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건축실내 인공조명의 불쾌글레어 평가를 위한 기초적 연구

        이진숙,김원도,김병수,Lee, Jin-Sook,Kim, Won-Do,Kim, Byoung-Soo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06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Vol.20 No.1

        건축 실내의 조명환경의 쾌적성을 평가하는 것은 주로 불쾌감을 유발하는 글레어의 정도를 인식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현재 국외에서 연구된 불쾌글레어를 평가하기 위한 실험식을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글레어의 감각을 느끼는 정도가 인종에 따라 크게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무리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의 시각적인 특성에 맞는 합리적인 불쾌글레어 평가를 위한 예측식을 작성하는 것을 최종목표로 하였으며 다음과 같이 4단계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기존의 불쾌글레어 평가식에 대한 검토를 통해 실험변인들을 선정하였다. 둘째, 본 연구의 목적에 맞는 실험변인과 조건을 제어할 수 있는 실물대모형을 제작하였다. 셋째, 불쾌글레어 평가실험을 실시하였다. 최종적으로, 선행연구에서 서양인을 대상으로 제안된 UGR평가법과의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1)불쾌글레어는 광원휘도, 배경휘도, 피험자와 시선의 위치 등에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2)실내 불쾌글레어 평가에서 광원과 피험자간의 거리보다 시야내에 글레어 광원이 위치하는 지의 여부가 더 중대한 영향을 미쳤다. 3)대표적인 불쾌글레어 평가시스템인 UGR과 비교 분석한 결과 다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한국인의 불쾌글레어감이 서양인과 차이가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Evaluating comfort of illumination environment of building interior is recognizing the degree of glare causing discomfort. Currently, to use the experimental formula for discomfort glare studied abroad it would be not appropriate because each races feel about the degree of glare differently. Therefore, this study aim to make up prediction formula for evaluating discomfort glare reasonably from Koreans' vision and it proceeded with 4 stages as follows: First, after reviewing the existing discomfort glare evaluation formula, I selected experimental variables. Second, I made a mock-up that I can control experimental variables and condition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Third, 1 conducted discomfort glare evaluation experiment. Finally, compared with UGR evaluation method suggested for Westerner in prior studies. In conclusion, 1) it's proved that discomfort glare is influenced highly by a light source luminance, background luminance and location of testee and the line of vision. 2) In interior discomfort glare experiment whether the glare light source is placed within range of vision or not has more significant influence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light source and testee. 3) I compared and analyzed with UGR, the most representative discomfort glare evaluation system and I found there is a little difference in the results. This shows discomfort glare of Koreans and Westerners are different.

      • KCI등재

        건축조명광원의 광학적 특성에 따른 인간의 감성반응 분석 -조명광원별 색온도 특성에 따른 반응을 중심으로-

        이진숙,오도석,Lee, Jin-Sook,Oh, Do-Suk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05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Vol.19 No.5

        본 연구는 건축조명환경의 광학적 특성에 따라 변화하는 인간의 감성반응을 측정$\cdot$평가하여 조명광원에 대한 감성 데이터 확보에 목적이 있으며, 실제 건축공간에서 활용되는 조명광원을 광학적 특성에 따라 선정한 다음, 조명광원별 감성반응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1) 시기능의 명시성에 있어서 주광색 형광램프가 가장 작업수행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시기능의 피로$\cdot$스트레스에 있어서는, 메탈할라이드 램프와 수은 램프가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빛의 쾌적성 항목 중 $\ulcorner$밝기가 적당한$\lrcorner$, $\ulcorner$햇빛색에 가까워 보이는$\lrcorner$ 어휘에서는 색온도가 높은 주광색 형광램프가 높은 평가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ulcorner$눈부심이 있는$\lrcorner$ 어휘에서는 메탈할라이드 램프와 수은 램프가 낮은 평가를 받았다. 4)요인분석 실시 결과, $\ulcorner$촬동성$\lrcorner$, $\ulcorner$역량성$\lrcorner$, $\ulcorner$평가성$\lrcorner$의 3개의 평가축이 추출되었으며, 실내조명공간의 분위기 평가에 있어서 $\ulcorner$활동성$\lrcorner$이 미치는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5) 각 조명광원별 분위기 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ulcorner$활동성$\lrcorner$축은 메탈할라이드 램프와 주광색 형광램프, $\ulcorner$역량성$\lrcorner$축은 백열램프류, $\ulcorner$평가성$\lrcorner$축은 주로 색온도가 낮은 형광램프에 의한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cquire emotional data on luminous source by measuring and evaluating human emotional response to the change of the optical feature of luminous environment Luminous sources used in actual architectural space were selected with the optical feature of luminous soured then to measure and analysis human emotional response on Luminous Source. As a result of that 1) In the result of performance measurement by the item of the clear vision of an optic function the fluorescent lamp of daylight indicated the most excellent Performance. 2) In the item of fatigue and stress, the metal halide lamp and mercury lamp showed the most 3) In $\ulcorner$ suitable in light$\lrcorner$, $\ulcorner$a similar with daylight$\lrcorner$ adjective of the amenity item the fluorescent lamp of daylight which color temperature was high turned up to be high also, in $\ulcorner$brilliant$\lrcorner$, adjective, the metal halide lamp and mercury lamp turned up to be low. 4) In the result of factor analysis, three factors $\ulcorner$activity$\lrcorner$, $\ulcorner$potency$\lrcorner$, $\ulcorner$evaluation$\lrcorner$ were abstracted and $\ulcorner$activity$\lrcorner$ factor has the most influential on evaluating the mood of interior space. 5) For the affection in the mood evaluation by each luminous sources, $\ulcorner$activity$\lrcorner$ factor was the most influential by metal halide lamp and fluorescent lamp of daylight, $\ulcorner$potency$\lrcorner$ factor was most influential by kind of incandescent lamp, $\ulcorner$evaluation$\lrcorner$ factor was most influential by fluorescent lamp of low color temperature.

      •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Lethal Mutation near the unc-29 (LG I) Region of Caenorhabditis elegans

        이진숙,안주홍,Lee, Jin-Sook,An, Joo-Hong The Korean Society for Integrative Biology 1998 Korean journal of biological sciences Vol.2 No.1

        The unc-29 region on the chromosome I of Caenorhabditis elegans has been mutagenized in order to obtain lethal mutations. In this screen, the uncoordinated phenotype of unc-29 (e193) mutant was used to identify any lethal mutations closely linked to the unc-29 gene, which encodes a subunit of nicotinic acetylcholine receptors. We have isolated six independent mutations (jh1 to jh6) out of approximately 5,200 ethyl methanesulfonate(EMS) treated haploids. Four of the six mutations demonstrated embryonic lethal phenotypes, while the other two showed embryonic and larval lethal phenotypes. Terminal phenotypes observed in two mutations (jh1 and jh2) indicated developmental defects specific to posterior part of embryos which appeared similar to the phenotypes observed in nob (no back end) mutants. Another mutation (jh4) resulted in an interesting phenotype of body-wall muscle degeneration at larval stage. These mutations were mapped by using three-factor crosses and deficiency mutants in this region. Here we report genetic analysis and characterization of these lethal mutations.

      • 유방의 거짓혈관종모양 버팀질증식의 세포소견 - 1예 보고 -

        이진숙,신동훈,박도윤,최경운,이창훈,설미영,김지연,Lee, Jin-Sook,Shin, Dong-Hoon,Park, Do-Youn,Choi, Kyuug-Un,Lee, Chang-Hoon,Sol, Mee-Young,Kim, Jee-Yeon The Korean Society for Cytopathology 2005 대한세포병리학회지 Vol.16 No.1

        Pseudoangiomatous stromal hyperplasia (PASH) was initially described by Vuitch et al. as a benign breast lesion, consisting of mammary stromal proliferations which simulate vascular lesions, and which might be mistaken for a low-grade angiosarcoma. This condition occasionally presents as a palpable mass in postmenopausal women, but is more frequently encountered as an incidental component in premenopausal women. Clinical, radiological, and fine-needle aspiration (FNA) findings associated with this condition can mimic those observed in conjunction with a phyllodes tumor or a fibroadenoma. The cytological features of PASH are generally nonspecific, and its diagnosis by FNA cytology is fairly difficult. In this study, we report a case on PASH, manifesting as a palpable mas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일-가족 양립정책 이용이 일-가족 양립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진숙(Lee Jin-Sook),이슬기(Lee Seul Gi) 한국공공사회학회 2015 공공사회연구 Vol.5 No.1

        본 연구에서는 기혼 직장여성의 조화로운 일-가정 양립을 위해 시행되는 정책들의 이용이 실제로 그들의 일-가족 양립갈등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 해 보고자 하였다. 또한 이러한 일-가족 양립 정책의 효과성에서 조직문화와 직무만족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구조적으로 확인 해 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전국 규모의 패널조사인 ‘여성가족패널조사’ 4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최종 응답자 중 일자리가 있고 배우자와 함께 거주한다고 응답한 여성과 현재 자녀가 있는 여성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그 중에서 일-가족 양립 정책의 시행과 이용여부를 묻는 문항에서 한 번 이상 받았거나 받을 수 있었다고 응답한 372명을 최종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가족 양립 정책을 많이 이용할수록 일-가족 양립 강화가 잘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정책의 이용과 일-가족 양립 갈등과의 관계는 유의미하지 않게 나타났다. 일-가족 양립 정책의 단순 이용이 일-가족 양립 갈등을 감소시켜주지는 못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일-가족 양립 정책 이용과 일-가족 양립 갈등, 강화와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은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조직문화는 매개효과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가족친화 인증제의 활성화와 근로자의 직무만족도 향상, 성 평등적 조직문화 만들기 등 여성의 조화로운 일-가족 양립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confirmed whether use of the policy that implemented for harmonious work-family balance of married career women actually affect on their cognition of work and family compatible conflict. In addition, it confirmed that mediated effect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job satisfaction in effectiveness of work-family balance policy. This study used fourth-year data of ‘Women and Family Panel Research’, a nation-wide panel research. Objects of the study were only women who have working and living with spouse and children. Among them, 372 women who responded that received more than once work-family balance policy or was able to receive were selected as object of analysis. Main result of the research is as in the following. first, the more use work-family balance policy, the more enhance work-family balance. but using the policy dose not have meaningful effect on work-family balance conflict. It means that simply using the policy were not reducing the conflict. Second, Job satisfaction has a partial mediated effect in relation to using the policy, work-family balance conflict and enhance, but organizational culture does not have mediated effect.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 that government and corporation should revitalize the family-friendly certification and improve work"s job satisfaction and create gender equality organizational culture for women"s harmonious work-family balance.

      • KCI등재

        농어촌 경관이미지 형성을 위한 경관색채 가이드라인 제작

        이진숙(Lee, Jin Sook),진은미(Jin, Eun Mi),전택기(Jun, Taek-Ki),홍룡일(Hong, Long-Yi) 한국색채학회 2010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4 No.3

        우리나라의 주된 경관을 형성하고 있는 농어촌에 대하여, 아름다운 금수강촌실현과 농어촌 주거환경 이미지형성을 위하여, 자연환경과 조화하면서 동시에 시대적 감성을 반영할 수 있는 농어촌마을의 환경색채 가이드라인을 작성하였다. 색채가이드라인 작성을 위한 경관권역은 17개 경관권역으로 수목과 토양의 색채분포 특성에 따라 분류하였으며, 농어촌의 입지조건은 기존문헌을 토대로 하여 평야부 농촌마을, 산간부농촌마을, 도시근교농촌마을, 도서어촌마을, 강촌마을의 5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분류된 경관권역, 마을의 입지조건 및 자연환경조건, 장소적 특성을 반영하여 색채적용 유형을 11가지로 설정하였으며, 이에 따라 마을의 입지유형별 특성, 토양·수목 등의 자연환경색채의 분포특성, 장소적 특성을 반영하여 색채가이드라인을 작성하였다. 색채계획의 기본 방향은 평야부 농촌마을은 토양색채분포 특성과 연계·반영한 색채를 적용하고, 산간부 농촌마을은 수목색채분포특성과 연계·반영하여 가이드라인을 작성하였으며, 도시근교형과 도서어촌형, 강촌형에는 장소적 이미지를 극대화 할 수 있도록 색채 가이드라인을 작성하였다. 색채가이드라인은 건축물을 용도별로 구분하고, 시설물을 종류별로 분류하여 제작하였으며, 재료 에따라 색채가이드라인의 적용방안을 작성하였다. 최종적으로는, 색채가이드라인을 적용하는 방법을 색채적용모델로서 작성하여 제시하였다. For the rural villages which constitute the main landscape in Korea, a guideline for the environmental color of the rural villages were prepared which conform to the natural environment and reflect the emotion of the time at the same time to realize the beautiful country and create image of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The landscape zones for the preparation of the color guideline were consisted of 17 zones and classified by the characteristics of color distribution of the trees and soils. The conditions of location was divided into 5 types based on the exiting documents as the farming village in plain, the farming village in the mountain, the farming village in suburban area, the fishing village in islands, and the riverside village. The applied color types were set in 11 colors reflecting the natural environmental condition, type of location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locations. Thereafter, the color guideline was prepared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by the village location,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natural environment including soils and tre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loc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