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팬데믹(Pandemic) 시대 교회와 신학의 과제

        이찬석 ( Lee¸ Chanseok ) 한국조직신학회 2021 한국조직신학논총 Vol.64 No.-

        코로나19 팬데믹의 상황으로 마스크’와 더불어 ‘(사회적) 거리두기’, ‘비대면’(언택트), ‘지역 공공성’이라는 말이 익숙한 단어가 되었다. 거리두기는 일차적으로 사람과 사람의 거리두기를 지향하고 있으나 지평이 확대되어 사람과 자연 사이의 거리두기로까지 확장되고 있다. 집합금지명령으로 대면 모임이 불가능하여지고, 학교의 수업이 온라인으로 이루어지고, 교회의 예배가 온라인 예배로 전환되면서 비대면(언택트) 문화/사회가 넓어지고 있다. 코로나19와 교회에 관한 많은 세미나에서 두드러지게 강조하는 점은 교회는 지역사회와 공감 해야 하고, 지역적 공공성을 확대해 나가야 한다는 것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상황을 전제하면서 팬데믹 시대의 교회와 신학의 과제를 제시하여 보려고 한다. (사회적) 거리두기의 관점으로 창조론을, 비대면(untact)의 관점으로 교회론을, 지역 공공성의 관점으로 글로컬 신학을 팬데믹 시대 교회와 신학의 과제로 제시하여 보려고 한다. 사회적 거리두기로 창조론을 구성하기 위하여 과정신학의 창조론과 몰트만의 창조론을 소환하여 하나님의 창조 질서를 보전하는 우주적 거리두기를 위한 정의로운 질서의 창조를 강조한다. 비대면으로 교회론을 구성하기 위하여 아우구스티누스의 혼합된 교회론과 존 웨슬리의 말씀과 성찬의 공존으로서의 교회를 소환하여 대면과 비대면이 혼종적으로 공존하는 ‘하이브리드 교회’를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지역 공공성으로 신학을 구성하기 위하여 루도메토프의 글로컬 개념인 굴절된 글로벌이라는 개념을 소환하고 초기 감리교도들의 속회 운동을 소환하여 복음의 보편성과 지역을 섬기는 글로컬 신학을 과제로 제시하여 본다. 본 논문이 제시하는 결론은 팬데믹 시대에 교회와 신학은 (정의로운) 질서를 강조하는 창조론, 대면과 비대면이 공존하는 하이브리드 교회, 복음의 보편성과 지역을 섬기는 글로컬 신학을 구성하고 발전시켜야 함을 강조한다. 신학은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을 시대에 적합하게 해석하고 구성하는 작업이라 할 수 있다. 코로나19 팬데믹은 인류에 코페르니쿠스적 전환의 충격을 안겨 주고 있다. 팬데믹 시대의 교회와 신학의 과제는 더 다양하게 제시되고 발전되어져야 한다. Because of COVID-19, social distance, untact, and local publicity are become familiar words. The social distance intends to leave a distance between human beings. However, it expands its meaning to keep distance between human being and nature. The COVID-19 changed worship into online worship service and regular school class into online class. The untact culture and life are being expanded to many areas. The seminar on relationship between the COVID-19 and church emphasizes that church should sympathize with and serve to its local community. Based on this situation, this article tries to suggest the tasks of church and theology in pandemic time. I will attempt to construct a understanding of creation with the perspective of social distance, a ecclesiology with untact life, and a glocal theology with local publicity. To construct a theology of creation with the perspective of social distance, I will summon the process theology and Jurgen Moltmann’s theology, and emphasize the creation of just order for the integrity of God’s creation. In other words, social distance should be expanded to universal distance. To suggest an ecclesiology for pandemic time, I will summon the mixed church of Augustinus and the ecclesiology of John Wesley. This article insists that the church in pandemic time should be hybrid church. God’s word and holy communion coexist in the hybrid church. Lastly, this article will bring Rudometof’s notion of Glocal which means refracted global through the wave of light. Furthermore, this article will articulate the class meeting of Methodist which was refracted to labor union. Through Rudometof’s notion of GLOCAL and the class meeting of Methodist, I will suggest glocal theology for local publicity. After all, as tasks of church and theology for pandemic time, this article suggests the theology of creation which emphasizes just order, the hybrid church which coexists online worship/ church) and off-line worship/church, and glocal theology which serves local communities with the universality of Gospel.

      • KCI등재

        몰트만의 만유구원론과 선교

        이찬석 ( Chanseok Lee ) 한국조직신학회 2015 한국조직신학논총 Vol.41 No.-

        융/복합, 통섭, 통합학문, 혼종성이라는 말들은 이 시대의 유행어 처럼 번져가고 있다. 인문학과 과학의 경계선을 넘나드는 학문적 연구가 각광을 받고 있으며, 신학과 사회복지를 융합하여 ‘디아코니아학’이 새로운 신학의 전공으로 부상하고 있다. 어울릴 것 같지 않은 것들을 융합시켜 새로운 것을 창출하는 것이 이 시대의 창조성으로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서 애석하게도 신학의 다양한 전공들의 경계선을 넘나드는 간학문적 연구와 접근은 활발하게 진행되지 않고 있다. 본 논문은 신학과 다른 학문의 간학문적 접근보다는 신학 안에서 조직신학과 선교학의 간학문적 연구를 시도하여 보려고 한다. 조직신학으로서 위르겐 몰트만의 ‘만유구원론’을 선택하였고, 이 만유구원론이 지니고 있는 선교학적 의미를 선교학의 ‘하나님의 선교’(missio dei)와‘통전적 선교’를 중심으로 살펴보려고 한다. 몰트만의 만유구원론은 영원한 천국과 영원한 지옥을 가져오는 ‘심판의 이중결과설’을 비판하면서 온 만물의 화해와 구원을 주장한다. 몰트만의 눈에, 심판의 이중결과설은 하나님이 아니라 인간을 구원의 주체로 만들었지만, 만유구원론은 구원의 주체를 하나님으로 세워간다. 빌링겐(Willingen) 세계선교대회와 칼 하르텐슈타인(K. Hartenstein)에 의하여 형성된 ‘하나님의 선교’(missio dei)라는 개념은 선교의 주체가 교회가 아니라 하나님이라고 선언한다. 하나님을 선교와 구원의 주체로 각각 세워간다는 측면에서 만유구원론과 ‘하나님의 선교’는 공통분모를 지니고 있다. 현대 선교학에서 전개되고 있는 선교는 ‘통전적 선교’이다. 통전적선교는 개인의 회심과 성화, 복음전도를 강조하는 복음주의적 선교와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는 에큐메니칼 선교로 나누어져 있는 선교의 이분법적 구조를 해체하면서 두 영역을 통전시키려는 선교이다. 몰트만의 만유구원론은 최후의 심판을 통한 영원한 천국과 영원한 지옥이라는 이분법적 구조를 해체시키면서 천국과 지옥을 종말론적으로 통전시킨다. 몰트만의 만유구원론과 통전적 선교는 공통성을 보이고 있다. 본 논문은 몰트만의 만유구원론이 함축하고 있는 선교학적 첫 번째 의미를 선교에 있어서 하나님의 심판과 징계보다는 하나님의 사랑이 선교의 중심 내용이 되어야 한다는 점을 제시하고, 두 번째 의미로 서구제국주의적 선교관인 정복주의적 선교관으로부터 해방되어 천국과 지옥을 종말론적으로 통전하면서 만유화해에 근거한 선교가 전개되어져야 함을 제시하려고 한다. 마지막으로 ‘하나님의 선교’는 호켄다이크(J.C. Hoekendijk)와 세계교회협의회(World Council of Church)에의하여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면서 교회적 정체성을 상실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는다. 유사하게 몰트만의 만유구원론도 믿음 없는 구원을 이야기함으로 기독교적 정체성을 약화시킨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그러나 ‘하나님의 선교’라는 개념을 처음으로 제시한 칼 하르텐슈타인은 교회적 정체성을 견지하고 있었으며, 몰트만의 만유구원론도 죽음이전에 그리스도에 대한 신앙적 결단을 내리지 못하였던 사람들도 죽음 이후에 예수 그리스도를 주님으로 고백하게 된다는 점을 강조하면서‘오직 신앙으로’라는 종교개혁적 신앙을 견지함으로 기독교적 정체성을 보유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기독교의 선교는 기독교적 정체성을 상실하지 않는 ‘열린 정체성’을 전제로 전개되어야 함을 마지막으로 제시하여 보려고 한다. Convergence, consilience, and hybridity are very prevalent in this time. This article will try to interdisciplinary in theology focusing on missiology and systematic theology. Especially, this article will articulate Jurgen Moltmann’s notion of universal salvation and Mission. Among missiological concepts, this article will concentrate on ‘missio dei’ and ‘wholistic mission.’ Moltmann’s universal salvation denies the eternal aspect of Hell which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doctrine in Christian tradition. According to the universal salvation, God wants to save all creations, all lives will be saved finally. Moltmann insists that the traditional understanding of the Last Judgement suggests human being as the subject of salvation. However, the universal salvation establishes God as the subject of salvation like missio dei. The missio dei which was formed by Willingen IMC and K. Hartenstein clearly declaims the subject of mission as God rather church. In this point, the universal salvation and missio dei have common ground. Therefore, the first missiological implication of the universal salvation is that the central point of mission should be God’s love rather than God’s judgement. The wholistic mission is dominant in modern missiology. It tries to deconstruct the dualistic structure which means the evangelical mission and the ecumenical mission. The evangelical mission emphasizes an individual repentance and sanctification, but the ecumenical mission emphasizes social aspect of the Gospel. Similarly, the universal salvation deconstruct the dualistic structure which defines the eternal life and the eternal fall. Therefore, this article will suggest that the wholistic mission should develop the wholistic perspective which deconstruct the dualistic structure divided into the eternal life and the eternal fall. Finally, this article will suggest that Christian mission should be developed under ‘the opened ident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