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용운의 승려교육 개혁운동의 교육사적 의의 - 임제종 운동을 중심으로 -

        이지중 한국인격교육학회 2015 인격교육 Vol.9 No.3

        This study is aimed to reflect on the view of history on Han Yong-woon’s educational renovation for Buddhist monk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described as follows: First, Man-Hae thought that the philosophical and religious character of Buddhism could be the raw materials for moral and culture for the future of the Cho-Sun Dynasty. So, he wanted to renovate Cho-Sun Buddhism and enlighten Cho-Sun society & people with a modern Buddhist monk education. Second, he led the Im-Je-Jong campaign with Park Han-Young. It seems that he planned & practiced the educational renovation for Buddhist monks through the Im-Je-Jong campaign. Consequently, we need to notice the meaning of educational history for the Im-Je-Jong campaign. However, his plans of educational renovation were faced with limitations because of the surveillance order and the first Cho-Sun-Kyo-Uk order in 1911. 이 글의 목적은 한용운의 승려교육 개혁운동의 교육사적 의의를 고찰하는 것이다. 만해는 불교의 철학적․ 종교적 성질이 미래 세계의 도덕과 문명의 원료품이 될 수 있다고 여겼다. 그런 까닭에 그는 불교의 본래성을 근대교육이라는 방편을 통해 되살림으로써 조선불교와 조선사회 및 조선민중을 개혁하고자 하였다. 특히 그는 1910년에 박한영 등과 함께 전개하였던 임제종 운동을 통해 자신의 승려교육 개혁안을 구상하였고 또 이를 실천하려고 하였던 것으로 짐작된다. 당시 임제종 운동의 주요 근거지이었던 호남지역의 송광사, 화엄사, 대둔사 및 백양사 등의 전통강원에는 전문강원과 함께 보통학교가 운영되고 있었음에도 알 수 있듯이 이미 근대적 교육사업이 전개되고 있었다. 이에 그는 이 임제종 운동을 통하여 친일불교로부터 조선불교의 정통성을 되살리고자 하였을 뿐만 아니라, 조선승려교육의 정통성을 친일불교로부터 지키고자 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이 운동은 당시 전통강원을 중심으로 설립 운영되고 있던 전문강원과 보통학교를 조선사회 및 민중을 계몽시키기 위한 초석으로 삼고자 하였던 불교계 최초의 교육운동이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그의 개혁안은 191l년의 사찰령과 제1차 조선교육령으로 인해 한계성을 가질 수밖에 없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13년, 그는 일제의 탄압에 굴하지 않고 오히려 조선불교 혁신안인 『조선불교유신론』을 발표함으로써 조선의 불교계와 조선사회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마음치료에 대한 불교철학적 접근: 초기 유식학의 관점에서

        이지중 한국인격교육학회 2019 인격교육 Vol.13 No.3

        이 글은 불교철학의 유식학을 어떻게 마음치료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시론적 고찰이다. 이를 위해 본 논고에서는 유식학의 언어에 대한 기본적 논리에 주목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 우리가 자신의 의언분별성을 깨닫고 이를 실천한다는 것은 마음치료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이 의언분별성에 대한 깨달음은 우리로 하여금 선의 종자식으로 자신의 마음을 훈습할 수 있는 태도를 견지할 수 있게 하는 지혜라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지혜로써 우리는 천상과 인간 그리고 열반의 세계로 윤회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지 못할 경우 우리는 그 언어적 분별세계에 갇혀 아수라와 축생 그리고 지옥을 윤회하는 고통의 바다에 빠질 수 있기 때문이다. 궁극적으로 우리가 추구하지 않으면서 추구하고자 하는 것은 온전하고 자유로운 삶이다. 이것은 곧 무분별을 바탕으로 삼아 분별하는 ‘무분별의 분별’에 터하는 세계를 뜻하는 것이다. 그리고 목소리와의 대화를 통한 초월로써 이루어지는 세계라 할 수 있다. 이로써 늘 지옥이나 짐승 또는 아수라의 질곡 속에서 사는 내담자를 인간과 천상의 세계 그리고 열반 내지는 빅마인드의 세계로 안내하는 것이 마음치료이자 인문치료의 역할이라고 하겠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plore how the early Vijñaptimatratāvāda(Yogācāra Buddhism) can be utilized for mind therapy. This study delves into the fundamental logic of language of the early Vijñaptimatratāvāda(Yogācāra Buddhism).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realizing and practicing eui-eon-bun-byul-seong(意言分別性) in daily life is very important for mind treatment. Because the enlightenment of eui-eon-bun-byul-seong(意言分別性) is wisdom that enables one to perfume(divāsanā) the mind with seeds of good consciousness. With the help of this wisdom, humans can transmigrate into the worlds of heaven, man, and nirvana. Otherwise they can be trapped in the linguistic world of discernment and indulge in the sea of ​​suffering that revolves around asura, the livestock, and hell. Ultimately, what we pursue without seeking is of a life of integrity and freedom. This means a discernment world based on "in-discernmental discernment" and a world made by transcendence through dialogues resulting from various minds. In this transcendental way, we could guide the clients who always live in hell, beast, or asura into the world of human beings, heavenly world, and nirvana or big mind, which I insist is the key role of mind and humanities therapy.

      • KCI등재후보

        사람됨을 위한 언어교육의 방향

        이지중 한국인격교육학회 2011 인격교육 Vol.5 No.2

        인간의 언어체계는 그의 사람됨을 형성하는 바탕이 된다. 왜냐하면 인간은 그의 언어체계가 열어준 물길에 따라 세계를 인식하고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언어는 단순히 인간의 의사소통을 위한 도구로서의 역할을 넘어, 우리의 세계를 새롭게 그리고 풍부하게 변화시키는 앎의 형성작용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언어는 다른 한편으로 자신의 힘으로 인간의 사유를 제약함으로써 인간을 비본래적으로 퇴락시키기도 하는 이중성을 가지고 있다. 이것은 우리가 고정관념이나 주관성의 폐해를 낳기도 하는 이유가 되기도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우리는 바람직한 사람됨을 이루어 내기 위한 언어교육의 필요성을 제기할 수 있다. 이것은 우선 언어의 본래적 성격 파악을 위한 교육과 자신의 언어체계는 곧 본인의 사람됨을 뜻하는 것임을 알게 하는 교육 및 언어체계의 수정을 위한 교육으로 기획될 필요가 있다. 이로써 우리는 언어의 제약으로부터의 자유로움과 바람직한 사람됨을 구성할 수 있는 교육적 상황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It is natural that human could recognize his/her world according to the his/her concerns, then the knowledge of his/her is constituted by the his/her language system that could open the way of his/her thinking. So, we would say that the language system of someone means his/her Saramdaum. However, language could not only lead our world abundantly and newly, but make human thinking into a confined limitation. Futhermore, though there is no connection between the signified and the signifier, human‘s insisting to the correctiveness of language, it drives human into "Verfallen". This is the reason why we should raise an issue for language education. I want to argue that students should have the opportunity to question about the essence and character of language itself for his/her Saramdaum.

      • KCI등재

        불교철학의 초논리성에 관한 교육적 독법

        이지중 동양고전학회 2007 東洋古典硏究 Vol.27 No.-

        본 논고는 불교철학의 초논리성에 관한 교육적 독법의 필요성 및 그 실마리를 유식학의 언어적 관점을 중심으로 삼아 탐구해 보고자 한 것이다. 선문답이나 ‘色卽是空 空卽是色’ 등의 논리에서 확인할 수 있는 이러한 초논리성은, 오늘의 교육이 기본적인 바탕으로 삼고 있는 논리적 영역의 원천이 된다는 점에서, 그리고 이에 관한 적확한 이해는 이원적 희론에서 벗어나 우리의 사람됨을 새로이 변화시킬 수 있는 자기 교육적 계기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교육적으로 매우 주목할 탐구대상이라 할 수 있다.논의 결과 이것의 독법의 실마리는 먼저 초논리적 세계의 영역을 논리적 맥락에서 풀어내려는 태도에서 벗어나는 것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세계는 언어를 소통통로로 삼아 이루어지는 의언분별(意言分別)적인 것일 뿐이며, 또한 언어와 대상사물은 상호 불투명성의 관계를 갖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인간의 앎은 무한성의 무가 언어를 매체로 삼아 유한성의 유로 드러난 것으로서, 곧 초논리적[無] 세계가 언어를 매체로 삼아 사물의 대상성[色]으로 존재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논리적 세계와 초논리적 세계와의 소통 통로인 언어의 본질을 적확하게 이해함으로써 그 세계를 읽어낼 수 있는 단초를 찾을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불교철학의 초논리성은 여전히 근대주의적 세계관에 기초를 두고 있는 오늘의 교육적 지평의 확장에 의미 있는 시사를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educational reading methods for trans-logicality of Buddhist philosophy in Consciousness- only in language conceptions. In the trans-logicality of Buddhist philosophy found in zen's questioning & answering and the buddhist logic of saek-jeok-see-kong kong-jeok-see-saek[色卽是空 空卽是色] could be a foundational ground of today's educational theory and an opportunity for transforming learner's personality through understanding of the trans-logicality, we can assert that the Buddhist trans-logicality has lots of importance that we should notice in the educational field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our discussion, we can argue that the possibilities of reading methods for trans-logicality of the Buddhist philosophy are as follows. First, the possibility is to understand that our knowing is a phenomenon of limited beings which happens from unlimited nothingness. And we have to get out of ourselves from the attitude of making clear the trans-logicality of Buddhist philosophy in logical thinking. Then, the possibility i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ogical world and the translogical world which are connected and meditated through language to each other as well as being affirmative and un-affirmative/negative at the same time to each other. Finally, the possibility is to understand the character of our thinking that is uei-un-bun-bul-seung[意言分別性] as well as the obscureness between object and language.

      • KCI등재

        유식삼성설과 훈습의 관계성에 대한 고찰

        이지중 사단법인한국교수불자연합회 2020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Vol.26 No.3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yoo-sik samseongseol(유식 삼성설; Theory of three types of nature of phenomena classified by the Dharma-character School) and vasana(훈습; hume or imprints), focusing on the vasana of ‘uitaseong(의타성; ‘interdependent existence of things)’. As a result, we could have some conclusions as follows. First, uitaseong(의타성) depends upon vasana(훈습) and yeon-gi(연기). Uitaseong(의타성) is the self-nature of alaya-vijñapti. It is not a self-existing entity, but a result of being bound by a relationship outside oneself. Despite the fact that the essence of consciousness is no-mind, the reason why humans can discern and recognize their own world is because of vasana(훈습) and yeon-gi(연기). Second, the quality of uitaseong(의타성) depends on vasana(훈습). Uitaseong(의타성) has no fixed the self-nature. The essence of alaya-vijñapti is structured differently by vasana(훈습). Therefore we can live in pain through vasana(훈습) of karma and klesa [번뇌, beonnoi] or live in wisdom through munhunseup(문훈습). Finally, the difference in action of the uitaseong(의타성) is also structured differently by vasana(훈습). Even alaya-vijñapti is the basis of the all recognition phenomena of humans, it is structured by unseol vasana(언설훈습), yuboon vasana (유분훈습) and akun vasana as 11 style of uitaseong(의타성). In this way, alaya-vijnana become the seed of world understanding and its function as yeon-gi (연기) will also be able to work. 본고는 유식삼성설과 훈습의 관계성을 의타성의 훈습을 중심으로 고찰한 것이다. 그 결과다음과 우리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의 결론을 살펴볼 수 있었다. 첫째, 의타성은 인연과 훈습에 매여 달리는 것이다. 의타성은 식이 연생하는 자성으로서 스스로 자존하는 실체라 할 수 없다. 자기 밖의 인연에 얽매여 생기하는 것이다. 식의 본질이 무임에도 불구하고 인간은 자신의 세계를 분별하여 인식할 수 있게 되는 것은 연기와 훈습의 작용이 있기 때문이다. 둘째, 의타성의 품성은 훈습에 따라 달라진다. 의타성에는 정해진 자성이 없다. 그런 까닭에의타의 체, 즉 아리야식의 본질은 훈습에 의해 그 품성이 달리 구성되는 것이다. 그런 까닭에우리는 업과 번뇌의 훈습으로 우비고뇌(憂悲苦惱)를 안고 살아가게 되고, 문훈습으로 지혜를 증득할 수 있는 계기를 가질 수도 있다. 셋째, 의타성의 작용의 차이도 훈습에 의해 이루어진다. 아리야식은 일체법이 생기할 수 있는 바탕인데, 이는 언설훈습, 유분훈습 그리고 아견훈습으로 의타성 11식이 구성됨으로써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훈습은 부정품법의 훈습이다. 이와 같은 식의 훈습에 의해 의타성은 세계이해의 종자가 될 수 있고, 또한 식의 자성으로서 연기도 그 공능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 KCI등재

        언어의 본질 이해를 통한 자기 교육 - 유식 삼성설(三性說)의 관점을 중심으로 -

        이지중 동양고전학회 2006 東洋古典硏究 Vol.24 No.-

        본 논고는 불교철학의 유식학에서 해명하고 있는 언어와 의식 작용과 의 관계성 및 이를 통해 파악할 수 있는 언어의 본질에 대한 이해가 우리 자신의 사람됨에 미치는 영향을 자기 교육의 관점에서 고찰한 것이다. 이를 위해 다룬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가 어떤 대상사물을 이해한다는 것은 의식이 그 대상을 지향함으로써 가능한 것인데, 이 때 지향된 그 대상사물이 존재할 수 있는 것은 언어를 자신의 존재 바탕으로 삼아 가능한 것임을 논고하였다. 이로써 대상사물은 의식 내재적인 것임과 아울러, 언어는 인간의 존재방식으로서 사람됨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이해할 수 있었다. 둘째, 이러한 언어의 본질에 대한 이해는 현재 자신의 사유를 가능케 하는 언어적 영향력과 의식과의 관계에 대해 성찰할 수 있게 하고, 이러한 성찰은 자신의 사유를 언어적 집착으로 부터의 자유롭게 할 수 있는 자기 교육적 효과가 있음을 논고하였다. 아울러 자신의 사람됨을 새로이 구성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음을 고찰 하였다. 이와 같이 언어의 본질에 대한 이해는 우리의 사람됨을 새로이 구성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자기 교육을 위한 핵심적인 교육적 과제인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self-learning by our own understanding language which was perceived through understanding relativity between language and consciousness to the doctrine of Consciousness-only. This study was scrutinized in the following sections. First, Paratantrasvabhava(依他性, nature of dependence on others) which is a function of consciousness as well as the basic ground to create language, Parikalpitasvabhava(分別性, nature of mere-imagination) which is presented phenomena as language, and Parinispannasvabhava(眞實性, nature of ultimate reality) which is language as bup_kay(法界) were discussed. Second, It was discussed that understanding the relativity between language and consciousness made us to think about the essence of language. In addition, the understanding of language could be a crucial method to constitute our-mind discussed as well. Third, it was discussed that our understanding about the essence of language has some important meaning in education, as a kind of authentic character of self-learning.

      • KCI등재후보

        디지털 이미지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비판적 접근

        이지중 한국인격교육학회 2016 인격교육 Vol.10 No.3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consider problems with the educational use of digital images. This study was outlined in the following sections. First, we found it difficult to judge that the utilization of the digital textbook is more useful than the book textbook for improving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lty as well as problem solving capability. Careful educational discussion and social agreement is needed to fully launch the digital textbook. Second, there is a great possibility that the utilization of the digital textbook will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student's way of thinking and cognitive development. Multitasking through Internet systems for the use of a digital image could cause too much of a distraction and disruption to a student's attention. Finally, it is necessary to insist that students today be trained to look at digital images critically. In addtion, we need to think about how to use traditional bibliographic text with digital textbooks because the student's ability to read the textbook critically requires an analytical understanding of digital images. 본 논고는 디지털 교과서를 중심으로 디지털 이미지의 교육적 활용이 갖는 문제점을 고찰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교육부 발간의 교육정보화 백서와 그간의 디지털교과서 활용에 따른 성과 및 문제점을 다룬 메타연구를 중심으로 디지털이미지가 학습자의 학습효과 및 건강 등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논고 결과 우리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를 그 결과로 제시할 수 있었다. 첫째, 디지털교과서의 도입 및 활용이 기존의 서책형 교과서를 이용하는 것에 비해 학습자들의 자기주도학습 능력 및 문제 해결력 향상 등의 교육효과로 이어지고 있다고 일괄적으로 말하기 어렵다. 따라서, 디지털교과서의 도입은 보다 신중한 교육학적 논의 및 사회적 합의를 거쳐야 할 것으로 본다. 둘째, 디지털 이미지를 활용한 수업은 의외로 학습자들의 사고방식이나 인지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 특히 하이퍼링크를 통해 연계되는 인터넷과 이를 중심으로 수행되는 멀티테스킹은 오히려 학습자들의 주의력과 행위를 산만하게 만들 수 있다. 셋째, 그런 까닭에 오늘의 교육이 반드시 주목해야 할 것은 학습자들이 디지털이미지를 비판적으로 볼 수 있는 안목의 배양이라고 할 수 있다. 텍스트 읽기에 정통한 눈을 길러주는 것이 영상 이미지를 비판적으로 해독하는 능력을 배양하는 것일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는 디지털 교과서와 함께 어떠한 방법으로 전통적 서책형 텍스트를 활용할 것인가를 고민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무(無)의 인식과 교육 - 초기 유식학의 관점에서 -

        이지중,예철해 한국종교교육학회 2019 宗敎敎育學硏究 Vol.59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human beings can be perceived from nothing. Based on this question, we explored how the expression of wisdom in nothing is possible, and the need for education to express this wisdo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principles of Vijñaptimatratāvāda (Yogācāra Buddhism), the human mind is both unconscious and indiscreet. Second, the human mind can recognize its own world despite its recklessness because diet and color can embrace and depend on each other. Third, it is possible for an expression to be a self-changeable person and a person to be a major at the same time as a verbal vāsanā(perfuming). Fourth, ‘The wisdom of the unclassified is the name.’ says human perception, even though it is a world identified by language, is not the subject. And the realization that the subject can't be the language to which it is pointed, either. Fifth, five key tasks of wisdom education were presented for understanding the nature of langu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