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독일어의 모음 장$\cdot$단음표기에 대한 정서법적 논쟁 고찰

        이진희,Lee Jinhee 한국독어학회 2002 독어학 Vol.5 No.-

        Die graphische Markierung der $Vokalquantit\"{a}t$ im Deutschen gilt als komplex und schwerlembar. Die Gemination von Konsonantbuchstaben gehort auch zu den $auff\"{a}lligsten$ Erscheinungen der deutschen Orthographie. Da hierzu verschiedene Mittel eingesetzt werden. In der Mehrzahl der $F\"{a}lle\;bleibt\;die\;Vokalquantit\"{a}t$ unbezeichnet, $Vokall\"{a}nge$ e, a, o durch Doppelvokal, bei i durch <ie> oder generell durch Dehnungs -h markiert. Das Thema ist insbesondere seit Mitte der 80er Jahre immer wieder behandelt worden und zwar unter linguistischen wie didaktischen, unter psycholinguistischen Wie schrifttheoretischen Gesichtspunkten. $Zun\"{a}chst$ versucht man, die Regelhaftigkeit der $Qunatit\"{a}tsbezeichnungen\;aus\;der\;Ber\"{u}cksichtigung$ phonotaktischer Gegebenheiten zu $begr\"{u}nden$. Und um im Datail zu untersuchen, $w\"{a}hlt$ man einen Teilaspekt der Thematik aus, die $Vokalk\"{u}rze$ und ihre Bezeichnung durch die Doppelkonsonanzschreibung: 1) der akzentbasierte Ansatz und 2) der phonembasierte Ansatz. Beide $Ans\"{a}tze$ haben gemeinsam, dass sie zwar den Datenbereich im $gro{\ss}en$ und ganzen und ganz recht gut abdecken, aber von einer Beschreibung nicht weiner $Erkl\"{a}rung$ der Wortschreibung $versto{\ss}en.\;W\"{u}nschenswert$ ist daher ein Beschreibungsansatz $f\"{u}r$ die Konsonantenverdoppelung, der zum einen sowohl die Phonem- als auch die Akzentstruktur einbezieht, Will anderen die Auswirkungen der verschiedenen Schreibungen auf den Leseprozess ins Auge fasst.

      • KCI등재

        언어의 국제주의에 관한 고찰 - 유럽어에서의 어휘소 형태 분석

        이진희,Lee Jinhee 한국독어학회 1999 독어학 Vol.1 No.-

        Mehrere Sprachen insgesamt oder in Ausschnitten miteinander zu vergleichen, hat die Sprachwissenschaft mit je unterschiedlichen Erkenntnisinteressen wenigstens seit dem 17. Jahrhundert unternommen. Bis in diese Zeit reichen die Versuche einer inhaltlichen, d.h. auf die Inhalte sprachlicher Formen bezogene Sprachtypologie zuruck. Im 19. jahrhundert entstand und entwickelte sich die historisch-vergleichende (komparatistische) Sprachwissenschaft mit dem vorrangigen Bestreben, Ursprung, Entwicklungsgeschichte und Verwandtschaftsbeziehungen einzelner Sprachen durch vergleichende Untersuchungen zu rekonstruieren. Die sprachtypologischen $Bem\"{u}hungen\;fr\"{u}herer$ Zeiten haben ihre Forsetzung in der neueren, etwa in den 60er Jahren $verst\"{a}rkt$ einsetzenden Unversalienforschung. In den meiseten $europ\"{a}ischen$ Sprachen gibt es nicht geringe und $auff\"{a}llige$ Lehnwortbestande. Diese $Wortbest\"{a}nde$ beruhen nicht auf $Zuf\"{a}lligkeiten$, sondern sie sind Ergebnisse internationaler Kontakte mit politischen, kulturellen, okonomischen und anderen Voraussetzungen. Diese sprachlichen Gemeinsamkeiten in verschiedenen Sprachen werden mit dem Begriff des Internationalismus $erfa{\ss}t$. Obwohl die $europ\"{a}ischen$ Sprachen sich immer mehr von den gemeinsamen Ursprungssprachen entfernt haben, verraten die $Wortbest\"{a}nde$ der Internationalismen Tendenzen der $Ann\"{a}herungen$ und der Gemeinsarnkeiten, vor allem auf der Ebene des Wortschatzes. Im Ausblick auf $M\"{o}glichkeiten$ der Verwertung von nationalen $Wortsch\ddpt{a}tzen$ kann man so fomulieren: Internatonalismen 1) $k\"{o}nnen$ die Alltags­kommunikation zwischen Menschen verschiedener Herkunftssprachen erleichtern; sie offenbaren, $da\ss$ viele Fremdsprachen gar nicht so fremdartig sind; 2) haben im Hinblick auf den Fremdsprachenerwerb und den Fremdsprachenunterricht multiplizierten Gebrauchwert: Viele Interlexeme $geh\"{o}ren$ zum festen Bestand $europ\"{a}ischer$ Sprachen; 3) geben $Aufschlu\ss\;\"{u}ber$ geschichtliche und kulturelle $Kontaktvorg\"{a}nge$ und Kontaktergebnisse in Europa; 4) $k\"{o}nnen\;als\;Wortsch\"{a}tze\;einer\;m\"{o}glichen\;europ\"{a}ischen$ Integration betrachtet werden'.

      • KCI등재

        소렌센 더미 역설

        이진희,Lee, Jinhee 한국논리학회 2017 論理硏究 Vol.20 No.3

        소렌센(R. Sorensen)은 자신이 제시한 더미 역설(sorites paradox)을 통해 '모호함'이 모호함을 입증하였다. 필자는 이 글에서 소렌센이 제시한 더미 역설이 새로운 역설을 야기함을 보일 것이다. 간단히 말해, 소렌센이 제시한 더미 역설은 더미 역설이 성립하기 위한 조건을 만족하면서 만족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필자가 제시하는 '소렌센 더미 역설'은 소렌센이 제시한 더미 역설의 역설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더미 역설이 성립하기 위한 조건은 인접한 두 대상 $a_n$, $a{_n}^{\prime}$과 관련된 $P(a_n)$과 $P(a{_n}^{\prime})$의 진리값이 다르지 않다는 것을 포함한다. 그리고 이 조건은 모호성의 정의적 특징을 나타내는 것이기도 하다. 이 조건으로부터 모호한 용어의 적용범위를 구분하는 절단점이 없다는 주장이 도출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필자가 제시하는 소렌센 더미 역설은 모호성 자체가 비일관적임을 보이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Sorensen proved that 'vague' is vague through a sorites paradox that he presented. I will show that his sorites paradox satisfies the conditions for a sorites paradox and does not satisfy those conditions. So we will face a new paradox which exemplifies inconsistency of conditions for a sorites paradox. But those conditions include a principle which says when two cases are close enough, there will be no change in truth value. It represents an essential feature of vagueness. Therefore the paradox I will present in this article is not only shows inconsistency of conditions for a sorites paradox but also shows inconsistency of vagueness itself.

      • KCI등재

        알코올 사용이 자살시도의 심각성과 치명도에 미치는 영향-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이진희,민성호,안정숙,박기창,김민혁,김흥규,Lee, Jinhee,Min, Seongho,Ahn, Joung-Sook,Park, Ki-Chang,Kim, Min-Hyuk,Kim, Heungkyu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16 정신신체의학 Vol.24 No.2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role of alcohol use disorders and acute alcohol consumption in suicide attempts by gender. Methods : Data of 1,152 suicide attempters(487 males and 742 females) who had visited an emergency center was gathered. Suicide attempt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alcohol use: an alcohol use disorder group(AUD), an acute alcohol use group(AAU), and a no-alcohol use group(NAU). The intent and lethality of suicide attempts were evaluated by Suicidal Intents Scale and Risk-Rescue Rating Scale. Results : For Suicidal Intents Scale score, the male AUD group revealed a significantly lower mean score than the male AAU one. However,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for female subjects across subgroups. With regard to the Risk-Rescue Rating Scale scor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for males, while the AUD group showed both the lowest highest rescue scores and lowest risk-rescue scores within female groups. Conclusions : AUD in females was more likely regarding impulsive suicide attempts with high rescue chances. Consuming alcohol might have different effect on suicide attempts by gender and our study shows that alcohol use is an important risk factor according to gender, particularly with regard to female suicide attempts. 연구목적 본 연구는 자살시도에서 알코올이 자살시도의 심각성 및 치명도에 미치는 영향이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 지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 법 총 1,152명의 자살시도자(남성 487명, 여성 742명)를 분석 대상으로 하였으며, 음주 양상에 따라 알코올사용 장애군, 급성알코올사용군, 비알코올사용군으로 나누었다. 자살시도의 심각성과 치명도는 자살의도척도및 위험-구조평가척도로 평가하였다. 결 과 남성에서는 급성알코올사용군에 비해 알코올사용장애군에서 자살의도척도의 총점이 유의하게 낮았지만, 여성에서는 각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위험-구조평가척도에서 남성은 각 군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여성은 알코올사용장애군에서 가장 높은 구조도와 가장 낮은 위험도 점수를 보였다. 결 론 알코올사용장애가 있는 여성 자살시도자는 구조가 쉬운 상황에서 충동적인 자살 시도를 하는 경향이 있다면, 남성은 알코올 사용장애 환자보다 급성 알코올 중독상태일 때 자살의도가 더 강했다. 자살시도자의 알코올의 사용이 성별에 따라 다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특히 여성에서 중요한 위험 요인임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양진주의와 더미 역설

        이진희 ( Jinhee Lee ) 한국논리학회 2019 論理硏究 Vol.22 No.1

        더미 역설에 대한 양진주의적 해결전략이란 경계사례를 참인 모순으로 이해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전략을 수용하기 위해서는 모순을 인정하지 않는 대안의 가능성을 먼저 고려해야 한다. 대안이 있다면 굳이 모순을 인정할 필요는 없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해서, 벨은 모순을 인정하지 않으면서 양진주의가 갖는 장점을 모두 갖는 대안을 제시한다. 필자는 이 글에서 이러한 벨의 주장이 성립하지 않음을 보일 것이다. 필자의 논의는 주로 울타리 도식(inclosure schema)에 기초한다. 필자는 더미 역설이 울타리 도식을 만족함을 보인 후, 이 도식에 기초해서 절단점의 존재를 거부하는 대안들이 모두 모순을 함축한다는 것을 보일 것이다. 물론, 이러한 대안에는 벨의 대안 역시 포함된다. 그리고 이것은 모호성에 대한 직관 즉, ‘관용’을 수용하는 한, 양진주의를 받아들여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A dialetheic approach to the sorites paradox is to understand a borderline case as a true contradiction. In order to accommodate this approach, the possibility of an alternative that does not involve a contradiction should be considered first. Beall presents an alternative that has all virtues of dialetheic solution without contradiction. I do not think his alternative has no contradiction. Using the inclosure schema I will show it. Furthermore, I will show that all alternatives which do not accept the existence of cut-off point imply a contradiction. This means that we have to accept a true contradiction as long as we accept the intuition of vagueness, especially, what is called 'tolerance'.

      • KCI등재

        2022 개정 고등학교 「도시의 미래 탐구」 교육과정의 개발 방향과 특징

        이진희 ( Jinhee Lee ),임미영 ( Miyoung Im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23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31 No.2

        본 연구는 2022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진로 선택 과목인 「도시의 미래 탐구」의 개발과정과 개발의 방향 및 교육과정을 탐색함으로써 신설 과목의 교육과정에 대한 맥락적 이해를 돕고자 한다. 2022 개정 고등학교 「도시의 미래 탐구」 교육과정 개발의 주안점은 첫째, 현장 지리교사와 학생의 선호와 요구를 적극 수렴한 상향식 개발, 둘째, 지리적 관점에서의 시민성 함양을 강조한 내용 구성, 셋째, 지리적 사고력 함양을 위한 영역별 탐구주제 제시이다. 이를 바탕으로 ‘삶의 공간, 도시’, ‘변화하는 도시’, ‘도시문제와 공간 정의’, ‘도시의 미래’ 4개의 영역을 설정하여 도시에 대한 지리적 이해를 도모하며 세계 여러 도시의 역동적인 변화를 탐색하고, 도시 문제에 대한 사회과학적 분석과 인문학적 성찰을 통해 더 나은 도시의 미래를 구상하고 도시민으로서 가져야 할 태도와 실천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newly developed the 2022 revised high school ‘Inquiry on Cities for the Future’ curriculum by exploring the curriculum development process, development direction, and the achievement standards. The subject 1) allows students to explore the dynamic changes of cities around the world based on geographical understandings of cities, 2) enables students to envision a better future for cities through scientific analysis and humanistic reflection on urban issues, and 3) helps students cultivate the spatial citizenship.

      • KCI등재

        팬데믹시대 목적지 선택에 대한 관광자의 비대면 전환행동 연구: 이주이론의 PPM 모델 적용

        이진희(Lee, Jinhee),김남조(Kim, Namjo) 대한관광경영학회 2021 觀光硏究 Vol.36 No.3

        관광산업은 팬데믹으로 인하여 전환점에 마주하였다. 비대면이 강조되는 상황에서 대부분의 관광활동은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전환되었다. 현재 시점을 시발점으로 향후 산업변화가 예상되는바, 전환행동에 관한 논의가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주이론의 PPM(Push-Pull-Mooring) 모델을 적용하여 관광자의 전환행동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최근 12개월 이내 관광지를 방문한 적이 있으며, 6개월 이내 유튜브 관광콘텐츠(랜선관광)를 이용한 적이 있는 내국인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390부의 유효표본을 분석한 결과, 추진요인인 ‘상호작용성’과 ‘대응성’은 전환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쳤다. 유인요인인 ‘대안매력성’은 ‘전환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친 반면, ‘즐거움’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ICT 리터러시’에 따라 추진-유인요인이 전환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차이가 나타났다. 즉, 비대면이 강조되면서 상호작용이 감소하고 대응인력이 부재한 상황은 관광자의 전환행동을 발생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관광활동이 온라인으로 전환되는 만큼 오프라인을 대체할 수 있는 온라인의 대안매력성과 정보를 다루고 이해하는 ICT 리터러시가 중요한 요소로 밝혀졌다. 본 연구는 팬데믹시대 관광자의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의 전환행동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는 팬데믹 연구에서 관광자의 전환행동을 논의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Due to the pandemic, the tourism industry came to a new turning point. Most of the tourism activities have been switched from offline to online, in a situation that non-face-to-face emphasized. It is Required on Discussion about switching behavior, as industrial changes are expected starting from the present point. Therefore, in this study, the PPM model of migration theory was applied to study the switching behavior of tourists. To this end, the survey was conducted among Korean tourists who had visited tourism attractions within the last 12 months and used YouTube tourism content(online tourism) within the last six months. The analysis is based on 390 valid questionnaires. As a result, interactivity and responsiveness, which are push factor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switching intention. The attractiveness of alternatives, a pull factor,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witching intention, while enjoyment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When classifi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ICT literacy, there was a difference. This means that low interactivity and responsiveness in situations that emphasize non-face-to-face occur tourists’ switching intention. Also, it shows that the attractiveness of an online that can replace offline significantly impacted the inflow of existing tourists online. We can see that ICT literacy that handles and understand information is an essential factor in switching onlin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amines the offline-to-online switching behavior of tourists in the pandemic. It is expected that it can be used as primary data to discuss the behavior of tourists in the pandemic research that remains in the early stages.

      • KCI등재

        결혼이주 초산모를 위한 신생아양육 프로그램이 양육스트레스와 어머니역할 자신감에 미치는 효과

        이진희(Jinhee Lee),오상은(Sangeun Oh) 대한스트레스학회 2016 스트레스硏究 Vol.2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첫아이를 출산한 결혼이주 초산모가 신생아를 효율적으로 양육하면서 돌볼 수 있도록 신생아양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 프로그램이 결혼이주 초산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어머니역할 자신감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시도된 유사 실험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정상신생아를 출산한 결혼이주 초산모 30명(실험군 15명과 대조군 15명)이었다. 본 연구에서 실험중재로 개발한 신생아양육 프로그램은 병원에서 초산모의 출산 후 3일에 병원방문 1회와 퇴원 1주일 후에 가정방문 1회를 통해 신생아돌보기와 신생아 마사지에 대해 정보제공과 시범 후 가정에서 신생아를 돌보며 궁금하고 어려운 내용에 대한 4회의 전화 상담(1회/1주)으로 이루어졌다. 대조군에는 병원에서 통상적으로 시행되는 신생아 돌보기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양육스트레스와 어머니역할 자신감의 측정은 사전 사후 2회 측정하였고, 이와 같이 수집된 자료는 X²-test, Fisher"s exact probability와 Wilcoxon rank sum 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결혼이주 초산모를 위한 신생아양육 프로그램 시행 후에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양육스트레스는 더 감소하였고(Z=3.36, p=.001), 어머니역할 자신감은 더 향상되었다(Z=4.50, p=.001).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신생아양육 프로그램은 결혼이주 초산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어머니역할 자신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그들이 한국에서 자녀를 양육하고 결혼생활에 적응하는 데 도움이 되는 가족간호중재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velop the newborn parenting program for marriage immigrant primiparas and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is program on their parenting stress and mothers’ role confidence. The participants were thirty marriage immigrant primiparas (15 for intervention group and 15 for control group). The newborn parenting program was consisted of ‘good parenting for newborn’ and ‘infant massage’, which was done through providing information and demonstration using two booklets by 2 times visiting at hospital and home, and 4 times telephone counseling with parenting and infant massage (2 times/day). The data were analyzed with using x2-test, Fisher"s exact probability, and Wilcoxon rank sum test. The program significantly decreased parenting stress and improved mothers’role confidence of the marriage immigrant primiparas in the intervention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newborn parenting program is a family nursing intervention which has affirmative effects on the parenting stress and mothers’ role confidence of marriage immigrant primiparas for parenting their child and adjusting their marriage in Korea.

      • KCI등재

        간극이론과 진리에 대한 최소직관

        이진희 ( Jinhee Lee ) 한국논리학회 2016 論理硏究 Vol.19 No.2

        윌리엄슨(Williamson)은 간극이론과 타르스키 T-도식이 양립불가능함을 보였다. 필자는 이글에서 이러한 윌리엄슨의 주장을 받아들인다고 하더라도, 간극이론이 ‘p□T<p> 그리고 T<p>□p’와는 양립가능함을 보일 것이다. 그리고 이것은 곧 간극이론이 진리에 대한 최소한의 직관을 포착할 수 있음을보이는 것이다. 그래서 필자의 논의는 간극이론의 논리적 공간을 ‘p□T<p> 그리고 T<p>□p’와 ‘이가율의 부정’의 양립가능성을 통해 확보하는 것이라고 할수 있다. 이를 위해 필자는 간극이론을 수용할 경우 함께 수용해야 할 귀결개념을 제시하고, 아래 두 주장이 간극이론과 진리에 대한 최소 직관의 논리적 귀결임을 보일 것이다. 1) not-T<p>와 T<not-p>는 동치가 아니다. 2) ‘p□T<p>’는 성립하지만 ‘not-T<p>□not-p’는 성립하지 않는다. Williamson(1994) proved incompatibility of Gab Theory and Tarski T-schema. But this does not means that Gab Theory could not involve intuition on truth that is expressed by T-schema. I will show that Gab Theory and mutual entailment of ‘p’ and ‘it is true that p’(p□T<p> and T<p>□p) are compatible. It will draw that Gab Theory can involve minimal intuition on truth. After all what I want to reveal is logical space for Gab Theory through the compatibility of the mutual entailment and negation of the Principle of Bivalence. To prove the compatibility, I will present a consequent relation which should be accepted whenever we accept Gab Theory and demonstrate Gab Theory and the mutual entailment imply following two thesis; 1) not-T<p> and T<not-P> are not equivalent. 2) p entails T<p> but not-T<p> does not entails not-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