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화예디자인에서의 에로틱 이미지표현방법에 관한 연구

        이진민 ( Jin Min Rhie ),류경화 ( Kyung Hwa Rye ) 한국화예디자인학회 2006 한국화예디자인학 연구 Vol.14 No.-

        Today, design greatly serves a psychologic function to reflect customers` need in addition to its original function. And thus designers began to focus on sexual desires of the public which have been long suppressed. The erotic image rapidly spreads over the entire design field, having a great effect upon all sectors of society. With such realities in mind, I believe that efforts to seek erotic images, on the basis of a positive interpretation of eroticism that is lying beneath human psychology, from the floral art and design, which uses living flowers to express inherent desire of humans formatively, in order to find potential for representation and provide direction, is a worth while research subject. The first chapter will state the background, purpose, scope and method of research. The second chapter will begin by examining the concept of eroticism and factors that shape it in order to help readers better understand the meaning of eroticism. In the third chapter, virtual works in floral art and design by computer synthesis are produced and interpreted. The fourth chapter suggests methods to express erotic images in floral art and design. It is the hope and expectation of this researcher that this study will result in an increased use of eroticism as an expressive subject for floral design leading to the improvement in the quality of floral art and design.

      • KCI등재

        국내 디자인융합의 연구 현황 및 특성

        이진민 ( Jin Min Rhie ),서용구 ( Yong Gu Suh ),장미정 ( Mi Jeong Jang ),이미연 ( Mi Yeon Lee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4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3 No.6

        본 연구는 국내의 ‘융합’ 연구 현황과 동향 분석을 통해 융합형 창의인재양성을 위한 디자인 교육과정 모형을 개발하는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1차의 국내 융합연구 및 디자인융합 동향파악과 2차의 융합교육 및 디자인융합사업으로 구성한다. 연구 방법은 한국학술연구정보서비스에 등재된 학술지와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1차 연구는 2013년 8월 1일~8월 15일까지 용어·분야·시기별로, 디자인융합연구 동향은 2000년 1월~2013년 8월까지 그 추이를 조사하고 2차 연구는 2010년부터~2013년까지 ‘디자인융합’ 사업에 선정된 14개 대학을 중심으로 분석한다. 연구결과, 1차 ‘융합’ 연구는 통섭, 융합, 융복합, 퓨전, 컨버젼스 순으로 발표되었고, ‘디자인융합’ 연구는 2000년 이후 사회과학, 예술체육분야에서 융합인재, 융합교육과 관련하여 시작되었으나 이후 공학 및 인문학분야로 확장되고 있다. 2차의 국내 융합교육은 2006년 인재육성에 관한 연구를 시초로 하여 현재는 예술과의 융합교육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또한 현재 진행되고 있는 디자인융합 사업의 분석결과, 융합인재는 A형, O형, Y형, ㅠ형 순으로 빈도를 보였으며, 이러한 융합인재에 따른 융합전공의 유형화는 향후 창의적인 디자인 융합인재 양성에 관한 모델개발에 그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nalyzed trends in domestic research over the last thirteen years of design convergence education study in Korean academic journals to present characteristics. This findings could provide some guidelines of design education model for cultivation of creative convergent talent. The data was reviewed and collected from masters theses, doctoral dissertations, and research articles published from 1940 to 2013 for content analysis. In addition, the method of organization of the subject, the elements of integration, and the method of integration among different disciplines were analyzed to discover the trends in integrated teaching-learning program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number of domestic studies related to convergence design education increased from 2000 to 2013. And, according to an analysis of Integrative Creative Design curriculum, the main structures are appeared as A-type, O-Type, Y-Type, and ㅠ-type as order of frequency.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rt convergence education was applied to the majority of the forms of integrated education. It is therefore this study would suggest the baseline data of cultivation of creative convergent talent.

      • KCI등재후보
      • KCI등재

        TV홈쇼핑 카메라 앵글에 따른 브랜드 식기 판매 공간의 연출 효과에 관한 연구 -소비자 선호도를 중심으로-

        이진민 ( Jin Min Rhie ),장영순 ( Young Soon Jang ),이미연 ( Mi Yeon Lee ) 한국감성과학회 2011 감성과학 Vol.14 No.3

        본 연구는 TV화면에 입체감을 표현하여 소비자의 구매 욕구를 촉진하는 TV홈쇼핑 식공간 연출에서 표현되는 공간 깊이감이 표현되는 연출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2005년 3월에서 2010년 11월까지 C*홈쇼핑에서 실제로 방영된 식기 판매 방송 중 6개 브랜드 식기 판매 방송의 실제 연출 이미지 자료를 분석하고, 신뢰도 분석,요인 분석과 다중 회귀분석기법을 사용하여 설문 조사를 통해서 감성 형용사 이미지어를 분석하였다.TV화면이라는 평면에 입체를 표현되는 연출의 특징은 크기의 비교, 중첩, 사선배치와 원근법적 배치로 추출하여 분석하였고, 식기방송에 주로 사용되는 카메라 앵글의 종류를 버즈 아이 뷰, 하이 앵글, 아이 레벨 등으로 구분하여 적용하였다. 이 분석의 결과로 정리되는 것은 소비자 선호도가 높은 연출은 브랜드 식기의 주요인에 높은 상관도를 보인 이미지어를 인식하는 경우라는 것이다. 따라서 카메라 앵글과 특성에 의한 선호 연출의 방향 제시가 가능하며, 소비자가 선호하는 정량적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는 새로운 개념의 공간 연출 개념이 가능하다고 본다. To find out characteristics of TV home shopping`s virtual space deepness styling, this study had analysis characteristics of space deepness which is showed on flat TV screen with actually aired 6 dinnerware sales case, at C* home shopping, March.2005~November.2010, and survey consumer`s emotional verbal image according to space styling character to get space deepness, which were shown on flat TV screen with camera angle, and research mutual relation with consumer preference. Also consumer`s typical emotional verbal images for each space styling images for brand dinner ware sales had been extracted with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multi dimensional scaling MDS using SPSS. Styling characteristics of space deepness were contrast of size, layering, vertical arrangement, and perspective arrangement, and used camera angles were bird`s eye view, hi angle, and eye level. Result from the research is, highly marked consumer preferred styling material had a deep corelation to material`s main factor and perceived emotional verbal images. Therefore this research could bring forward to new consumer preferred styling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camera angle. Furthermore, it will be possible to make a study of preferred styling material through evaluation of quantitative spectators of in this area.

      • KCI등재

        플라워 샵의 유형 및 특성 연구 1

        이진민 ( Jin Min Rhie ) 한국화예디자인학회 2010 한국화예디자인학 연구 Vol.22 No.-

        21세기 현대 플라워는 다양한 라이프스타일을 구성하는 요소로서 빼놓을 수 없는 필수 아이템이 되었다. 특히 플라워를 판매 공간으로 하는 플라워 샵은 생활문화 및 의식수준의 향상으로 소비자 개인적 라이프스타일의 전문화, 차별화, 다양화의 필요적 욕구충족 공간으로서 그 유형, 경향, 형태, 구조 등 환경변화의 확산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플라워와 공간, 그리고 리테일(retail) 샵 인테리어 디자인의 이해에 그 기본을 두고 현대의 다양화된 국내외 플라워 샵에 대한 본 연구자의 현장조사를 통한 자료를 토대로 분석하여 유형화하고 이에 대한마케팅전략, 상품아이템의 상품구성 및 특성을 다음과 같이 고찰하였다. 첫째, 브랜드 아이덴티티형 플라워 샵은 집중적 마케팅 전략방법으로, 절화 및 분식물의 핵심상품과 트레이드마크, 로고, 패키지, 태그디자인등 유형상품 판매를 주로 하는 플라워 세분화 시장 표적의 전략적 마케팅이 강조되고 있다. 둘째, 자연주의적 경향의 자연주의 정원형 플라워 샵은 확산적 마케팅 전략방법으로 절화, 분식물의 핵심상품과 오너먼트, 가드닝 도구, 오브제등 다양한 확장상품이 대량 판매되고 있다. 셋째, 이종산업 결합형태의 다원 복합형 플라워 샵은 플라워와 카페, 가구, 의류판매 등 상이한 업종의 융합으로 차별적 마케팅 전략방법과 연계하였다. 절화, 분식물의 핵심상품과 램프, 다이닝웨어, 오너먼트, 오브제 등 확장상품이 판매되고 있다. 넷째, 건축물 간 틈새 및 자투리 공간을 이용한 극소규모형 플라워 샵은 제약적 마케팅 전략 방법으로 특히 절화, 분식물의 핵심상품과 확장상품의 베이스, 오브제 등에서 단순한 종류 및 소량의 상품이 제한적으로 판매되고 있다. 다섯째, 매체활용 이전의 전형적 재래형태의 재래형 플라워 샵은 소극적 마케팅전략 방법으로 타 샵의 양상과는 달리 분식물 상품이 주로 판매되는 경향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리빙 디자인 트렌드를 선도하는 중요한 팩터로서 플라워샵의 현대적 역할가치를 조명함에 있어 플라워 샵을 유형화하고 이에 대한 마케팅 전략방법, 상품아이템의 상품구성 등 특성을 세분화하여 고찰함으로써 이를 바탕으로 플라워 샵 적용의 가이드라인 제공은 물론 소비자 개인의 라이프스타일에 적합한 환경제공의 역할을 기대한다. In the 21st century, flowers has become an essential item in a wide range of life styles. And flower shops which sell flowers take various forms with many different trends and makeups, in order to meet specialized, differentiated and diversified life styles of consumers according to better standard of life and consciousness. Based on understanding flowers, spaces, and interior design of retail shops, this study analyzes and categorizes field surveys that I have conducted targeting various modern flower shops home and abroad, and thereby suggests marketing strategy and compositions and features of each item. First, flower boutique shops in the brand identity and feature style, take its strategy targeting specific markets, by displaying core products such as cut flowers or flowerpot products, and demonstrating formal products such as trademarks, logo, package and tag designs. Second, the natural garden flower shops in natural trend in nature-oriented style, take an augmented marketing strategy and sell large quantity of various augmented items such as ornaments, gardening tools, and objets, as well as core products such as cut flowers and flowerpot products. Third, multi complex flower shops that combine different kinds of industries, take a differentiated marketing strategy, such as cafe, furniture, clothes. Core products including cut flowers and flowerpot products, are sold with augmented products that include dinning ware, ornaments, and objets. Fourth, petite pocket flower shops that use clearance space or little piece of space between buildings, have a limited marketing strategy, selling cut flowers and flowerpot products as core products, and base and objets as augmented products, especially small quantity of simple sorts of products. Fifth, conventional flower shops in a traditional style that does not use advanced media, have a passive marketing strategy, selling only some of flowerpot products, different from other shops. In general, this study has categorized flower shops in detail, considering their modern value as an important factor that leads living design trend, and examined each shop focusing on their marketing strategies, composition of items, and other specific features, suggesting guidelines for flowershops on how to meet appropriate individual lifestyle.

      • KCI등재SCOPUS
      • KCI등재

        브랜드의 통합적 아이덴티티 구축을 위한 <공간 디자인과 마케팅>의 융합수업사례

        이진민 ( Jin Min Rhie ),장미정 ( Mi Jeong Ja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5 기초조형학연구 Vol.16 No.5

        본 연구는 브랜드의 통합적 아이덴티티 구축을 위해 스페이스 디자인과 마케팅 교과목간의 융합수업사례를 준비과정, 수업운영 및 진행, 결과물 그리고 리뷰까지 순차적으로 정리 고찰함으로써 향후 교과목개발에 있어 좀 더 실효성있는 모형개발의 근간을 마련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연구자가 실제 수업지도에 참여한 2014 년 1 학기 S 여대 환경디자인학과의<브랜드스페이스마케팅>교과목을 대상으로 한 티칭포트폴리오 형식의 사례연구이다. 또한 본 연구는 각각의 전공교수(공간환경디자인 2 명, 마케팅 1 명)이 함께 15 주간 참여한 공동수업형태의 결과물로써 그 과정들을 문헌고찰과 실제적인 관찰기법을 비롯하여 결과물의 최종 리뷰의 정량적 분석을 그 방법으로 한다. 연구대상의 수업은 조별과제와 개인별과제로 진행한다. 구체적으로 조별과제는 전반부 1~7 주의 사물(物)과 이벤트(事), 후반부 8~15 주의 인물(人)과 장소(場)를 테마로 하고, 개인별과제는 1~15 주의 자기브랜드개발로 하여 모든 과정들을 관찰 기록하고 프로세스를 정리한다. 그 중 본 연구는 조별브랜드개발을 중심으로 창의적 디자인 프로세스를 전개하는 단계별, 物·事·人·場의4 가지 대상별로 각각 세부 분석한다. 연구결과, 첫째, 본 연구는 디자인과 마케팅 전공교수가 융합하여 교육함으로써 향후 공간디자인 학생들에게 마케팅적 사고와 동시에 창의적 브랜드 디자인을 하는 교수법개발에 의의가 있다. 둘째, 본 연구는 브랜드를 개발함에 있어 그래픽 제품 공간 아이덴티티를 아우르는 통합적 디자인을 꾀한 것에 의의가 있다. 끝으로, 본 연구는 자기발견을 위한 개인브랜드를 개발함과 동시에 팀과의 융합을 꾀하는 양자 간의 균형을 도모하고, 창의적인디자인마케팅 융합교수법을 개발 수정 보완 개선하는 지속적인 과정을 통해 보다 실효성있는 수업내용을 구축한 것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space that combines a design and marketing teaching model that would assist in educating future leaders with fused thinking skills. This study on Environmental Design was conducted during the first semester of 2014 at S University <Brand space marketing>. The case study is in regards to a teaching portfolio format for a course map class. In addition, this study included each of the major faculty to the class in the form of joint participation during a 15 week as a result of the process and observation techniques literature that way. Subject to the observation of the present study <Brand space marketing> class courses are taught in team and personal challenges. Team challenges 1-7 during-week-15 were for things(物) and events(事), 8~15-for people(人) and places (場). Form week 1 to 13 personal challenges were set up to observe the recording and organizing process of self-care brand develop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ignificant in that what has developed is a teaching method for marketing in design focused on future students by professors, in the process becoming a fusion of a design and marketing team by teaching each class. In addition, they deserve a share of the value as interdisciplinary records and data on the results of map <brand marketing space>.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