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행복의 삼면화(三面畵) -출현, 지속, 중단

        이찬웅 ( Chan Woong Lee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5 人文論叢 Vol.72 No.2

        우리는 이 글에서 체호프의 소설과 철학사를 교차시키면서 행복의 조건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는 불행의 풍경을 살피며, 그것 너머에 있는 행복의 모습을 그리는 일이라 할 수 있다. 체호프의 단편 소설 『공포』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불행의 세 가지 모습을 보여준다. 가브류쉬카는 절제와 습관의 부재, 그리고 인간의 고유성에 대한 상실 속에 비참함에 빠져 있다. 나와 마리야 세르게예브나는 사랑과 열정의 너머에있는 높고 평평한 고원에 도달할 방법을 알지 못한다. 드미트리 페트로 비치는 세계의 진부함과 무의미라는 형이상학적 허무에 빠져 있다. 이모습들은 역으로 행복에 관한 주요 철학들을 그리게 한다. 고귀한 인간의 즐거움을 향유하고(아리스토텔레스), 다양한 외적 관계들을 통해 기쁨을 증가시키고(에피쿠로스, 러셀), 세계의 궁극적인 의미를 향해 삶의 내기를 거는 것이다(키에르케고르, 니체). 이 세 가지 행복의 모습은 각각 인간주의적, 자연주의적, 낭만주의적 행복관이라고 이름붙일 수 있을 것이다. 이 세 가지 행복의 모습은 중첩되기도 하고 대립되기도 하면서 우리의 삶을 다양한 방향으로 이끌고 간다. 불행과 행복을 나누는 경계선들이 불현듯 우리를 침입해오는 것을 막을 수는 없겠지만, 그선들의 정체를 이해하는 것이야말로 그 선들의 파도를 타고 넘는 데에 필요한 실천적인 지혜일 것이다.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condition of happiness by intersecting a short story of Anton Chekhov and the history of philosophy, or rather it is to review the landscape of being unhappy and then sketch an alternative portrait of happiness beyond it. In “Terror”, a short story of Chekhov, we find three characters who feel unhappy, each in a different way: Gavryushka is miserable due to the lack of moderation and his loss of human dignity; “I” and Marya Sergeyevna does not know the ways in which she can reach a plateau existing beyond love and passion; Dmitri Petrovitch suffers from a metaphysical nihilism stemming from the banality and meaningless of the world. These portraits of unhappiness remind us of some principal philosophical thoughts on the nature of happiness, that is, enjoying the pleasure of the noble human (Aristotle), augmenting one’s joy through multiple and external relations (Epicurus, Russell), and laying a wager of one’s life on the ultimate meaning of the world. Each happiness may be named as ‘humanistic’, ‘naturalistic’, and ‘romanticistic’ respectively. These three conditions of happiness, sometimes being superposed and at other times in conflict, steer our lives into different and diverse directions. We may not prevent the boundary lines dividing happiness and unhappiness from invading suddenly and abruptly into our lives. However, our comprehension of the nature of these lines may provide us with the practical wisdom (phronesis) which is necessary for us to ride the waves of the lines.

      • KCI우수등재

        들뢰즈의 신체 개념

        이찬웅(Chan-Woong Lee) 한국철학회 2017 철학 Vol.0 No.130

        이 글은 들뢰즈의 신체 개념과 그 의미를 그의 사유의 궤적 세 시기에 맞추어 살펴보고자 한다. 들뢰즈는 일관되게 신체를 힘들의 외적 관계로 개념화한다. 그렇기는 하나, 이는 각 시기에 서로 다른 관심과 문제 안에서 풍부해지고 변주된다. 첫 번째 시기에 신체 개념은 초월적 통일성을 향해 골몰했던 관념론의 수직적 전통에 맞서, 구조와 변용에 따라 사유하는 내재론적 사유의 원칙으로 제시된다. 두 번째 시기에, 스토아학파의 논리학은 신체의 모델과 결합되면서 새로운 종합의 원리로 등장한다. 연결⋅이접⋅연접 모두 기이하고 과격한 신체의 모델을 따라 전개되고 확장된다. 또한 존재의 일의성에 상응하는 생물학은 구성의 도면/평면의 유일성을 긍정한다. 이때 신체는 무한히 변신하는 괴물 또는 끊임없이 분화하는 배아와 같다. 세 번째 시기에, 미학을 전면으로 내세우는 일원론 안에서 신체는 새로운 등식을 얻게 된다. 신체는 감각이다. 또는 신체는 이미지이고, 이미지는 모든 사물들의 상호 변용의 결과이다. 이런 의미에서, 회화의 캔버스와 영화의 스크린은 힘들이 충돌하는 내재성의 평면이다. 들뢰즈의 신체 개념은 결백하고, 비유기적이고(inorganique), 기계적이고(machinique), 다양체로 포착되고, 역학적이고(dynamique), 자기 변신적이고, 반(反)실체론적이서 이미지와 뒤섞여 구별되지 않는 것이다. 이것은 하나하나 아리스토텔레스이래의 전통적인 개념에 대립한다. 들뢰즈는 이렇듯 신체를 따라가면서 무신론적인 존재론과 실천학을 더욱 더 멀리까지 전개할 수 있었다.

      • KCI등재

        들뢰즈의 감성론과 예술론: 내포적 강도와 이미지

        이찬웅 ( Chan Woong Lee ) 한국미학회 2011 美學 Vol.66 No.-

        우리는 이 논문에서 감성과 예술에 관한 들뢰즈 사유의 핵심을 해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그의 저작들 사이로 두 개의 선을 그리면서 나아가고자 하는데, 각각 힘과 이미지의 문제에 관련된다. 먼저, 『차이와 반복』에서 들뢰즈는 자신의 철학적 작업을 "초월적 경험론"이라고 명명하면서, 이를 감성의 자극에서 출발하여 사유의 발생에 이르는 과정을 해명하는 연구, 또는 이 과정을 둘러싼 실재적 경험의 조건을 설명하는 연구라고 정의한다. 이러한 인식 능력 이론에서 출발하여, 들뢰즈는 예술의 과제를 힘들의 포착이라고 정의하는 데까지 나아간다. 다른 한편, 들뢰즈는 자신의 사유를 서양 철학에서 소수적 전통으로 내려오던 "존재의 일의성"의 형이상학에 위치시켰다. 우리는 그가 어떻게 이러한 철학적 입장으로부터 『시네마』의 이미지의 존재론으로 나아가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Cet article a pour objectif de mettre en lumiere le noyau de la theorie de Deleuze sur la sensibilite et l`art, en tracant deux lignes dans le milieu de ses œuvres. Les deux lignes concernent respectivement le probleme de la force et celui de l`image. D`abord, dans Difference et repetition, Deleuze nomme ≪l`empirisme transcendantal≫ l`etude consacree a clarifier le proces qui passe de l`excitation de la sensibilite a la genese de la pensee, ou a rendre compte de la condition de l`experience reelle autour de ce proces. A partir de cette theorie des facultes, Deleuze avance jusqu`a determiner la tache de l`art comme capture des forces. Ensuite, Deleuze s`inscrit dans la tradition minoritaire de l`histoire de la philosophie occidentale, c`est-a-dire ≪d`univocite de l`Etre≫. Nous nous proposons de voir comment passe de cette position philosophique a l`ontologie de l`image dans Cinema.

      • KCI등재

        들뢰즈의 기호와 정서

        이찬웅 ( Chan Woong Lee ) 한국기호학회 2011 기호학연구 Vol.29 No.-

        This article aims to explain Deleuze`s conception of sign and of affect according to his three periods which can be named as expressionism, machinism and a study of the image. In the period of the expressionism, the sign is the reflection of an essence, whereas, in the period of the machinism with Guattari, the basic elements of the sign don`t have any meaning, but those combinations product a meaning. In Deleuze`s last period, images form a sign of thought for itself in the universe of omnidirectional variation where the distinction of essence and phenomena is completely abolished. With regard to the affect, in departing from the Spinozist distinction between affection and affect, it is enriched by synthesizing originally psychoanalysis and ethology. The concept of affect which is thought as a real becoming in this way is enlarged into the problem of esthetics which consists in abstracting pure affects.

      • KCI등재

        이미지와 개념 사이에서: 현대프랑스미학의 문제와 지형

        이찬웅 ( Lee Chan-woong ) 한국미학회 2018 美學 Vol.84 No.4

        현대프랑스미학이 펼쳐 보인 풍경의 다양성에도 불구하고, 그 지반의 공통 문제는 칸트의 『판단력비판』에서 발원하는 어떤 문제와 연관된다. 칸트가 개방한 심미적 사이-공간은 현대프랑스미학에 의해 계승되지만 동시에 어떤 심연을 부여받는다. 근대에서 현대로 오면서, 주체의 인식능력 이론은 이제 비인격적이고 초월론적인 장(場)의 용어로 새롭게 사유된다. 즉, ‘상상력과 지성의 자유로운 유희’는 ‘이미지와 개념의 분리와 연결’로 재정식화된다. 현대프랑스미학의 다양한 이론들은 이 과격화된 사이-공간 내의 위치와 입장에 따라 배열될 수 있다. 푸코의 마그리트는 이미지와 개념 사이의 심연 자체를 보여준다. 메를로-퐁티의 세잔은 순수한 이미지의 추구를 통해 현대 미술의 한 극단을 형성한다. 반면 리오타르의 뒤샹은 새로운 개념적 연결의 모색을 통해 다른 한 극단을 형성한다. 들뢰즈의 프랜시스 베이컨은 이미지의 힘이 기존의 개념을 압도하고 사유를 강제하는 탁월한 예가 된다. 랑시에르의 루도비시주노는 이미지와 개념의 상호 중단을 표시하는 미학적 엠블렘이 된다. 더 나아가, 들뢰즈와 랑시에르는 각각 칸트의 숭고론과 미론을 중심으로 인식적 감성론과 심미적 감성론 사이의 균열을 통합하는 사유를 펼쳐 보인다. Loin d’ignorer la variete de sa configuration, on peut dire que l’esthetique française contemporaine a pour une tache commune un probleme qui est originaire de La critique du jugement de Kant. L’espace esthetique, qui a ete ouvert par lui, est repri et approfondi par l’esthetique française contemporaine. En passant de la modernite a la periode contemporaine, la theorie des facultes du sujet est repensee d’une nouvelle maniere en termes du champ transcendantal et impersonnel. C’est-a-dire, “le jeu libre de l’imagination et de l’entendement” est remplace par “la dissociation et la connexion de l’image et du concept”. Nous pouvons disposer les theories variees de l’esthetique française contemporaine selon leurs positions dans cet espace de plus en plus approfondi, creuse et radicalise. Rene Magritte de Foucault nous montre cet abîme même entre l’image et le concept. Cezanne selon Merleau-Ponty forme une pole des beaux-arts contemporains en vertu de sa poursuite obstinee d’images pures. Tandis que Duchamp selon Lyotard etablit une autre pole dans son coup de des vers un concept encore inconnu. Francis Bacon par Deleuze constitue un excellent exemplaire concernant la force des images qui surpasse les concepts preetablis et aboutit a obliger une pensee. Junon Ludovisi chez Jacques Ranciere devient un embleme esthetique qui symbolise une suspension mutuelle de l’image et du concept. De plus, au niveau de l’histoire de l’esthetique, Deleuze et Ranciere developpent chacun une esthetique qui se propose de suturer la fente moderniste entre la sensibilite epistemlogique et la sensibilite esthetique, d’un cote, par reference a la theroie kantienne du sublime, et de l’autre cote, a celle du beau.

      • KCI등재

        플루서의 매체 이론과 포스트휴머니즘

        이찬웅 ( Chan Woong Lee ) 한국기호학회 2014 기호학연구 Vol.39 No.-

        이 논문은 빌렘 플루서의 매체 철학을 통해 우리가 디지털 이미지 시대로 진입한 것에 대한 의미와 양상을 분석하고자 한다. 먼저, 페터 슬로터다이크에 따르면, 휴머니즘의 핵심은 문자를 통한 ‘인간 길들이기’에 있다. 그러므로 미디어의 변화는 휴머니즘의 소멸과 내적으로 긴밀히 연결되어 있다. 다음으로, 빌렘 플루서는 미디어의 역사를 세 시기로 구분한다. 마술적 상상력, 비판적 기록, 기술적 상상력의 시대가 그것이다. 그는 인류, 또는 최소한 유럽이 1980년대를 기점으로 세 번째 시대에 진입하고 있다는 사실을 강조한다. 그의 주요한 아젠다는 다음과 같이 공식화될 수 있다. 선형적역사에서 복수의 우주로, 비판에서 창조로, 작품 해석에서 기구 비판으로, 감성적 실용주의라고 명명될 수 있는 새로운 진리관, 그리고 주체에서 기획으로. 끝으로, 그가 (인문학적) 질이나 (과학적) 양이 아니라 ‘크기의 수준’에 입각해 제시하는 ‘새로운 휴머니즘’에 대해 논의한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senses and modalities of our transition into the era of digital image by discussing the media philosophy of Vilem Flusser. First, according to Peter Sloterdijk, the essential of Humanism consists in ‘breeding’ the humans through the intermediary of the letter. Therefore, the change of media is intrinsically related to the extinction of Humanism. Second, Vilem Flusser divides the history of the media into three ages: magical imagination, critical writing, technological imagination. He insists that we are entering the third period in about 1980`s. His principal agendas can be formulated and arranged like this: from the linear history to multiple universes; from the critique to the creation; from the interpretation of works to the critique of apparatuses; a new conception of the truth as an aesthetic pragmatism; and from the subject to the project. Finally, we discuss a new humanism that he proposes on the basis of the notion of ‘orders of magnitude’, not (humanistic) quality or (scientific) quantity.

      • KCI우수등재

        들뢰즈에서 창조의 세 전선(戰線)

        이찬웅(Chan-Woong Lee) 한국철학회 2016 철학 Vol.0 No.127

        들뢰즈는 생명과 차이로부터 철학, 과학, 예술의 본성을 설명한다. 통상적으로 그것들은 각각 반성하고, 이해하고, 제작하는 것으로 달리 이해되지만, 들뢰즈가 보기에 그것들은 모두 창조의 작업이다. 이 분야들은 각각 고유한 대상을 창조한다. 개념, 함수 그리고 감각적 집합체가 그것이다. 들뢰즈는 어느한 분야가 배타적으로 존재, 세계, 자연에 대해 말할 수 있는 특권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이것들은 모두 혼돈의 단면을 잘라 변이가능성(variabilité)을 가시적으로 만드는 작업이다. 개념은 변동(variation)을 포착하고, 함수는 변수(variable)를 확립하고, 예술은 다양체(variété)를 설치한다. 그리고 각각은 개념적 등장인물, 부분적 관찰자, 미학적 형태를 창조한다. 반면에 각각의 고유성에 못지않게, 상호 간섭이 존재한다. 자연 안에 내재하는 지각소(percept)와 변용소(affect)에 힘입어 개념, 함수, 감각 집합체는 서로를 만들어내도록 요구하고 서로 참조한다.

      • KCI등재

        들뢰즈, 변신의 괴물학

        이찬웅 ( Chan Woong Lee ) 한국불어불문학회 2013 불어불문학연구 Vol.0 No.93

        Dans cet article, nous nous proposons d`expliquer cette identite etrange qui est affirmee par Deleuze : la theorie de l`unite de composition (Etienne Geoffroy Saint-Hilaire) est la version biologique de la these de l`univocite de l`Etre (Spinoza et Nietzsche). En nous concentrant sur Geoffroy, nous avons alors pour objectif de mettre en lumiere la maniere dont Deleuze concretise la these de l``univocite de l``Etre dans la theorie de l`unite de composition, en traversant la metaphysique et la physique, l`ontologie et la biologie. D`abord, nous allons apprehender le context philosophique en question en confrontant Spinoza et Aristote a l`egard du probleme du corps : le philosophe ancien etablit le systeme hierarchise qui s`appuie sur les identites d`especes et de genres, tandis que le philosophe moderne propose de considerer tous les corps dans une perspective du rapport pur. Ensuite, nous rendrons compte de la these centrale de Geoffroy qui affirme que tous les animaux ont une meme composition, et de la valeur que Deleuze assigne a cette these. Celui-ci detecte une resonance spinoziste dans la pensee biologique de Geoffroy, dont les ≪elements anatomiques≫ permettent de penser le corps selon les rapports purs. L` ≪Animal abstrait≫ se deploie, par une seule et meme connexion topologique, en une infinite de corps vivants differents. Bref, lorsque l`ontologie deleuzienne entend penser l`Etre univoque qui englobe la variete de ce qui est, elle requiert la zoologie universaliste qui concoit un Animal virtuel, lequel s`actualise dans la variete des animaux. En trosieme lieu, etant donne qu`il y a une nuance entre deux textes capitaux ou Deleuze cite la teratologie de Geoffroy, nous considererons le sens de cette difference, et, par la, saisirons un changement de l`itineraire de la pensee de Deleuze : de la pensee a la pratique. Enfin, nous expliquerons les implications philosophiques de la these de l`unite de composition dans une perspective plus generale, c`est-a-dire la logique du devenir et l`ethique ethologique.

      • KCI우수등재

        들뢰즈와 시몽동

        이찬웅(Chan-Woong Lee) 한국철학회 2017 철학 Vol.0 No.131

        들뢰즈와 과타리는 『천 개의 고원』의 「도덕의 지질학」에서 물리-화학적 수준, 유기적 수준, 문화-기술적 수준에 대해 발생론적이고 내재론적 설명을 제시하고 있다. 고대 아리스토텔레스나 독일 관념론이 초월적 형상이나 이념에 호소했다면, 들뢰즈-과타리는 지구라는 새로운 자기-원인이 세 가지 지층을 어떻게 차례로 생산하는지 보여준다. 각 지층은 내용과 표현의 상호 관계를 통해 규정되는데, 상위의 지층으로 갈수록 내용과 표현 사이의 독립성이 커져서, 언어와 기술의 수준에서는 완전히 독립성을 획득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들뢰즈는 시몽동의 개체화 이론이 내재론적 사유에 필요한 자연철학적 범주들과 발생론적 설명을 제공한다는 점에 주목했다. 그의 결정화 모델은 물질의 이질적인 특성과 준안정적인 에너지로부터 형태가 발생하는 장면을 생생하게 그려보여준다. 그리고 이렇게 원초적으로 발생한 형태가 다양한 유형의 환경 사이의 상호 관계 속에서 복잡성과 독립성을 획득해 가는 원리를 설명한다. 들뢰즈와 과타리는 시몽동의 이론을 자신들의 고유한 체계 안에 배치하면서 대지와 영토의 운동이 서로 다른 수준의 개체들을 생산하면서 동시에 그것들이 근본적으로 연동되어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