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소기업 경력개발 지원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설계

        이찬,정철영,김진모,박신윤,문한나,금은정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08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0 No.4

        Based on “Research to Create a Support System to Support Worker’s Career Development: Focusing on Office Workers”(Lee et al., 2007), The four areas of marketing, personnel, accounting, and production management were selected as those most requiring educational needs. With the aim of helping to develop Competency-based Curriculum(CBC) based on the four areas of Office Work, this research first derived competencies related to four areas of Office Work's duties through workshops and interviews then used these competencies to develop CBC, including measurement tools, road maps etc. the Procedures of CBC Development employed the following competency modeling after synthesizing the above research. a) In order to examine the results of a particular task, the results of various tasks were derived and grouped according to significant similarities. b) After examining and defining the competency necessary to achieve results, the knowledge, technology and attitude(K.S.A.) and behavior index was derived. c) After conducting interviews in order to determine the validity of the competency derived, the competency modeling was finally decided upon. After the competency modeling, the following methods considered most appropriate for educational process development were chosen (Kim e. al., 2005).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cess after grouping the knowledge, technology, attitude (K.S.A.) into those with similar meanings Development of educational method after deciding on the priority of the competencies, creating the competency matrix, and formulating the program according to each unit Formulating a TA-centered program after determining the priority of the competencies and making a competency matrix. 이 연구의 목적은 중소기업 근로자 대상 교육과정 중 가장 니즈가 많은 것으로 나타난 마케팅, 인사, 회계, 생산관리 분야에 요구되는 역량을 도출하여 이를 기반으로 역량 기반 교육과정(Competency-Based Curriculum; CBC)을 개발하는데 있으며, 이를 통해 중소기업 근로자의 직무전문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돕고자 한다. 본 연구는 역량을 기반으로 개발된 교육프로그램 뿐 아니라 직무별 역량진단 도구 및 TRM(Traning Road Map)을 제공함으로써 프로그램을 이용하기 위해 자신의 현재 상태를 주도적으로 진단하고 스스로 경력개발 경로를 구축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더불어 본 교육 프로그램의 성공적인 시행을 위한 운영방안에 대해 제언하였다. 이 연구를 진행하게 된 배경은 2007년 산업인력공단에서 중소기업 근로자의 핵심직무능력 향상훈련지원분야를 확대하고자 하는 국가의 요구에 맞추어 진행한, 이찬 외(2007)의 ⌜근로자 경력개발 지원체계 방안연구⌟ 연구에서 사무활동분야별 직무교육 필요성에 대해 조사한 결과, 마케팅, 인사관리, 회계, 생산관리 분야의 교육과정에 대한 니즈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제언으로써 4개 직무분야에 대한 직무역량도출 및 역량기반 교육과정개발에 필요성을 언급한 바 있어 본 연구에서 이를 수행하게 되었다. 본 연구의 특징은 중소기업 근로자들을 위해 기존에 제공되었던 교육과정과 차별화하여 근로자들이 자신의 직무를 수행하면서 요구되는 역량을 도출하여 이를 바탕으로 교육과정을 개발함으로써 실제로 업무수행에 필요한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시도했다는 점과 스스로 경력개발 경로를 구축해나 갈 수 있도록 자가진단도구와 학습경로 로드맵을 함께 제시하였다는 점을 들 수 있다.

      • KCI등재

        전문교과 교원의 전공만족 및 교직적응과 학교 혁신행동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

        이찬,전영욱,정보영,이수기,류지은 한국직업교육학회 2017 職業 敎育 硏究 Vol.36 No.5

        This study aimed to seek for the correlation of vocational teacher’s level of major satisfaction and professional adjustment on teacher’s self-efficacy and the school innovative behavior. Also, the mediation effect of vocational teacher’s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major satisfaction, professional adjustment, and school innovative behavior is investigated. To achieve study’s purpose, data have been collected from the vocational teachers who have enrolled in job and qualification training course from Educational Institute of CALS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Chungnam University, with total of 549 participants for the final result of the analysis. For analyzing the dat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has been utilized with the SPSS 23.0 and SPSS Process macro. Results indicated that the dependent variable, school innovative behavior,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independent variables, professional adjustment and major satisfaction, as well as mediation variable, teacher’s self-efficacy. Additionally, teacher’s self-efficacy had its complete mediation between major satisfaction and school innovative behavior. Moreover partial mediation was show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 adjustment and school innovative behavior.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 to provide environmental and psychological support for the vocational teachers in order to stimulate innovation in vocational schools has been illustrated as well as implications for the research in HRD field based on the research model. 본 연구는 전문교과 교원이 갖는 전공에 대한 만족감 수준과 교직적응 수준이 교사효능감, 학교 혁신행동과 어떠한 상관관계를 갖는지, 그리고 전문교과 교원의 전공만족 및 교직적응과 학교 혁신행동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이 매개효과를 갖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교육연수원과 충남대학교 교육연수원에서 직무 및 자격연수 과정을 이수한 전문교과 교원을 대상으로 자료수집하였으며, 최종 결과 분석에 549명의 응답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도출을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활용하였으며 SPSS 23.0과 SPSS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종속변인인 학교 혁신행동과 독립변인인 전공만족 및 교직적응, 매개변인인 자기효능감은 모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효능감이 전공만족과 학교 혁신행동의 사이에서 완전매개하고, 교직적응과 학교 혁신행동의 사이에서 부분매개하며 이러한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함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특성화고 및 마이스터고의 학교 혁신을 위해 전문교과 교원의 환경적, 심리적 지원이 선행되어야 함을 제언하고, 연구모형을 통해 인적자원개발 연구에 주는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한국청년층의 혼인여부에 따른 주택구입의향에 대한 연구

        이찬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9

        Youth in its life cycle is a time of independence from parents and at the same time of marriage and childbirth, so the need to increases for secure stability in life. However, in order to own a house in Korea, the cost of having to invest in housing accounts for a large portion of the income. Such burdens on house purchases are reducing the tendency of young people to buy houses, which also affect the phenomenon of late-marriage and non-marriage. In this regard, this study examined how demographic and housing factors set as independent variables affect the house purchase intention, which is a dependent variable. The analysis data used a residential survey of 2016. As a result, the house purchase intention increased as the housing support program was needed regardless of marital status. In addition, in the unmarried model, housing condition satisfaction(+), housing management burden(+), and hygiene and security environment(-) were the influential factors. On the other hand, in the married model, monthly average income(+), health and cultural environment satisfaction(-) were the influential factors. 생애주기에서 청년기는 부모로부터 독립을 하는 시기임과 동시에 혼인과 출산을 통해 가정을 형성하기 위한 시기이기 때문에 삶의 안정성을 확보하고자 하는 욕구가 증가한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 주택을 소유하기 위해서 소득 중 주거에 투자해야 하는 비용이 상당히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주택구입에 대한 부담은 청년층의 주택구입의향을 감소시키고 있으며, 이는 만혼 및 비혼 현상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독립변수로 설정한 인구사회학적 요인과 주거요인이 종속변수인 주택구입의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분석 자료는 2016 주거실태조사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혼인여부와 상관없이 모두 주거지원프로그램이 필요할수록 주택구입의향이 증가하였다. 그리고 미혼자 모형에서는 주택상태만족도(+), 주거관리비 부담정도(+), 위생 및 치안 환경 만족도(-)가 영향요인으로 도출되었고, 기혼자 모형에서는 월평균 소득(+), 보건 및 문화 환경 만족도(-)가 영향요인으로 도출되었다.

      • KCI등재

        전문교과 교원이 인식한 양성단계에서의 산업체 현장실습 경험 및 필요성 분석

        이찬,전영욱,최유현,조경희,류지은,정보영,이수기 한국직업교육학회 2016 職業 敎育 硏究 Vol.35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 experience of field practice perceived by vocational teachers. Data for analysis were collected from 689 vocational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training at the Center for in-service teacher education in the School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at the Center for in-service teacher education of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After screening, 685 responses were used in the analysis. As a result, it turned out that only 112 vocational teachers(16.5%) participated in the field practice for more than 4 weeks when they were in pre-service education. However, vocational teachers seemed to perceive that experience of field practice was generally required in pre-service education(average 4.07). In-depth questionnaire was conducted on 143 respondents who replied that they participated in field practice program for more than 4 weeks and those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for less than 4 weeks but completed the paperwork. Most of vocational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field practice were placed in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 stayed at home or relatives' home and commuted by the bus or subway. In this research, 34.8% of the vocational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field practice received financial compensation and 80.3% of the teachers got credit recognition. The perception of satisfaction on field practice program was found to be moderate(average 3.51). 이 연구는 전문교과 교원 양성단계에서 산업체 현장실습 참여여부 및 필요성을 파악하고, 산업체 현장실습 참여 경험이 있는 전문교과 교원의 참여경험 및 만족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교육연수원 및 충남대학교 교육연수원에서 직무 및 자격연수를 받고 있었던 전문교과 교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689부를 회수하였으며 부정확하게 표기한 4부를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685부의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교원양성 단계에서 ‘4주 이상 산업체 현장실습을 참여하였다’고 응답한 전문교과 교원은 112명(16.5%)에 불과하였다. 그런데 양성단계에서 현장실습이 필요한지에 대해 전문교과 교원은 대체로 필요하다고 인식(평균 4.07)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체 현장실습의 참여 여부에 대해 ‘4주 이상 산업체 현장실습을 충실하게 참여하였다’와 ‘산업체 현장실습 관련 서류는 제출했으나, (4주 미만) 며칠만 참여하였다’고 응답한 143명을 대상으로 참여 경험을 조사한 결과, 참여기관으로는 중소기업, 거주지는 자택 또는 친척집, 이동수단은 버스 또는 지하철이라고 응답한 교원이 많았다. 산업체 현장실습에 참여한 교원의 34.8%가 금전적 보상을 받았으며, 80.3%가 학점을 인정받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교과 교원의 산업체 현장실습 만족도에 대한 인식은 보통수준(평균 3.51)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중급 규모 가스화 복합발전 플랜트의 $NO_x$ 저감 방식이 성능 및 환경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평가 연구

        이찬,서제영,Lee, Chan,Seo, Je-Young 한국에너지학회 2001 에너지공학 Vol.10 No.4

        중급규모의 가스화 복합/열병합 플랜트의 공정설계와 성능평가를 수행하였다. 설계된 플랜트 공정을 바탕으로 가스터빈 연소기에 비포화 또는 포화된 질소를 분사시키거나 가스연료를 포화시키는 여러 가지 $NO_x$ 저감 기술들을 시도하여, $NO_x$ 저감 기법이 $NO_x$ 배출량에 미치는 영향과 플랜트의 출력, 효율 및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동시에 검토하였다. 가스 연료의 포화보다는 질소의 분사를 통한 $NO_x$ 저감효과가 더욱 현저하며, 질소분산 시 포화된 질소를 사용하는 경우 $NO_x$ 저감 효과는 더욱 향상되었다. 또한 $NO_x$ 저감 기법의 적용은 $NO_x$ 배출량의 감소와 더불어 플랜트의 출력 및 효율 향상도 수반하나, 가스터빈의 불안정한 운전을 초래할 수도 있었다. Process design and performance evaluation were made for medium-size gasification combined/cogeneration plant. Based on the designed plant process configuration, the effects of $NO_x$ reduction techniques on the $NO_x$ emission, the power output, the efficiency and the stability of plant are investigated by applying various $NO_x$ reduction methods such as unsaturated/saturated nitrogen injection and fuel saturation of gas turbine combustor. The $NO_x$ reduction by nitrogen injection is more remarkable than that by fuel saturation, and its effect can be more enhanced by using saturated nitrogen. In addition, the applications of $NO_x$ reduction techniques accompany the improvement of plant power output and efficiency with the decrease of $NO_x$ emission, while it can cause unstable gas turbine operation.

      • KCI등재

        덕인식론에서 역량과 성품의 개념적 이해: 『論語』에서 ‘聰明’과 ‘정직함’을 중심으로

        이찬 철학연구회 2018 哲學硏究 Vol.0 No.123

        덕인식론과 지행론의 전체적인 구도를 이해하기 위한 선행 과제로서 나는 이 글에서 德과 관련한 개념들 가운데 역량과 성품이 지적 덕성과 어떤 연관에 놓여 있는지 정리하고자 한다. 애초 이 글은 똑똑하다고 칭찬받는 사람들이 왜 나쁜 일들을 스스럼없이 저지르는가에 대한 소박한 의문에서 출발한다. 이런 의문은 윤리적인 문제일 수도, 인식론적인 주제일 수도 있다. 왜냐하면무엇을 어떻게 인식할 것인가라는 인식론적인 질문은 결국 인식론이 규범적인영역에 속하며 인식론적인 평가에서 지적인 행위자와 그 공동체를 중시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이것은 ‘덕인식론’의 핵심적인 관점이다. 지식의정당화에 있어서 덕인식론이 ‘덕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점은 동아시아 전통의 ‘지행론’과 닮았지만 그 문제의식은 다르다. 따라서 덕인식론과 지행론의같고 다른 점을 우선 살펴보고 『논어』를 중심으로 역량, 성품, 지적 덕성의 관계를 검토할 것이다. 이 작업에서 나는 역량과 성품이 규범적인 가치의 문맥으로 조율되지 않으면 올바른 행위를 산출하는 지적 덕성이 되기에 부족함을 말할 것이다. In order to understand the whole picture of virtue epistemology withknowledge-action theory, I will first examine contours between conceptslike capacity, character and intellectual virtues in relation to the notionof virtue. At first, my naïve question is why smart people do such badthings without any shame. This question would be either ethical orepistemological because epistemology is viewed as a normativediscipline and intellectual agents and communities should be consideredas the primary focus of epistemic evaluation. This is the core idea ofvirtue epistemology. The stance virtue epistemology views virtues as asolution to the justification of knowledge is similar to theknowledge-action theory in the East Asian intellectual tradition. But,their core issue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us, I will explainhow to differ from one another and analyze such concepts as capacity,character, and intellectual virtues in the Analects. I will insist thatcapacity and character without normative disciplines cannot beintellectual virtues leading to right actions.

      • KCI등재

        중잔사유 가스화 복합발전 사이클의 성능 및 환경배출 해석

        이찬,윤용승,Lee, Chan,Yun, Yong-Seong 한국에너지학회 2001 에너지공학 Vol.10 No.3

        정유공장으로부터 발생하는 중잔사유를 이용하는 가스화 복합발전 플랜트에 대한 공정모사를 수행하였다. 가스화 복합사이클의 발전계통을 모델링하기 위해 본 연구는 MS7001FA 가스터빈이 공기분리장치와 연계되어 있고, 공기분리장치를 위한 공기 추출과 공기분리장치로 부터의 질소희석이 이루어진다고 가정하였다 가스터빈의 폐열은 삼중압력의 페열회수 증기발생장치로부터 회수하였다. 가스터빈의 합성가스 연료는 중잔사유가 Shell 가스화 및 Sulfinol-SCOT-Claus 공정을 거쳐 발생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공정 최적화 결과로부터, 가스화 복합사이클의 효율이, 질소 희석이 없는 경우와 있는 경우에 대해, 공기추출비 20% 또는 40∼60%에서 가장 우수했다. 그리고, 연소지의 질소희석은 NOx 저감에 매우 바람직하고 현저한 효과를 가져오나, 반면에 가스터빈의 운전조건을 써지 조건에 가깝게 이동시킴을 알 수 있었다. The process simulations are made on the IGCC power plant using heavy residue oil from refinery process. In order to model combined power block of IGCC, the present study employs the gas turbine of MS7001FA model integrated with ASU (Air Separation Unit), and considers the air extraction from gas turbine and the combustor dilution by returned nitrogen from ASU. The exhaust gas energy of gas turbine is recovered through the bottoming cycle with triple pressure HRSG (Heat Recovery Steam Generator). Clean syngas fuel of the gas turbine is assumed to be produced through Shell gasification of Visbreaker residue oil and Sulfinol-SCOT-Claus gas cleanup processes. The process optimization results show that the best efficiency of IGCC plant is achieved at 20% air extraction condition in the case without nitrogen dilution of gas turbine combustor find at the 40% with nitrogen dilution. Nitrogen dilution of combustor has very favorable and remarkable effect in reducing NOx emission level, while shifting the operation point of gas turbine to near surge point.

      • KCI등재

        대학 행정직원 역량리모델링 및 교육요구분석 연구

        이찬,임우섭,김채린,한진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22 敎員敎育 Vol.38 No.5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시대의 대학 행정직원의 직급별 역량리모델링과 역량별교육요구도를 분석하는 것이다. 역량리모델링을 위하여 Dubious(1993)가 제시한 일반모델 덧씌우기 방법을 주된 방법으로 여섯 단계의 연구절차를 설계하였고 단계별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연구방법 먼저 문헌분석과 심층 인터뷰를 통해 직급별 역할 및 책임과 역량구조를 설계하고, 디지털리터러시를 포함한 직급별 역량 후보군을 연구진 워크숍을 통해 구성하고 직급별로 배치하였다. 이어서전문가 워크숍을 통해 역량추출과 조정 및 통합을 진행하였고, 수정⋅보완 단계를 거쳐 직급 역량별 정의와수준별 행동지표를 포함한 역량모델(안)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역량모델(안)의 내용타당도 확보를 위해고성과자와 인적자원개발전문가 대상 델파이 조사를 진행하였고, 대학 행정직원 직급별 역량에 대한 교육요구도는 5개의 직급(상급관리자, 중급관리자, 초급관리자, 중급실무자, 초급실무자)과 직급별 공통역량으로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역량모델은 최종적으로 직급별 역량 25개, 직급공통 역량 5개로 확정되었다. 직급에 관계없이공통적으로 필요하다고 도출된 5개의 역량은 문제해결, 의사소통, 디지털 리터러시, 업무기획, 문서작성이다. 교육요구분석 결과 상급관리자는 전략적 사고와 비전제시, 중급관리자는 조직관리, 초급관리자는 갈등관리, 중급실무자는 창의적 사고, 초급실무자는 책임감, 직급별 공통역량은 문제해결의 교육요구도가 높게도출되었다. 결론 대학 행정직원의 업무 효율성을 높이고 대학 경쟁력을 강화하려면, 대학은 연구에서 도출된 역량을기반으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시대에 맞추어 인재전환과 직무체계를 개편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저등급 자궁내막 간질성 육종 2 예

        이찬,지용헌,김경률,배병선,전익범,권계원 대한산부인과학회 199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1 No.8

        저자들은 최근 47세 여성 자궁체부에서 용종형태로 발생한 저등급 자궁내막 간질성 육종 1예와 32세 여성에서 자궁근종절제술 에서는 저등급 자궁내막 간질성 육종 소견 보였으나 자궁적출술 후 조직검사에서 다발성 자궁근종으로 진단된 1예를 경험하였기에 간단한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Endometrial stromal sarcomas are rare uterine tumors accounting for about 0.2% of female genital tract malignancy. These tumors are divided into two subtypes: low grade and high grade. Low grade endometrial stromal sarcoma is composed of cells mimicking the proliferative endometrial stromal cells that infiltrate the myometrium; high grade endometrial stromal sarcoma is poorly differentiated sarcoma without specific features or heterologous elements but with an infiltrating pattern that originated from endometrial stromal cells. We report two cases of low grade endometrial stromal sarcoma with a brief review of literatu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