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팬데믹 시대 대학도서관 온라인 정보서비스의 현황과 과제

        이지수,Lee, Jisu 한국문헌정보학회 2021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55 No.4

        팬데믹 이후 대학의 비대면 원격 학습 전환으로 도서관의 정보 이용환경은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고, 대학도서관은 이러한 변화에 따른 요구나 기대에 부응하는 연구 및 교육 지원 서비스를 제공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외의 대학도서관이 팬데믹 이후에 제공하고 있는 온라인 정보서비스와 이에 대한 원격 학습자들의 이용경험과 요구사항을 파악하기 위하여, 1) 국내외 대학도서관 60곳이 제공하고 있는 온라인 정보서비스의 현황, 그리고 2) 원격 학습을 하는 대학생들의 대학도서관 온라인 정보서비스의 이용경험 및 요구사항 등을 조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팬데믹 이후 국내외 대학도서관에서는 다양한 온라인 정보서비스를 제공하여 비대면 환경에 대응하고 있었으며, 이용자는 대학도서관의 전자자료 이용 서비스와 온라인 이용자 교육 서비스에 대한 높은 이용경험과 요구사항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의 대학도서관이 팬데믹 발생 후에 제공하는 온라인 정보서비스의 현황 및 대학생들의 이용경험 및 요구사항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팬데믹 위기 속에서 원격 학습으로 전환된 대학의 교육과 도서관의 온라인 정보서비스의 질적 향상 및 이용자의 요구사항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기획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After the pandemic, universities are shifting to distance learning, and the information use environment of libraries is rapidly changing.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cademic libraries to provide learning and research support services to users in response to these changes. This study analyzed the following contents, focusing on the contents of online services of academic libraries in order to understand the services provided by academic libraries after the pandemic, 1) the current status of online information services provided by 60 academic libraries at domestic and foreign and 2) the experience and requirements for using the online information services of academic library were investigated. As a result of the study, academic libraries at domestic and foreign responded to the untact environment by providing various online information services and users showed high experience and requirements for the electronic resource service and online user education service of academic libraries after the outbreak of the pandemic.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of online information services provided by domestic and foreign academic libraries after the outbreak of the pandemic, as well as the experiences and requirements of university students, several strategies were proposed to improve the quality of university education and library online information services and to plan services that respond to user needs.

      • KCI등재

        해외 국립 문학관의 서비스 사례 분석과 시사점

        이지수,Lee, Jisu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21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52 No.3

        국내외에서는 문학과 관련된 자료를 전문적으로 수집, 보존, 관리 및 활용하기 위해 여러 문학관을 설립, 운영하고 있고, 2024년 국내에서 처음으로 국가 주도의 종합문학관인 국립한국문학관을 개관할 예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국립 문학관을 개관하려는 시점에서, 선행연구와 선진사례를 바탕으로 국립 문학관의 전반적인 서비스의 현황 및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다. 사례 분석을 위해서는 해외의 국립 문학관 중 총 11개 기관을 선정하여 운영 목적 및 주요 서비스, 전시 서비스, 도서관 및 아카이브 서비스, 교육 프로그램 및 이벤트 서비스, 연구 및 출판 서비스, 그리고 기타 편의시설 서비스 등의 요소를 바탕으로 문학관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의 국립 문학관에 적용할 수 있는 시사점을 모색하며 도서관, 박물관 및 기록관 등의 문화 기관이 협업하여 하나의 복합문화공간으로서의 국립 문학관을 위한 종합적인 서비스 방향을 논의하였다. 국립한국문학관이 국가를 대표하는 문학 기관이 되기 위해서는 타 문화 기관의 협력으로 한국 문학이 가지는 고유한 특성을 극대화하여 문학 자원을 효율적으로 서비스 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Recently, several literary centers have been established and operated to professionally collect, preserve, manage, and utilize literature-related materials at domestic and foreig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n Literature will be opened for the first time in 2024. In this paper, at the time of opening the National Literary Museum, the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the overall service of the National Literary Museum were reviewed based on prior research and advanced cases. For the case analysis, a total of 11 institutions were selected among national literary museums abroad and the status of each institution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service elements provided, such as operational purpose and major services, exhibition services, library and archive services, educational programs and event services, research and publication services, and other convenience facilities service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we explored implications that can be applied to the National Literary Museum in Korea, and cultural institutions such as libraries, museums and archives collaborated to discuss a comprehensive service direction to operate the National Literary Museum as a single complex cultural space. In order for the National Museum of Korean Literature to become a literary institution representing the country, it will be important to efficiently service literary resources by maximizing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Korean literature through cooperation with other cultural institutions.

      • KCI등재

        m-Aramid/PAA 블렌딩 필름의 제조 및 특성

        이지수(Jisu Lee),장아영(Ayoung Jang),권지은(Ji Eun Gwon),이승우(Seung Woo Lee),이상오(Sang Oh Lee),이재웅(Jaewoong Lee) 한국염색가공학회 2023 韓國染色加工學會誌 Vol.35 No.4

        Meta-aramid and polyamic acid were separated and the manufactured films were analyzed for their integration and logarithmic properties. The miscibility of meta-aramid and polyamic acid was analyzed by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Using calorimetric analysis and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the storage of meta-aramid and polyamic acid, indi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column, was analyzed. It was confirmed that the initial thermal resistance occurs because the polyamic acid is accounted for in the meta-aramid, and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and persistence phenomenon are explained.

      • 반추 하위 유형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차이: 스트레스 대처 방식의 매개효과 비교

        이지수 ( Jisu Lee ),안정광 ( Jung-kwang Ahn ),최현정 ( Hyunjung Choi ) 한국게슈탈트상담심리학회 2021 한국게슈탈트상담연구 Vol.11 No.1

        본 연구에서는 반추의 하위유형에 따라 스트레스 대처 방식과 우울 증상이 다르게 나타나는지 알아보았다. 지역사회 비임상 집단 20대 128명이 설문에 참여하였다. 구조모형을 통한 매개분석 결과, 자책은 회피 중심 대처에 정적으로, 문제 중심 대처에 부적으로 영향을 미침으로써 우울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반면, 숙고는 자책과 달리 문제 중심 대처에 정적인 영향을 미쳐 우울 증상 감소에 간접적인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추의 두 유형에 따라 스트레스 대처 방식과 우울 증상이 달라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자책의 부적응성과 숙고의 적응성을 보여주며 선행 연구를 지지했고 반추에 대한 이해를 높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whether stress coping and depressive symptoms differ depending on the subtype of rumination. A total of 128 non-clinical community participants in their 20s completed the survey. According to the mediation analysis of structural models, brooding significantly increased depression by influencing avoidance-focused coping positively and problem-focused coping negatively. However, reflection had significant indirect effects on reducing depressive symptoms by influencing on problem-focused coping negatively. Stress coping strategies and depressive symptoms differed depending on subtypes of rumin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pported prior researches and improved the understandings of rumination, showing the maladaptiveness in brooding and adaptability of reflection.

      • KCI등재

        서울의 사회·경제적 요인이 고온 현상 발생 시 사망자에 미치는 영향

        이지수(Jisu Lee),김만규(Man-Kyu Kim),박종철(Jongchul Park) 한국지역지리학회 2016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2 No.1

        본 연구는 고온에 취약한 그룹의 특성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고 고온으로 인한 사망자를 줄이는데 기여하기 위하여 사회・경제적 요인과 사망자 임계기온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연구 지역은 서울이며 연구 기간은 2000~2010년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결과, 고령 인구 비율이 높은 지역과 낮은 지역에서 사망자 임계기온은 각각 27.6℃와 27.9℃이었다. 고학력자 비율이 높은 지역과 낮은 지역에서 사망자 임계 기온은 각각 27.7℃와 27.4℃이었다. 기초생활수급자 비율에 따른 지역 구분에서는 임계기온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고령 인구 비율이 높고 기초생활수급자 비 율이 높은 지역에서 사망자 임계기온은 다른 지역에 비해 0.7℃ 낮았다. 고령 인구 비율이 높고 고학력자 비율이 낮은 지역에서 사망자 임계기온도 상대적으로 0.7℃ 낮았다. 이는 서울에서 저소득 고령층이 고온에 취약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고온으로 인한 사망자를 줄이기 위하여 저소득 고령 인구에 대한 정책을 우선 수 립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characteristics of groups vulnerable to extreme heat and to reduce mortality caused by high temperature. For this purpose,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factors and mortality-threshold temperatures were studied. The study area was limited to Seoul (South Korea) and climate data from 2000 to 2010 was used. Our results indicate that mortality-threshold temperatures for regions with a high proportion of aging population and a low proportion of aging population are 27.6℃ and 27.9℃, respectively. It was also found that a relative size of welfare dependant population did not affect mortality-threshold temperatures. However, regions with a high proportion of aging and welfare dependant population experienced 0.7℃ lower mortality-threshold temperature than other regions. This implies that low income and older people in Seoul are more easily affected by high temperature. Thus, this study suggests that it needs a policy targeted to low income and aging population to decrease mortality rate caused by extreme heat.

      • KCI등재

        부사 파생 접미사 `-이/-히`에 대한 표기사적 검토

        이지수 ( Lee Jisu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17 국제어문 Vol.0 No.72

        본고는 부사 파생 접미사 `-이/-히`의 표기에 대한 한글 맞춤법 제51항에 대하여 한글 맞춤법의 전체적인 태도 혹은 관점에서 이를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가에 대한 논의라 할 수 있다. 부사 파생 접미사 `-이/-히`의 표기에 관한 맞춤법 규정은 그 표기를 직관상 `-이/-히` 중 하나로 결정하기가 쉽지 않다는 문제와, 그 규정이 `한글 맞춤법은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을 원칙으로 한다.`라는 한글 맞춤법의 대원칙에 어긋나고 있다는 문제를 안고 있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 원인을 표기사적 검토를 통해 규범적인 관점에서 제시하고자 하였다. 결국 부사 파생 접미사 `-이/-히`의 표기가 현재와 같은 문제를 안게 된 것은 규범의 개정 과정에서 전체의 맥락을 고려하지 않아서 발생한 의도하지 않은 오류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맞춤법 규정 제51항에 관한 논의는 최초의 규정에서 그러하였듯 맞춤법의 문제가 아닌 표준어의 문제로 돌아가서 이루어져야 한다. This study discusses the article of the Korean Hangul suffix notation “-이[i]/-히[hi]” in terms of the overall viewpoint of Korean Hangul spelling. The spelling rule for the adverbial suffix “-이[i]/-히[hi]” is problematic in that it is not easy to determine the notation and that it goes against the principles of Hangul spelling. This paper aims to present the cause for these problems from a normative viewpoint by thoroughly reviewing the history of notation. It concludes that the problem posed by the adverbial suffix “-이[i]/-히[hi]” is an unintended error caused by not considering the whole context in the revision process of the norm. Therefore, it is a problem to be discussed in standard language and not a spelling problem, as was previously considered.

      • KCI등재

        품사 분류 기준으로서의 ‘형태’에 대한 국어교육적 고찰

        이지수 ( Lee Jisu )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구 연세대학교 언어정보개발원) 2021 언어사실과 관점 Vol.52 No.-

        Part of speech classification in school grammar focuses on certain functions performed by language units in sentences. However, these functions usually appear in a certain form. For example,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rm of verbs are inevitably different from other sentence components. The classification of parts of speech centered on ‘form’ is a dualistic grasp of the combination of body language and postposition and the combination of stem and ending. As a result, it has the advantag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at it consistently shows the grammatical characteristics of verbs in Korean sentences by emphasizing the characteristics of verbs. The ‘form’ criterion for classification of parts of speech has problems that the concept of ‘words’ is difficult to be applied consistently, and the classification of predicative case postposition is ambiguous. However, the question of predicative case postposition is still a question that arises even when ‘distribution’ is used as the classification criterion. It can be said that this is not a problem of the standard of part-of-speech classification, but rather a problem of the specificity of ‘Ida’. And in the case of the problem of word concepts, in the field of education that learners, intuitive understanding and explanation of language phenomena seem more important than the consistency of the concep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