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LED파장을 이용한 치아미백기 디자인개발연구

        이진렬,최연수,임효선 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2017 산업디자인학연구 Vol.11 No.4

        With the development of LED industry and LED technology, the market scale of LED health-care product is rapidly increasing. In addition, there has been increasing trend to enjoy the aesthetic satisfaction of having clean teeth with the enlarging interests of appearance. However, existing researches haven’t suggested the right LED wave for developing a bleach device. Moreover, existing bleach devices does not satisfy the user’s needs in usability. This research, trough the review of prior researches, suggested that the efficient interval of LED wave for the bleach device is from 450nm ~ 500nm with the peak wave of 470nm. Aslo, this research performed the development of a bleach device improving the problems of unhygienic storage case, repulsion of usage, ristriction of behavior, inconvenience of carry and recharging which was revealed from usability test. Through the usability test of existion bleach devices, this research suggested the design solving problems and inconveniences by the structure of cradle including recharging terminals which makes it possible to recharge the product in the cradle, by the cover connecting to mouth-piece in order to lessen repulsion in usage and by the elimination of recharging cables in order to increase behavior freedom. This research aims to increase the market of LED health-care industry and give academic and practical contribution of the development of future bleach devices. 최근 LED산업 및 LED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LED헬스케어기기 제품시장은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아울러 외모에 관한 관심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깨끗한 치아를 통해 미적 만족감을 누리려는 욕구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기존의 LED치아미백기 제품의 경우에는 치아미백을 위한 LED파장의 사용에 대한 정확한 근거자료를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사용성에 있어서도 기존 제품이 사용자의 욕구를 정확하게 반영하지 못하는 제품들이 대부분이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자료의 검토를 통해 치아미백을 위한 LED파장이 470nm의 피크파장을 가지며 450nm~500nm의 구간이 가장 효율적인 파장역임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사용자를 대상으로 한 사용성테스트를 통하여, 비위생적인 보관상의 문제, 착용시 거부감의 문제, 행동의 제한문제, 휴대불편성의 문제, 충전의 불편함의 문제 등을 발견하고,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치아미백기 개발을 수행하였다. 선행연구분석 및 기존제품에 대한 사용성테스트를 통해, 거치시에 자동 충전되는 단자를 포함한 거치대구조와 마우스피스에 연계된 커버구조를 통해 착용시 거부감을 해소하고, 충전선을 제거하여 사용시 행동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디자인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가 향후 LED헬스케어시장의 확대에 도움이 되길 바라며 아울러 향후 LED치아미백기의 개발에도 학문적 및 실무적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 KCI등재

        3D 프린팅을 활용한 재활치료보조기기 제품개발 연구 -뇌졸중 편마비환자의 경직관절 재활을 위한 발목관절보조기기 개발을 중심으로-

        이진렬,손장완,김병욱 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2018 산업디자인학연구 Vol.12 No.1

        Comparing to the rapid growth of rehabilitation-aid device industry, production environment of rehabilitation-aid device has been still depended on analogue processing by handwork. Accordingly, it contains various problems like long period of production, high price, huge amount of wastes, non-patient friendly product development environment and high cost of facility construction. This study aims to suggest new possibility of production environment of rehabilitation-aid device industry by showing 3D printing based production process of rehabilitation-aid device. For this, we performed theoretical review on technology and materials of 3D printing then, based on this, we suggested the development process of AFO(Ankle Free Orthosis) for Stroke-Hemiparalysis Patients. It’s expected that 3D printing technology will be rapidly applied for medical device industry because customization in medical devices is much more important than any other industry. We, based on this study, expect that 3D printing based medical device industry will be highly developed in the future with variously expanded research on 3D printing technology and 3D printing materials. 재활치료보조기기 시장은 매년 빠른속도로 성장하고 있으나, 여전히 재활치료보조기기의 제작환경은 수작업에 의한 아날로그방식에 의존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오랜 제작기간과 고가격, 다량의 쓰레기양산, 비환자중심 제품개발환경, 고비용의 제작설비구축 등 다양한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3D프린팅을 기반으로 한 재활치료보조기 개발과정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재활치료보조기 시장에서의 효율적인 제작환경의 가능성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이론적 고찰을 통해 3D프린팅기술과 3D프린터 및 소재에 대한 고찰을 수행하고, 소재특성테스트를 통해 뇌졸중환자의 편마비질환에 따른 관절경직 재활치료를 위한 발목관절보조기 개발과정을 제시하였다. 의료기기 및 재활치료기기분야서 3D프린팅기술은 빠르게 확대 적용될 것으로 기대되는데 그 이유는 의료기기 및 재활치료보조기기의 경우 환자 개인별 맞춤제작의 필요성이 다른 산업군보다 매우 높기 때문이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향후 의료기기 및 재활치료보조기기 분야에서 다양한 3D 프린팅기술과 3D 프린팅소재의 연구로 확대되어, 3D프린팅기술을 활용한 의료기기 및 재활치료기기 산업이 크게 발전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생태학적 디자인의 문제인식 범위와 추구가치에 관한 고찰

        이진렬 조선대학교 문화예술산업연구소 2024 문화예술산업연구 Vol.24 No.1

        본 연구는 선행연구와 사례연구를 통하여 생태학적 디자인의 관점을 물질적 요소뿐만 아니라 비물질적 요소까지 폭넓게 확장하여 생태학적 디자인의 문제인식 범위를 물리적 환경 인간, 사회, 문화의 4가지 영역으로 규정하였으며 각 영역과 관련하여 생태학적 디자인에서의 추구가치를 환경보호, 인간존중, 사회적 책임, 문화품질로 제안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각 영역별로 생태학적 관점에서 디자인의 방향성에 제시하였으며, 제품사용의 전주기를 고려한 디자인, 사용상의 비용을 낮추는 디자인, 인간의 건강을 고려하는 디자인, 소외된 계층을 포함하는 디자인, 사회적 책임을 높이는 디자인, 사용자의 사회의식을 높이는 디자인 및 문화적 아이덴티티를 반영하는 디자인과 시대의 문화를 반영하는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생태학적 관점의 디자인에 대한 연구가 더욱 포괄적이고 다차원적인 분야로 확대되는 계기가 되어, 디자인이 안전한 삶의 생태계를 만들어가는 기능과 역할이 더욱 확장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This study broadened the perspective of ecological design to include not only material elements but also non-material elements through previous studies and case studies, and defined the scope of problem recognition of ecological design into four areas: physical environment, human, society, and culture. In relation to the domain, the values pursued in ecological design were proposed as environmental protection, human respect, social responsibility, and cultural quality. Based on this, the direction of design was presented from an ecological point of view for each area ; design considering the entire product use cycle, design that lowers the cost of use, design that considers human health, design that includes the marginalized class, and design that height social responsibility, design that raises user's social consciousness, design that reflects cultural identity, and design that reflects the culture of the times were proposed.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serve as an opportunity to expand research on design from an ecological perspective to a more comprehensive and multidimensional field.

      • KCI등재

        디자인기업의 3D 프린팅 융합비즈니스 수요분석 및 정책지원방향

        이진렬,나은경,고단비,한지애 디자인융복합학회(구.한국인포디자인학회) 2020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9 No.4

        본 연구는 디자인기업의 수요조사를 통해 3D 프린팅 분야별 선호와 기업 성장 단계별 수요를 분석하고 디자인기업 중심의 3D 융합비즈니스 지원정책에 대한 방향을 제안하였다. 수요분석 결과 7년 미만 창업기업형의 경우, 디자인기업이 자체적으로 제품을 제작하여 판매할 수 있는 3D 프린팅 비즈니스영역인 상품기반 3D 프린팅 디자인융합 분야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며, 제품개발컨설팅 및 시제품 제작지원이 필요하다. 7년 이상 12년 미만 성장기업의 경우, 모형제작, 테스트용 시제품 등과 같은 기술기반 3D 프린팅 디자인융합 분야와 관광 상품, 맞춤형 개인용품, DIY세트 등과 같은 상품기반 3D 프린팅 디자인융합 분야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며 시제품 제작 지원, 3D 프린팅 상품화 기술지도 지원 및 지식재산권 확보 등이 요구된다. 12년 이상 성숙기업의 경우, 테스트용 시제품, 교체 가능한 부품, 의료기기 및 치료물, 스마트 금형, 모형제작 등 제조기업과 연계한 기술기반 3D 프린팅 디자인융합 분야에 대한 지원정책이 필요하며, 기술지도, 3D 프린팅 전문 인력 고용 연계와 시험&인증 지원, 마케팅·홍보 지원, 수출 바이어 상담지원 등이 필요하다. This study analyzed the preferences of each 3D printing field and demands at each stage of the company's growth through the demand survey of design companies, and suggested the direction for the design-oriented 3D convergence business support policy. As a result of demand analysis, in the case of a start-up company with less than 7 years, it is necessary to support the product-based 3D printing design convergence field, a 3D printing business area where design companies can make and sell their own products, and support product development consulting and prototype production This is necessary. In the case of a growth-type company that is more than 7 years and less than 12 years, it is necessary to support the technology-based 3D printing design convergence field, such as model making and test prototypes, and the product-based 3D printing design convergence field, such as tourism products, personalized personal products, and DIY sets. In addition, it is required to support prototype production, support 3D printing commercialization technical guidance, and secure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For mature companies over 12 years, support policy for technology-based 3D printing design convergence in connection with manufacturing company design services such as test prototypes, replaceable parts, medical devices and treatment materials, smart molds, and model manufacturing is required. It is necessary to provide guidance, linkage of 3D printing manpower employment, support for test & certification, support for marketing and public relations, and support for export buyer consult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