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소기업 경력개발 지원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설계

        이찬,정철영,김진모,박신윤,문한나,금은정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08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0 No.4

        Based on “Research to Create a Support System to Support Worker’s Career Development: Focusing on Office Workers”(Lee et al., 2007), The four areas of marketing, personnel, accounting, and production management were selected as those most requiring educational needs. With the aim of helping to develop Competency-based Curriculum(CBC) based on the four areas of Office Work, this research first derived competencies related to four areas of Office Work's duties through workshops and interviews then used these competencies to develop CBC, including measurement tools, road maps etc. the Procedures of CBC Development employed the following competency modeling after synthesizing the above research. a) In order to examine the results of a particular task, the results of various tasks were derived and grouped according to significant similarities. b) After examining and defining the competency necessary to achieve results, the knowledge, technology and attitude(K.S.A.) and behavior index was derived. c) After conducting interviews in order to determine the validity of the competency derived, the competency modeling was finally decided upon. After the competency modeling, the following methods considered most appropriate for educational process development were chosen (Kim e. al., 2005).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cess after grouping the knowledge, technology, attitude (K.S.A.) into those with similar meanings Development of educational method after deciding on the priority of the competencies, creating the competency matrix, and formulating the program according to each unit Formulating a TA-centered program after determining the priority of the competencies and making a competency matrix. 이 연구의 목적은 중소기업 근로자 대상 교육과정 중 가장 니즈가 많은 것으로 나타난 마케팅, 인사, 회계, 생산관리 분야에 요구되는 역량을 도출하여 이를 기반으로 역량 기반 교육과정(Competency-Based Curriculum; CBC)을 개발하는데 있으며, 이를 통해 중소기업 근로자의 직무전문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돕고자 한다. 본 연구는 역량을 기반으로 개발된 교육프로그램 뿐 아니라 직무별 역량진단 도구 및 TRM(Traning Road Map)을 제공함으로써 프로그램을 이용하기 위해 자신의 현재 상태를 주도적으로 진단하고 스스로 경력개발 경로를 구축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더불어 본 교육 프로그램의 성공적인 시행을 위한 운영방안에 대해 제언하였다. 이 연구를 진행하게 된 배경은 2007년 산업인력공단에서 중소기업 근로자의 핵심직무능력 향상훈련지원분야를 확대하고자 하는 국가의 요구에 맞추어 진행한, 이찬 외(2007)의 ⌜근로자 경력개발 지원체계 방안연구⌟ 연구에서 사무활동분야별 직무교육 필요성에 대해 조사한 결과, 마케팅, 인사관리, 회계, 생산관리 분야의 교육과정에 대한 니즈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제언으로써 4개 직무분야에 대한 직무역량도출 및 역량기반 교육과정개발에 필요성을 언급한 바 있어 본 연구에서 이를 수행하게 되었다. 본 연구의 특징은 중소기업 근로자들을 위해 기존에 제공되었던 교육과정과 차별화하여 근로자들이 자신의 직무를 수행하면서 요구되는 역량을 도출하여 이를 바탕으로 교육과정을 개발함으로써 실제로 업무수행에 필요한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시도했다는 점과 스스로 경력개발 경로를 구축해나 갈 수 있도록 자가진단도구와 학습경로 로드맵을 함께 제시하였다는 점을 들 수 있다.

      • SCIESCOPUSKCI등재

        자궁내막암과 동반된 osseous metaplasia 1 례

        이찬,김정환,김현철,신명철,선우태원,심정연 대한부인종양 콜포스코피학회 1998 Journal of Gynecologic Oncology Vol.9 No.4

        Endometrial osseous metaplasia is a rare condition. The etiology and pathogenesis remain controversial. In most cases, the development of this condition is observed to be related to the history of abortion, either spontaneous or therapeutic and also, frequently associated with menstrual irregularity and endometritis. Patients usually present with secondary amenorrhea, irregular menstruation, pain, and dysmenorrhea. The authors recently experienced a case of endometrial osseous metaplasia of a referred endometrial cancer patient who had no history of abortion at all. We report this case with a brief review of the literature.

      • KCI등재

        직업계 고등학교 학교장의 윤리적 리더십과 교사의 번영감의 관계에서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

        이찬,류지은,정지용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18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50 No.4

        이 연구는 직업계 고등학교 학교장의 윤리적 리더십과 교사의 번영감 사이의 관계에서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직업계고 인성·기초학력 지도과정’에 참여한 직업계고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285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분석과 회귀분석을 활용하였으며, 부트스트랩을 활용해 단순매개모형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첫째, 교사의 번영감 수준은 3.95점으로 대체로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장의 윤리적 리더십과 교사의 번영감은 유의한 정(+)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교사의 번영감 역시 유의한 정(+)의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교장의 윤리적 리더십과 직업계고 교사의 번영감의 관계에서 심리적 임파워먼트는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사의 번영감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도출하는데 있어서 심리적 임파워먼트을 통해 접근하는 전략을 활용할 수 있으며, 학교장의 윤리적 리더십 역시 중요한 요소로 고려해야 한다. 나아가 직업계고 교사는 열정적으로 업무에 임하고 자기개발을 이어나감에 따라 학교장은 더욱 교사를 신뢰하고 권한을 위임함으로써 다시 번영감이 증가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thical leadership of the principal of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high schools such as characterization high school, meister high school, etc. and thriving at work of teacher.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n teachers of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high schools who had participated in the 'Personality and Basic Skill Program Guidance Program in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High School’ and used 285 copies for analysis. Statistical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utilized for the collected data, and the bootstrap was also utilized to verify the simple parameter model.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thriving at work of teachers was 3.95, which was generally high. Second, ethical leadership of principals and thriving at work of teachers showed positive correlation. Third,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thriving at work of teachers also showed positive correlation. Fourth, psychological empowerment had the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thical leadership of principals and thriving at work of teacher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utilize strategies to approach through psychological empowerment in deriving measures to increase the level of thriving at work of teachers, and ethical leadership of principals should also be considered as the important factor.

      • KCI등재

        한국 10 대 여성의 초경에 관한 연구

        이찬,구병삼,박영주,김탁,신재철,문준,오민정,홍명호 대한산부인과학회 199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9 No.5

        우리나라 6대 도시 여중,고생 11,339명과 안산시의직장여성 85명을 대상으로 하여 초경에 관한 설문조사에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전체 대상자에서 초경연령의 범위는 9세부터 20세였고, 평균 초경연령은 13.24세였다. 2. 중학생의 경우에는 평균 초경연령이 12.96세였으며, 고등학생에서는 13.28세였다. 3. 우리나라 여성에서의 초경연령은 과거 50년간 10년에 평균 6.6 개월씩 낮아져 왔으며, 이러한 추세는 지금까지 계속되고 있다. 향후 7-8년 후에는 초경연령이 선진국 수준에 도달할 것으로 예측된다. 4. 신장과 체중은 초경연령과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었고, 이외에도 부모의 연령, 아버지의 직업, 부모의 학력 및 가정 불화 등이 초경연령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초경후, 전체 대상자 중 33.3%에서 월경주기가 불규칙하였고, 77.8%가 월경전증후군을 경험하였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6대 도시의 10대 여성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나, 향후 전국을 대상으로 한 연구와 이번 연구에서 다루지 못한 초경연령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여러 인자들에 대한 광범위한 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Onset of menstruation is important landmark in female development. Menarche is an identifiable event in the gradual couse of pubertal development. It is generally accepted that age at menarche is affected by nutrition, body composition and socioeconomic factors including socioeconomic status, family size, public and individual health. The age at menarche had been getting earlier during the past century. This secular trend has been regarded as a positive indicator of a population`s status of health. But recent studies have indicated an halted or upward trend in the age of menarche, perhaps a reponse to some environmental deterioration.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age at menarche, the secular trend of age at menarche and the comparison whti other countries. We also investigated a various factors that affect the time of menarche. The subjects survey were 11,424 adolescent girls from 6 large cities in Korea who asked a carefully planned questionnaires between September 1994 and August 1995. In the girls survey, the age at menarche ranged from 9 to 20 years with a mean of 13.2 years. About 60% had menarche before the age of 14 years, and over 97% of them before the age of 16 years. In middle schoolgirls, the mean age at menarche was 12.96 years, and a great number of them experienced menarche beween the 6th grade of the elementary school and 2nd grade of the middle school. But 3.7% of them had notyet menstruated. In high schoolgirls, the mean menarcheal age was 13.28 years, and a great number of them experienced menarche between the 6th grade of the elementary school and 3rd grade of the middle school. According to birth year, the age at menarche was 16.0 years for 1930 in Korea and has been gradually earlier to 13.2 years for 1980. The extent of getting younger at menarche was 6.6 months per 10 years. The timing of menarche was strongly linked to height and body weight of girls. Highly sigificant correlations between parental age and daughter`s age at menarche was seen. The daughters of farmers and fishers ahd the higher age of menarche than the daughters who had other paternal occupation. The girls who had high parental educational background experienced a early onset of menstruation, and early onset of menarche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family conflict. Irregular menstruation was reported by 33.3%, oligomenorrhea by 1.2%, and polymenorrhea by 6.7% of participants. Premenstrual syndrome was seen by 77.8% of girls. In conclusion, we found that the downward trend in menarcheal age was still going on in Korea. So when using age of menarche as a indicator of children`s health, the development of Korea has been positive until now. The factors that affect age at menarche were body size, parental age, paternal occupation, parental educational background and family relationship.

      • KCI등재

        자궁 동정맥기형의 색전술 1 예

        이찬,이유미,이정노,이은혜,이병희 대한산부인과학회 199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2 No.7

        자궁의 동정맥기형은 드문 질환이지만 대량의 질출혈을 유발할 수 있다. 과거에는 자궁적출술이 유일한 진단법이자 치료법이었으나 최근에는 여러 가지 영상 기술의 발달로 인해 자궁 동정맥기형의 비침습적인 진단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특히 카테타를 통한 자궁동맥 색전술은 최상의 치료법으로 인정받고 있다. 저자들은 자궁동맥의 코일 및 아교 색전술로 완치된 자궁 동정맥기형 1예를 경험하였으므로 관련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Uterine arteriovenous malformations [AVMs] are rare cause of massive vaginal bleeding. In the past, hysterectomy had been the only method of diagnosis and treatment. With advent of many imaging modalities, noninvasive diagnosis of AVMs is possible and the transcatheter embolization has been accepted as a treatment of choice. We describe a case of uterine AVM presented with intractable vaginal bleeding and successful transcatheter embolization with coils and glue.

      • KCI등재후보

        미디어역량 모델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이찬,박여성,이병준,최영준 한국문화교육학회 2011 문화예술교육연구 Vol.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uss the cultural competency model which can be applied for all the fields in one's life and to develop the cultural competency of media part for school education, lifelong education, and corporate education. To achieve this purpose, the cultural competency model of media part was developed through literature review, panel workshop with high-performers of media part, and experts verification. In the result of this study, core performance of media part was identified. They were improvement of work efficiency, possibility of creative design, change of media context, increase of understanding and participation to social culture, improvement of relationship skill, increase of chance of self-examination, and self-satisfaction. It was 62 that The cultural competencies which were needed to achieve these core performance, then, finally the definition and standard of behaviors of each competencies were drawn and the cultural competency model was proposed. 이 연구의 목적은 생애 전 영역에서 활용가능한 문화역량모델 개발을 논의하고 학교교육, 평생교육, 기업교육 분야에서 적용할 수 있는 미디어 분야의 문화역량모델을 개발하는데 있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고찰 및 미디어 분야의 고성과자를 대상으로 한 패널 워크숍, 전문가 검증 등을 실시하여 문화역량을 구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미디어 분야의 문화역량모델을 개발하였다. 그 결과 미디어 분야에서 달성해야할 핵심성과를 도출하였는데, 이는 업무의 효율성 증대, 창의적 기획 가능, 미디어 환경 변화, 사회문화에 대한 이해 및 참여 증대, 관계능력 향상, 자기성찰의 기회 증대, 자기만족과 같다. 이러한 핵심성과를 달성하는데 요구되는 문화역량은 62개가 구명되었으며, 각 역량에 대한 역량정의와 행동지표를 도출하여 최종적인 미디어 분야의 문화역량모델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