의 건강상태를 보여주는 중요한 기준으로 제시됨에 따라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2020년도 노인실태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65세 이상 노인으로,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우리나라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에 대한 영향요인을 분석한 이차자료 분석연구이며 본 연구에는 7,016명이 최종분석에 포함되었다. 본 연구의 종속변수는 주관적 건강상태이며, 주관적 건강상태에 따라 대상자를 양호군, 보통군, 불량군의 세 군으로 분류하였고 독립변수에는 인구 사회학적, 건강상태, 건강행위, 사회적 지지, 정신건강 요인을 포함하였다. 노인실태조사 자료는 확률표본이므로 복합 표본설계 단변량 단순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과 단변량 다중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7,01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나 이는 층화집락계통추출법을 사용한 확률표본이므로 5,031,621명으로 일반화할 수 있다. 연구결과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는 양호군 49.6%, 보통 군 31.2%, 불량 군 19.2%로 나타났다. 주관적 건강상태에 대한 영향요인으로 연령, 종교, 가구소득, 만성질병 수, 일상생활기능 제한, 도구적 일상생활기능 제한, 운동, 우울, 경제상태 만족도가 규명되었다. 구체적으로는 주관적 건강상태 양호 군에 비해 보통 군이 될 가능성은 연령이 65~74세에 비해 75~84세에서 1.63배 증가하였고, 교육기간은 초등학교 졸업이하에 비해 대학 졸업이상에서 0.37배, 가구소득은 분위가 오를수록 감소하였다. 만성질병 수는 없음에 비해 질병 수가 많을수록, 도구적 일상생활기능 제한은 없음에 비해 있음이, 운동은 하는 군에 비해 안 하는 군에서, 우울은 없음에 비해 있음에서, 경제상태 만족도는 만족 군에 비해 불만족 군에서 증가하였다. 주관적 건강상태 양호 군에 비해 불량 군이 될 가능성은 연령 65~74세에 비해 연령이 높아질수록 증가하였고, 종교는 있음에 비해 없음에서, 가구소득은 제1 오분위에 비해 분위가 올라갈수록 감소하였다. 만성질병 수는 없음에 비해 여러 개일수록, 특히 5개 이상에서는 117.47배 증가하였다. 일상생활기능 제한과 도구적 일상생활기능 제한은 없음에 비해 있음이, 운동은 하는 군에 비해 안하는 군에서, 우울은 없는 군에 비해 있는 군에서, 경제상태 만족도는 만족 군에 비해 불만족 군에서 증가하였다. 이들 변수를 기반으로 간호사는 주관적 건강 상태 보통 군과 불량군의 주관적 건강상태를 높이기 위한 간호중재 전략을 적극적으로 개발하고 시행하여야 한다. 또한 주관적 건강상태 보통 군과 불량 군을 대상으로 교정 가능한 영향요인을 규명하는 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 Health status traditionally has been measured by objective indicators such as life expectancy or prevalence, but recently, the physical and mental state subjectively felt by the person regardless of disease status, that is, self-rated health is presented as an important criterion for showing an individual's health status.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self-rated health and its associated factors of the elderly. This study is a secondary data analysis study that analyzes the factors influencing self-rated health of the Korean elderly dwelling in the community. A total of 7,016 elderly people aged over 65 were selected and analyzed using the 2020 National Older Koreans data. The factors that related to self-rated health were socio-demographics, health status, health behaviors, social support and mental health. Self-rated health was classified as good (very good or good) or poor (poor, and very poor) or fair. A complex samples logistic regression was used to analyze the factors that influence self-rated health stat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7,016 subjects, but can be generalized to 5,031,621 subject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dwelling in the community was found to be 49.6% in the good group, 31.2% in the fair group, and 19.2% in the poor group. Influencing factors on self-rated health were age, religion, household income, number of chronic diseases, limitation of daily living function, limitation of instrumental daily living function, exercise, depression and satisfaction with economic status. Specifically, modifiable factors as exercise was identified that can affect good self-rated health in the elderly an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strategies to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for nurses to actively develop and implement nursing intervention strategies to increase the self-rated health of the fair group and the poor group.

      • KCI우수등재
      • KCI등재후보

        간호대학생의 영적안녕과 죽음에 대한 태도가 임종간호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창관 ( Chang Kwan Lee ) 이화간호과학연구소 2022 Health & Nursing Vol.34 No.1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influences of spiritual wellbeing and attitude toward death on terminal care attitude among Korean nursing student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46 nursing undergraduates from two nursing schools in Korea. The students responded to a self-report questionnaire that included demographics, spiritual wellbeing, attitude toward death and terminal care attitude. Results: In total, 71.9% of the participants were religious, 95.2%, and 67.8% had hospice education. The mean score of spiritual wellbeing of the students who were religiou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among those who were not.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existential spiritual wellbeing, attitude toward death, and Christian schooling were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s of terminal care attitude. These explained 39.6% of variation in terminal care attitude. Conclusion: Death-related education is needed throughout the nursing curriculum including to develop a positive terminal care attitude. In this way, nursing undergraduates will be better prepared to cope positively and constructively with the suffering and death they will encounter and thus may minimize the distress they experience with patient death. may also create a significant positive increase in nurses’ terminal care attitude.

      • SSCI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후보

        제2형 당뇨병 환자의 혈당조절 영향요인 분석: 제7기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2016∼2018) 이용

        이창관 ( Changkwan Lee ) 이화간호과학연구소 2021 Health & Nursing Vol.33 No.2

        Purpose: This study examined factors influencing glycemic control among type 2 diabetes mellitus (T2DM) patients using data from the seven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Methods: The subjects were 1,459 patients aged 30 years and older who with T2DM.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glycated hemoglobin A (HbA1c) values: good glycemic control group (good GCG, HbA1c<7%), insufficient GCG (7≤HbA1c< 8%), and poor GCG (8%≥HbA1c). Univariate multiple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was used. Results: The patients were distributed as follows: 52.7%, good GCG; 28.4%, insufficient GCG; and 18.9%, poor GCG. In the insufficient GCG, DM duration was a significant factor influencing glycemic control in T2DM. In the poor GCG, age, DM duration, hypertriglyceridemia, waist circumference and muscular exercise were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glycemic control in T2DM. Conclusion: Strategies for insufficient glycemic control should include intensive glucose control interventions for patients with a DM duration over 5 years. Strategies for poor glycemic control should include intensive glucose control interventions for younger age groups, those with a DM duration >1 year, and those with hypertriglyceridemia. In addition, nursing interventions for weight loss and muscular exercise are needed.

      • KCI등재
      • 신체활동 친화적인 건강증진 계단 디자인을 위한 사전방향성 연구

        이수기(Lee, Sugie),김수민(Kim, Sumin),김선아(Kim, Suna),이창관(Lee, Changkwan),현은령(Hyun, Eunryung)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4 디자인지식저널 Vol.31 No.-

        현대인은 자동차 중심적인 생활과 신체활동 부족으로 비만과 이로 인한 각종 만성질병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일상생활 속에서 지속적이며 자발적인 신체활동을 유도할 수 있는 공공 공간의 디자인이 중요하다. 지하철 및 공공 공간에 비치된 계단은 신체활동뿐만 아니라 건강증진과 공중보건 제고에 효과적이다. 본 연구는 건강증진 계단디자인을 위한 사전연구로서 국내외 유사사례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통해, 공공 공간 계단디자인의 요인별 고려요소를 탐색하였다. 이러한 요소는 신체활동 친화적인 건강증진 계단 조성을 위한 디자인 선호도 및 관찰 분석의 근거로 활용되었다. 분석결과 건강계단 디자인에 있어 시각적 자극을 유도하는 색채, 그래픽, 조명과 청각적 요소인 음악 등에 대해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생활에서 걷는다는 의미의 중요성을 인지할 수 있는 칼로리 표기나 걷기를 통해 연장되는 수명표기 등의 정보가 계단이용을 유도하는 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계단이용이 기부금 적립 등으로 연결되어 자긍심과 보람을 느낄 수 있는 사회 공헌적 적립 모듈 등과 연계될 때 계단이용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신체활동과 건강증진을 유도할 수 있는 건강계단 디자인 요소들을 분석하였으며, 향후 우리나라에서 공공 공간을 대상으로 건강증진을 위한 액티브 디자인 운동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People in contemporary societies have been increasingly exposed to various diseases that are attributed to physical inactivity and an automobile-dependent lifestyle, such as obesity and chronic disease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design public spaces that encourage sustainable and spontaneous physical activity and promote health in everyday life. Stairs in public spaces, such as within subway system and in public buildings, has great potentials not only to promote physical activity, but also to enhance public health. This study consists of preliminary research on stair design that can promote healthy lifestyles. It analyzes existing cases and explores specific elements of stair design that can promote public health. These specific design elements identified in this study have been included in a preference survey and examined in observational research in order to identify important design factors that can promote physical activity and health. Analysis results show that both visual stimulation such as graphics color, and lighting and music are effective elements that can encourage people to use stairs rather than escalator. In addition, inspirational and motivational signs addressing calorie expenditures and life longevity are positive design elements. Lastly, social activities, such as exercises that accumulate points for donation through stair use have the potential to motivate people to use stairs. By analyzing the stair design elements that promote physical activity and health, this study provides basic information for implementing active design movement in public space in Korea.

      • KCI우수등재
      • KCI등재

        태양에너지 기반 장기체공 무인기 주요 치수 결정 방법론

        이주호(Juho Lee),이창관(Chang-Gwan Lee),임세실(Sesil Lim),김금성(Keumseong Kim),한재흥(Jae-Hung Han) 한국항공우주학회 2010 韓國航空宇宙學會誌 Vol.38 No.8

        태양에너지 기반 무인기는 공급되는 전력량이 날개 면적에 영향을 받으므로 형상설계와 비행에 필요한 전력량이 동시에 고려되어야 하며 따라서 설계 과정이 복잡해진다. 복잡한 설계과정에 앞서 주어진 임무 요구를 만족시키는 태양에너지 기반의 무인기 제작 가능 여부와 제작 가능하다면 무인기의 대략적인 주요 치수를 구하는 방법론이 있다면 이를 활용함으로서 불필요한 설계 시행 오차 없이 무인기를 설계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주요 치수 결정 방법론으로 날개 면적을 가정하고 날개 면적과 임무 요구로 부터 에어포일(양력계수, 항력계수), 무게를 결정한 후 필요 전력과 태양 전지 효율로부터 다시 날개 면적을 계산하는 것으로 제시하였는데, 이는 날개에서 생산되는 전력, 양력 및 항력이 날개 면적에 직접적으로 영향 받기 때문이다. 앞서 가정된 날개 면적 값과 계산된 날개 면적 값의 오차가 충분히 작아질 때 까지 반복적으로 가정된 날개 면적 값을 바꾸어가며 계산을 수행한다. 본 방법론을 실제 제작된 태양에너지 기반 무언기의 값을 이용해 검증하고, 태양에너지 기반 고고도 장기체공 무인기의 주요 치수를 결정해보았다. The design procedure of Solar Power UAVs is complicated because the configuration and required power for flight must be considered simultaneously as the supplied power is influenced by the wing area. In order to minimize trial and error for the Solar Power UAVs design, a systematic sizing method is proposed which can be used to determine whether a Solar Power UAV is feasible for a given mission, and to derive preliminary dimensional specification of it. The sizing procedure begins with initially assumed wing area because the power, lift, and drag of the wing are directly proportional to it. The assumed wing area and mission requirements are then used to determine step by step the airfoil specifications including lift coefficient and drag coefficient, weight, required power, and wing area. This procedure is iterated for each newly assumed wing area until the error between the assumed wing area and calculated wing area becomes significantly small enough. This sizing methodology was applied to previously developed Solar Power UAVs for validation purposes, resulting in good agreement. The methodology was also applied to determine the dimensions and specifications of the Solar Power High-Altitude Long-Endurance UAV.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