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
      • KCI우수등재

        구성품 변경에 따른 항공기 공허중량 무게중심 수정 및 검증

        이진원,권나은,김지홍,박재현 한국항공우주학회 2022 韓國航空宇宙學會誌 Vol.50 No.8

        군용항공기는 노후화로 인해 LRU 개조가 필요한 경우가 많다. 최근 KA-O 공중통제기에 대해 사출좌석 교체 및 항공전자장비 추가 등 LRU 개조가 진행되면서 연료소비곡선 상의 항공기 운용 무게중심이 요구 사양 범위를 벗어나게 되었다. 이러한 범위를 벗어난 무게중심은 적절한 방법을 도입하여 수정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KA-O와 같은 군용 소형항공기의 LRU 개조로 인해 변경된 공허중량 무게중심을 수정하고 검증하는 절차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에서는 LRU 수정에 따른 공허중량 무게중심의 변화를 종합적으로 관찰한 뒤, 다수의 밸러스트를 엔진 설치대에 추가되어 연료소비곡선의 공허중량 무게중심을 안전한 작동 범위로 복원시킨다. 제안된 밸러스트 배치는 다양한 작동 조건에 대한 응력 및 피로해석을 통해 설치를 검증한다. 공허중량 무게중심 수정에 대한 공개 정보가 많지 않은 점을 고려할 때 본 연구는 항공기 개조 시 공허중량 무게중심을 수정하고 검증하기 위한 절차를 제시한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고 사료된다.

      • KCI등재

        햅틱 디바이스를 이용한 Unity 기반 가상 로봇 매니퓰레이터 조작 시스템 구현

        이진원,김재형,Hamza Khan,Saad Jamshed Abbasi,이민철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22 제어·로봇·시스템학회 논문지 Vol.28 No.8

        The digital twin has been attracting attention in various industrial fields, including decommissioning nuclear power plants. In this study, an environment including a multi-axis robot manipulator for dismantling nuclear power plants and reactor vessel internals (RVIs), one of the major nuclear power plant facilities, is implemented virtually using Unity, effects. Integral sliding mode control(ISMC)the robot to the virtual RVIs environmentIdemonstratedwith even if the dynamic model informations were not used. Moreover, the repulsive force is transmitted to the haptic device using the haptic feedback algorithm when the robot manipulator collides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

      • KCI등재

        강원도 민요에 대한 음악적 연구 현황 및 과제

        이진원 한국음악사학회 2020 한국음악사학보 Vol.64 No.-

        This study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musical research in folksongs in the Kangwŏn province called Kangwŏndo 江原道 and related research tasks in the future. The musical research of folksongs in the Kangwŏn province was mainly focused on folksong's tonal structure research, and it was found that musical analysis research on functional songs, musical comparison research with Korean people and other foreign folksongs, and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research were conducted. In the study of folksong tonal structure, Chang Sa-hun 張師勛 initially conducted a comparative study with kyemyenjo 界面調 tonal structure, and Yi Po-hyŏng 李輔亨 examined the compositional tone, final tone, melodic form of the Kangwŏndo folksong as a musical organization of ‘Menarijo’ 메나리調 (Menarit'ori). Later, Han Man-yŏng 韓万栄 reviewed the composition of the folksongs in the T'aebaek Mountains 太白山脈, and Kwŏn O-sŏng 権五聖 introduced the tetracode theory of ethnomusicology and analyzed “Sangyeo sori” 喪輿소리 in Kangwŏn province as conjunction of tetrachords. Kim Yŏng-un 金英云 also examined the Kangwŏndo folksong “O-dok-the-gi” 오독떼기 with the conjunction of tetrachords in the early days. Paek Tae-ung 白大雄 looked at the Kangwŏndo folksongs in a compositional tone frame corresponding to the fourth type, in the form of folk music. Hwang Chun-yŏn 黄俊淵 repositioned the ‘Menarit'ori’ 메나리토리 with the tonal structure of "hai(下二) - hail(下一) - kung(宮) - sangil(上一) - sangi(上二)" after examining the musical structure of Hyangak 郷楽. Kim Yŏng-un again focused on T'ori 토리 theory and expanded the T'ori of Eastern minyo 民謠 (folksongs) by distinguishing ‘Ŏsayongt'ori’ 어사용토리 besides ‘menarit'ori.’ Then, according to the difference of final tone, he proposed a method to distinguish ‘menarit'ori’ and ‘ararit'oir’ 아라리토리. On the other hand, Cho T'ae-wŎn 조태원 measured the pitch between the important notes of related folksongs including “Arirang” 아리랑 in Kangwŏn province and examined that there were changes according to the singers and the regions. Among the studies that analytically examined folksongs according to their functions, Kim Sun-jae's 金順済 study of boat songs and Yi So-ra's 李素羅 study of farming songs through field surveys are typical examples. In addition to these, there were studies on farming song on YŎngdong 嶺東 of Kim Yŏng-un, and on farming song in the region of WŎnju 原州 of Yi Yun-jŎng 이윤정. Interesting research was conducted in comparison with the Kangwŏndo folksongs, Korean people and other foreign folksongs. Yi Yun-jŎng collected and analyzed “Arirang” played in KosŎng village 고성촌 of Manchuria, and ChŎn In-p'yŎng 全仁平 compared Lahu Tribe People's harvest ceremony music with the Kangwŏndo folksongs. The comprehensive and integrated study of the Kangwŏndo folksongs is the Folksongs called 民謠 by Yi Po-hyŏng's 李輔亨 included in Comprehensive Survey Report of Korean Folklore (韓国民俗綜合調査報告書). The characteristics of each folksong were divided into functions and examined by composition, major sound, singing method, and rhythm. He’s above study also deals with popular folksong. Yi Sang-gyu 李相奎 compared all of these popular folksongs with the related local folksong. Yi ChŎng-nan 李静蘭 analyzed the Kangwŏndo folksongs obtained from the results of the MBC Han'guk Minyo TaejŎn 韓国民謠大典 (The Compilation of Korean Folksongs). Kim Hye-jŎng 金恵貞 also analyzed the folksongs of Kangwŏn province, which were investigated by the Institute of Humanities 人文学研究所, Hallim University 翰林大学校, which is also a notable research achievement in this part. And we looked at about six future research projects on the Kangwŏndo folksongs. The projects each incl... 본고에서는 강원도 민요의 음악적 연구 현황과 관련 향후 연구 과제들을 살폈다. 강원도 민요의 음악적 연구로는 음조직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었으며, 기능요 음악적 분석, 한민족 및 기타 외국 민요와의 비교,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분석 연구 등이 진행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민요 음조직 연구로는 계면조 음조직과의 비교, 태백산맥 이동지방의 민요의 선법으로서의 검토, 메나리조의 음조직으로서 강원도 민요의 구성음과 종지음, 선율형에 대한 검토, 민족음악학의 테트라코드 이론을 활용한 분석, 민속음악의 선법적 양상으로서의 강원도 민요의 분류, 오음약보 체계를 활용한 선법 분석, 어사용토리․아라리토리 등으로 확장한 토리 연구, 과학적 측음을 통한 음조직 검토 등의 진행되었다. 강원도의 기능요를 음악적으로 살펴본 연구로는 뱃노래와 농요를 대상으로 한 것이 많았다. 이들은 강원도의 영동 지역이나, 원주 지역의 민요를 살펴보고 있었다. 이들 연구는 음계, 선법, 음조직에 대한 연구를 포함하여 가창 형식이나 선율 진행 등 음악적인 특징을 모두 다루고 있었다. 흥미로운 연구로는 강원도 민요와 한민족 및 기타 외국 민요와의 비교로서 조선족 고성촌의 아리랑과 라후족의 제천 의식 음악을 해당 강원도 민요와 비교한 것이 보인다. 강원도 민요를 종합적이면서도 통합적으로 연구한 것으로는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의 “민요”를 들 수 있는데, 민요를 기능별로 나누어 각 음악적 특징을 구성음, 주요음, 가창방식, 장단 등으로 살펴본 것이었다. 위 연구에서는 강원도의 통속 민요도 함께 다루고 있었다. 한국민요대전의 사업 결과와 한림대학교 인문학연구소에서 진행한 강원의 학술조사 용역의 결과로 얻어진 민요를 통해 강원도 민요를 분석한 연구들도 이 부분의 주목된 연구 성과라 할 수 있다. 그리고 강원도 민요에 대한 향후 연구 과제들에 대해서는 강원도 민요 음조직이 아직 정비되고 있지 않은 점, 강원도 민요의 접변 현상의 설명이 부족한 점, 어업요에 대한 체계적 연구가 아직 진행되지 않은 점, 강원도 민요 아카이브의 구축이 절실한 점, 음조직 연구에서의 과학적 방법론 도입이 필요한 점, 북한 지역의 강원도 민요의 연구의 부족한 점 등 여섯 가지로 살펴볼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