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현대 한국어문학 형성기 한자어(漢字語)의 표기(表記)와 한자(漢字)·한글 사용(使用)의 문제 -지석영(池錫永)의 「국문론」, 『言文』 등을 중심으로-

        이준환(李準煥) ( Yi¸ Jun-hwan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20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8 No.4

        이 글에서는 현대 한국어문학 형성기의 국문과 한문, 한자 및 한자어 사용 및 표기의 문제를 池錫永의 저작물을 통해 고찰하여 당시의 과제는 무엇이었으며 어떤 해결책이 모색되었는지를 번역으로 이루어진 게일의 『牖蒙千字』와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지석영은 「국문론」 편찬 이전에 한문으로 된 『牛痘新說』, 순 국문으로 된 『신학신설』을 편찬하면서 겪은 번역의 경험을 통하여 국어 문장을 어떤 식으로 표현할지를 고민하였고, 국한문이 대세가 된 현실에 맞추어 실질적인 도움을 줄 『言文』과 같은 공구서를 편찬하게 되었다. 『言文』에서는 음을 중심으로 검색을 하고, 음만으로도 적을 수 있도록 하는 길을 열어 두어 국문 대 한문의 대응을 한눈에 보고, 「국문론」에서 천명하였던 한자음의 고저, 고유어의 장단의 구별을 해소하기 위한 답을 제시하였다. 또한 『兒學編』, 『字典釋要』에서는 현실음을 반영한 것과는 달리 이곳에서는 규범음으로써 한자어 표기를 하도록 하여 국문 표기의 표의적 기능을 살리려 하였다. 이곳에 반영된 한자어를 『牖蒙千字』와 비교하여 보니 학습 대상으로 설정한 한자의 개수, 한자어의 현실성 등에서 굉장히 근접한 양상을 보였다. In this article, I wanted to consider the problems of the use and notation of Korean alphabet(Hangeul), Chinese characters, Chinese characters and Korean Chinese characters in the formative period of Korean language literature through the works of Ji Seok-yeong. Through this, I compared the tasks of the time, what solutions were sought, and compared them to the book Yumongcheonja, which was compiled by Gale, considering that translation was important. Before writing the Gungmunnon, Ji Seok-yeong considered how to express Korean sentences through his experience in translation while compiling the Chinese-language Udusinseol and Sinhaksinseol. In addition, Ji Seok-yeong compiled a reference book, Eonmun, which will provide practical help to sentences expressed in a mixture of Korean alphabet(Hangeul) and Chinese characters in sentence with the current trend of Korean and Chinese characters have become popular. He left open the possibility of searching around the notes in the written language and marking them only with the notes. Through this process, he took a quick look at the response between Korean alphabet( Hangeul) and Chinese characters and presented answers to resolve the confusion in the height of Chinese characters and the distinction between the Korean and the pure Korean language. He also tried to revive the voting function of the Korean writing system by making Chinese character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based on normative Chinese characters in the language, un like the actual Chinese characters in the Ahakpyeon and Jajeonseogyo. Compared to the Chinese characters reflected in Eonmun with Yumongcheonja, the number of Chinese characters selected for study and the practicality of Chinese characters were very close. This shows that the problems of language reality that Ji Seok-yeong has experienced and felt in the course of translating and training doctors are concentrated here.

      • KCI등재

        조선에서의 한국어학 연구의 형성과 전개에 영향을 끼친 유럽과 일본의 학술적 네트워크 탐색

        이준환(Yi, Jun-Hwan)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7 코기토 Vol.- No.82

        이 글은 개화기와 일제 강점기하의 조선에서의 한국어학 연구의 형성과 전개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이는 유럽인과 일본인의 연구를 대상으로 하여, 이들의 연구 성과와 이들 사이의 관계를 고찰하여 유럽과 일본 사이에 학술적 네트워크가 어떻게 형성되어 있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이 글에서는 애스턴을 중심으로 한 유럽인들의 한국어 및 일본어 연구 논저, 가나자와 쇼자부로를 중심으로 한 일본인들의 일본어 및 한국어 연구 논저를 자료로 삼아, 이들 자료에서 보이는 내용에 주목하며 서로 간의 영향 관계를 살펴보았다. 고찰 결과 유럽인들은 ① 한국어와 일본어의 음운, 형태, 통사, 어휘적 특성, ② 한국어와 일본어의 계통, ③ 한국어와 일본어의 문자 체계에 관심을 가지고서 이미 19세기 전반기부터 연구를 수행하고 있었던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일본인들은, 이런 유럽인들의 연구에 영향을 받아 한국어의 특성, 한국어의 계통, 한국 문자에 관한 연구를 한 것으로 보인다. 애스턴을 중심으로 하는 유럽인의 연구를 보면 한국어와 일본어를 전반적으로 폭넓게 고찰하면서도 정교하게 고찰하여 상당한 소득을 거두었다. 특히 계통론과 관련하여 한국어와 일본어의 유사성에 관심을 기울이고, 음운, 문법, 어휘의 비교를 통해서 실상을 살펴보는 등 연구 방법론 면에서 눈에 띄는 성과를 거두었다. 이런 계통론의 연구는 일본에 영향을 미쳐 일본인들이 한국어와 일본어 사이의 계통적 관계를 연구하는 데에 많은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This article focuses on European and Japanese studies that seem to have influenced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studies in Korea during the enlightenment and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 will look 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research achievements and their research achievements, and see how academic networks are formed between Europe and Japan. For this purpose, I have used the Japanese and Korean research articles centering on Kanazawa Shozaburo as a reference, using the Korean and Japanese research articles of Europeans mainly focusing on Aston’s research articles. And I looked at the contents of these materials and examined the influence relations between them. As a result of observation, I could understand the following. First, I could see that Europeans were already studying ① the phonology, morphology, syntax, lex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and Japanese, ② the origin of Korean and Japanese, ③ the character system of Korean and Japanese. And I found that the Japanese were influenced by the researches of ①, ② and ③ of Europeans and conducted research on Korean and Korean characters. And I found that European studies centered on Aston had a considerable income while examining Korean and Japanese in a wide range and elaborately. Europeans have made remarkable achievements in terms of research methodology, paying attention to similaritie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in relation to phonology, and examining the facts through comparison of phonology, grammar, and vocabulary. The study of this language family theory influenced Japan and it is understood that the Japanese influenced the study of the language family relation between Korean and Japanese.

      • KCI등재

        『신식부인치가법(新式婦人治家法)』의 번역과 한중일 한자어의 교섭 양상

        이준환 ( Yi Jun-hwan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8 大東文化硏究 Vol.102 No.-

        이 글은 趙男熙가 편찬한 『新式婦人治家法』 (이하 『치가법』, 1925)을 下田歌子의 『新選家政學』(이하 『新選』, 1900), 作新社의 『新編家政學』 (이하 『新編』, 1902), 玄公廉의 『漢文家政學』(이하 『한문』, 1907), 『新訂家政學』 (이하 『신정』, 1913)과 텍스트에 반영된 내용, 문장, 한자어의 비교를 통하여 문헌 사이의 영향 관계, 언어상의 대응 및 교섭 양상을 고찰한 것이다. 이로써 번역으로 맺어진 이 문헌들 사이의 관계를 파악하여 『치가법』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가정학을 매개로 한 한중일의 언어 교섭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上海圖書館에 소장되어 있는 『新編』을 연구 대상에 포함하였는데, 『新編』을 『한문』 과 비교하여 보니 『한문』은 편집만 좀 다르게 되어 있음을 알게 되어 『新編』 =『한문』으로 보고 연구를 하여도 문제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고찰 결과 『치가법』과 관련을 맺는 여러 텍스트의 원천은 『新選』 이지만, 『치가법』에 직접적 영향을 준 것은 『新編』 =『한문』과 이를 국한문으로 번역한 『신정』 임이 분명해 보이나 일부 『新選』 의 직접적 반영으로 보이는 예도 있다. 『치가법』은 독자의 한문 이해 수준을 고려하여 국어의 통사적 질서에 바탕을 둔 자연스러운 문장과 쉬운 어휘를 사용한 국문으로 번역을 하고 부분적으로 한자를 병기하여 여성에게 요청되는 바를 갖추도록 하였다. 그 결과 『신정』 과 내용상으로는 유사하면서도 문체와 어휘 면에서는 많은 차이를 보이게 되었다. 『치가법』이 번역으로 이루어진 만큼 한자어의 모습을 비교하여 살피는 것은 중요하다. 그래서 사회 분야의 어휘에 관하여 고찰하여 본 결과 『치가법』은 기본적으로는 『新選』→ 『新編』 =『한문』→ 『신정』→ 『치가법』으로 이어지는 번역의 계보에 따라, 『新選』, 『新編』 =『한문』, 『신정』 에서 보이는 한자어의 쓰임과 일치하는 것이 많았다. 그러나 『치가법』과 『新編』 =『한문』, 『신정』사이의 일치를 보이는 것도 있었고, 『新選』 과의 일치만을 보이는 것도 있었고, 『신정』 과의 일치만을 보이거나 『신정』과 차이를 보이거나 하는 등 그 양상이 다양하였다. 그리고 『치가법』은 어렵지 않고 친숙한 한자어를 골라 쓰는 경향이 드러나는데, 이는 독자인 여성을 고려한 조치로 문체에서 보이는 특징과 밀접한 관련을 맺는다. 또한 신생 한자어가 『치가법』에서 사용된 예가 적지 않은데 이는 『치가법』의 독자의 수준을 고려하면 이들 어휘가 당시 국어에 정착했음을 보여 주는 것으로 판단되는 것이다. This article was aimed at comparing Sinsikbuinchigabeop(1925) compiled by Jo Namhui with Sinseongajeonghak(1900) compiled by Shimoda Utako, Sinpyeongajeonghak( 1902) compiled by Jaksinsa, Hanmungajeonghak(1907) and Sinjeonggajeonghak (1913) compiled by Hyeon Gongnyeom, focusing on the influence relation between documents, the correspondence and negotiation pattern in language. Through this, I tried to grasp the relation between these documents and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Sinsikbuinchigabeop and examine the language bargaining of Korean, Chinese and Japanese mediated through home economics. For this purpose, Sinpyeongajeonghak, which is in Shanghai Library, was included in the study. Comparing Sinpyeongajeonghak with Hanmungajeonghak, I found that Hanmungajeonghak only had some differences in editing, so Sinpyeongajeonghak and Hanmungajeonghak were the same. According to my consideration, although the source of the various texts related to the Sinsikbuinchigabeop is Sinseongajeonghak, it is clear that Sinpyeongajeonghak and Hanmungajeonghak, which directly affects Sinsikbuinchigabeop, which translated it into Korean, may be seen as a direct reflection of some Sinseongajeonghak. In Sinsikbuinchigabeop, Jo Namhui translated into Korean using natural sentences and easy vocabularies based on the syntactic order of the Korean language,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reader's level of Chinese text understanding. In addition, some Chinese characters were written side by side so that women could be requested. As a result, Sinsikbuinchigabeop is similar in content to Sinjeonggajeonghak, but has many differences in style of writing and vocabulary. Since Sinsikbuinchigabeop was made up of translations, it is important to compare the appearance of Chinese characters with those of other text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vocabulary of the social field, according to the genealogy of translation from Sinseongajeonghak through Sinpyeongajeonghak through Hanmungajeonghak, through Sinjeonggajeonghak to Sinsikbuinchigabeop, in Sinsikbuinchigabeop, there are many cases in which the Chinese characters in Sinseongajeonghak, Sinpyeongajeonghak= Hanmungajeonghak and Sinjeonggajeonghak were used. However, there are some coincidence between Sinsikbuinchigabeop and Sinpyeongajeonghak=Hanmungajeonghak and Sinjeonggajeonghak, and there are only coincidence with Sinseongajeonghak, and there are various aspects such as only showing agreement with Sinjeonggajeonghak or showing difference with Sinjeonggajeonghak. And Sinsikbuinchigabeop shows a tendency to choose familiar Chinese characters without difficulty, which is closely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ylistic style in consideration of the female reader. In addition, there are not many cases where the new Chinese characters are used in Sinsikbuinchigabeop, which is judged to show that these vocabulary settled in the language at that time considering the level of readers of Sinsikbuinchigabeop.

      • KCI등재

        『名物小學』의 언어적 양상에 대하여

        이준환 ( Yi Jun-hwan ) 서강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2023 언어와 정보 사회 Vol.49 No.-

        This article aims to help estimate the publication date of Myeongmulsohak (『名物小學』), which is not yet known, by examining the linguistic aspects found here, and looking at which period of Korean history this linguistic aspect is close to. The study suggests that Myeongmulsohak (『名物小學』) was designed to increase the utility of Chinese character learning books, such as arranging eight characters per line, dividing and clarifying meaning of word, and reorganizing them following the actual language use. In addition, given the aspects of notation, phonology and use of letters, this book can be summarized as intended as a study book that tried to actively accommodate actual language use. However, the presentation of Sino-Korean adopted a fairly standardized method due to the standardization caused by the influence of prosody book (韻書) and Sino-Korean dictionary in the period of modern Korean.

      • KCI등재

        개화기 및 일제 강점기 영한사전의 미시 구조와 국어 어휘 및 번역어 고찰 -공통 표제어 대응 어휘를 중심으로

        이준환 ( Jun Hwan Yi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2 大東文化硏究 Vol.80 No.-

        이 글은 언더우드(1890), 스콧(1891), 존스(1914), 게일(1924), 원한경(1925) 이렇게 5개의 영한사전의 미시 구조를 살펴보고, 공통 표제어를 대상으로 하여 이에 대응하는 국어 어휘 및 번역어의 실태 및 다양화 양상, 새로 등장한 어휘의 기원, 국어 어휘 및 번역 어휘가 반영하고 있는 분야, 파생어를 중심으로 한 국어 어휘 및 번역어의 형태론적 특징을 살펴보고자 했다. 5개 사전의 구조를 보면 스콧(1891)과 게일(1924)는 단순한 미시 구조를 보이며, 언더우드(1890)는 품사 정보와 용례까지 제시한 좀 더 상세한 미시 구조를 보이며, 존스(1914)와 원한경(1925)는 동의어·유의어와 다의어를 미시 구조의 차원에서 구분한 더욱 상세한 미시 구조를 보이는 사전이다. 미시 구조가 상세할수록 국어 어휘나 번역어의 개수도 많아지는 양상을 보였다. 이들 사전의 표제어의 개수를 품사별로 살펴보니 명사>동사>형용사순이었으며 명사로 대응하는 것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후대에 간행된 사전일수록 새로운 국어 어휘나 번역어가 반영되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나는데, 이들 어휘는 대개 한자어(漢字語)였다. 기존 어휘가 누적되고 새로운 어휘가 등장하면서 동의어·유의어가 확대되는 모습을 보였고 다의성도 충실히 반영하려 한 시도가 나타났다. 새롭게 등장한 어휘의 기원을 살펴보면 외래적인 것 특히 일본어계와 중국어계가 많았는데 일본어계가 주를 이루었다. 따라서 일본어나 중국어를 참고하면서 영어 표제어에 대응하는 어휘를 모색하는 과정을 거쳐서 영한사전의 뜻풀이를 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새롭게 등장한 어휘들에는 전문 분야의 어휘들이 많이 보인다. 특히 법률>종교>경제>군 사>의학>교육 등의 어휘가 두드러졌고, 이 외에 산업, 광업, 농업, 건설, 생물, 물리, 화학, 수학, 기하학, 박물학, 언어, 문학, 철학, 예술 등의 어휘도 다수 나타나는 양상을 보였다. 그리고 국어 어휘 및 번역어에서는 파생어가 많이 관찰되어 여러 접사를 추출해 볼 수 있었는데 접두사로는 ``부(不)-, 무(無)-, 몰(沒)-, 신(新)-, 귀(貴)-, 생(生)-, 초(超)-`` 등이 있으며 접미사로는 ``-관(官), -사(師), -증(症), -질(質), -자(者), -가(家), -인(人), -사(士), -원(員), -장(長), -수(手)`` 등이 있어서 접미 파생법이 발달했음을 보이는데, 고유어계는 ``-질``만이 관찰되어 고유어계 접사 의 생산성이 높지 못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research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microscopic structure of the five English-Korean Dictionaries(Underwood(1890), Scott(1891), Jones(1914), Gale(1924), H. H. Underwood (1925)) and real condition of Korean vocabulary and translators that corresponded to common headings. I specifically examined aspects of diversification, origins of the emerging vocabulary, and morphological features of Korean vocabulary and translators. Among the five English-Korean dictionary, Scott(1891) and Gale(1924) has a simple microscopic structure. Underwood(1890) has a more detailed microscopic structure that enough to present word class information and examples. Jones(1914) and H. H. Underwood(1925) has more detailed microscopic structure that enough to classify and present synonym, thesaurus, polysemy in the micro-dimensional structure. There is tendency that more and more Korean vocabulary and translators are recorded in English-Korean dictionary as the microscopic structure details. I could see that the result of word class as nouns, verbs, adjectives, order the number of headings. The number of nouns was found to be overwhelmingly common. Later published dictionaries more have a strong tendency to reflect more translation to new Korean vocabulary and translators. This contained most of the vocabulary of the Sino-Korean vocabulary. And the fact that I could see was also an attempt to see how the existing vocabulary is cumulative and the emergence of the new vocabulary, synonyms and thesaurus expanding ambiguity, was also trying to faithfully reflected. And Japanese based Sino-Korean vocabulary and Chinese-based Sino-Korean vocabulary emerged much. And Japanese-based Sino-Korean vocabulary are more common. So I could see that a compiler of a English-Korean Dictionary referred Japanese or Chinese vocabulary and decided definition of English-Korean dictionary. New vocabulary are mostly technical terms. There are a lot of legal, religious, economic, military, medicine and education technical terms that recorded in English-Korean dictionary``s vocabulary. And a lot of derivative were observed from Korean vocabulary and translator. Prefix list is ``부(不)-, 무(無)-, 몰(沒)-, 신(新)-, 귀(貴)-, 생(生)-, 초(超)-`` and suffix list is ``-관(官), -사(師), -증(症), -질(質), -자(者), -가(家), -인(人), -사(士), -원(員), -장(長), -수(手)``. Derivative by suffix were much rather than by the prefix.

      • KCI등재

        일반논문 : 정익로(鄭益魯)의 『국한문신옥편(國漢文新玉篇)』의 체재와 언어 양상

        이준환 ( Jun Hwan Yi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5 大東文化硏究 Vol.89 No.-

        이 글은 鄭益魯에 의해 편찬된 國漢文新玉篇이 어떤 틀을 보이고 있고 여기에 반영되어 있는 한자음과 국문 뜻풀이 등의 언어의 양상은 어떠한지를 중심으로 이자전의 특징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을 목표로 한 것이다. 『國漢文新玉篇』은 부녀자와 아동도 한자에 관한 정보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국문으로 뜻과 음을 제시하고, 뜻과 음의 근거를 분명히 찾아서 편찬하고자 했던 것이다. 이 자전의 체재와 내용은 기본적으로 『全韻玉篇』을 근거로 하여 만들어진 것이었으나 『全韻玉篇』보다 표제자의 개수도 많아지고 한자의 순서도 조정되는 등의 차이도 있고, 모든 표제자에 국문으로 된 뜻풀이를 제시하여 한자 대 국어의 대응 관계를 보여 주어 차이가 있다. 무엇보다도 국문 뜻풀이를 제시하여 당시 언어생활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이 자전은 큰 의의를 지닌다고 하겠다. 그리고 國漢文音韻字彙를 통해서 표제자를 음별로 묶어서 제시하고 국문 뜻풀이를 표제자 아래에 제시함으로써 쉽게 한자의 음과 뜻을 파악할 수 있도록 편의를 제공하였다는 점도 특징적이다. 이 자전에 반영된 언어 양상을 보면 한자음은 대개 『全韻玉篇』과 같으나 한자음 사용 현실 등을 감안하여 한자음을 단순화하거나 속음만을 제시하는 등의 적절한 조정을 한부분도 있다. 국문 뜻풀이는 대개 한자의 기본 의미에 해당하는 것을 제시하고 있는데 이들 뜻풀이에 제시된 어휘가 대체로 이전 시기의 初學書와 일치하는 것임을 볼 때, 이전 시기의 초학서를 참고해 가면서 이를 근거로 하여 국문 뜻풀이를 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consider on structure and language aspect in Kukhanmunsinokpyeon. Language aspect is involved in Sino-Korean and Korean definition on Chinese character. Kukhanmunsinokpyeon was published to let women and children know information about Sino-Korean and definition on Chinese character. In the pursuit of this purpose Jeong Ik-ro presented Sion-Korean and definition in Korean and made efforts to have adequate grounds on Sion-Korean and definition. The ground on structure and contents are basically based on Jeonunokpyeon. But there are difference between Kukhanmunsinokpyeon and Jeonunokpyeon, in regard to the number of entry, the order of presentation of entry and presentation of Korean definition on Chinese character. Most of all, by presenting Korean definition on Chinese character, Jeong Ik-ro wanted to help Korean people`s language life then. This was very valuable. And a presentation of Kukhanmuneumhunjahwi which has a character like index is evident. The aspect of Sino-Korean in Kukhanmunsinokpyeon are similar to that of in Jeonunokpyeon. But there are distinction in that adjustments like simplication in Sino-Korean were made and presentation of only Sokeum in other words a popular pronunciation of a Chinese character. Korean definition on Chinese character are relevant to basic meaning in most cases and these meaning are agreement with Korean definition on Chinese character in beginner`s Chinese book. In that, I understanded Korean definition on Chinese character in Kukhanmunsinokpyeon was presented in based on Korean definition on Chinese character in beginner`s Chinese book published in the previous period.

      • KCI등재

        ≪훈몽자회(訓蒙字會)≫ 주석(註釋)에서 볼 수 있는 중세국어 한자음의 모습

        이준환 ( Yi Jun-hwan ) 국어학회 2015 국어학 Vol.75 No.-

        중세국어 한자음 자료인 ≪訓蒙字會≫에는 漢文으로 된 註釋이 주기되어 있는데 여기에는 한자음과 관련한 기술이 다수 포함되어 있다. 이런 한자음 관련 註釋을 포함하는 한자의 개수는 약 324자에 달한다. 이들 註釋을 뽑고 通作, 亦作, 俗作, 本作, 或作, 正作, 同作, 又作, 今作, 與X同, 기타의 유형으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이들 가운데에는 ① 중세국어 문헌에서는 전혀 볼 수 없었던 한자음 자료와 ② 다른 중세국어 문헌의 한자음과는 다른 모습을 보이는 한자음 자료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렇게 수집된 자료를 통하여 중세국어 한자음 연구 자료의 양을 늘릴 수 있게 되었는데, 수집된 자료의 개수는 ①에 해당하는 것이 97개, ②에 해당하는 것이 36개로 모두 133개에 달하였다. 이는 중세국어 한자음 연구 자료, 특히 현실음 연구 자료가 부족한 상황에서 상당한 소득이라고 할 수 있다. 이들 가운데에는 복수음자의 복수 한자음의 모습을 보여 주는 것이 포함되어 있고 의미와 음 사이의 관계에 관한 정보도 제시되어 있어서 복수 한자음의 사용 양상과 각각의 한자음의 역할을 의미를 관련지어 살피는 데에 좋은 자료가 된다. 註釋에 실린 한자음 자료가 반영하고 있는 한자음들은 대개 중세국어 한자음과 中古漢語 사이의 대응 관계에 기반하여 이해해 볼 수 있는 것들이나 상당수는 中古漢語 이후의 近代的 층위를 반영한 한자음과 관련되는 것들이었다. 대표적으로 舌上音의 正齒音化, 齊微韻 형성, 江陽韻 형성, 蕭豪韻 형성, 입성 운미의 소실 및 양성 운미의 변화와 관련한 모습이 반영되어 있음을 볼 수 있었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Middle Sino-Korean aspect written in annotation in Hunmongjahoe. For this purpose I extracted annotation related with Middle Sino-Korean first of all. And I classified into small groups as 通作, 亦作, 俗作, 本作, 或作, 正作, 同作, 又作, 今作, 與X同 and etc. As a result I could see entirely new Middle Sino-Korean data which in other Middle Sino-Korean data that could not see and different Middle Sino-Korean data which in other Middle Sino-Korean data that could see. Thanks to this new and different data newly collected, we can increase the amount of material real Middle Sino-Korean. This new and different Middle Sino-Korean data newly collected involve multiple Sino-Korean which easily contain relationship between the meaning and sound. Using this multiple Sino-Korean data, we can study relationship between the meaning and sound. The feature of Middle Sino-Korean reflected in annotation can be generally understandable based on Middle Sino-Korean and Ancient Chinese relations. But many of them were be understandable based on relation to Modern Chinese. For example, there are reflection of the change in 舌上音 正齒音 of intial, formation of 齊微韻, 江陽韻 and 蕭豪 韻, and disappearance of /-p/, /-t/, /-k/ and change in /-m/>/-n/ of final.

      • KCI등재

        18세기 국어 현실 한자음의 대응 및 변화 양상

        이준환(Yi, Jun-hwan) 구결학회 2012 구결연구 Vol.28 No.-

        이 글은 18세기 국어 현실 한자음 중 韻母의 양상에 집중하여 대응 양상에서 보이는 특징 및 변화 양상의 특징을 다루고자 한 것이다. 그간 이 시기 한자음에 대한 연구는 주로 운서 및 자전의 규범음을 중심으로 연구되어 왔는데 본고에서 살핀 현실 한자음의 양상은 이들 규범음과는 상당히 다른 양상을 보였다. 이 시기 한자음은 이전 시기의 대응 양상의 틀을 유지하고 있지만 한자음의 層位와 관련하여 근대한어를 반영한 것으로 보이는 ‘圓완’, ‘笏흘’과 같은 예도있고, 국어의 음운 변화로 인해 일어난 /ㆍ/의 변화, 구개음화와 관련한 활음의 탈락 및 첨가, 원순모음화, 원순성 활음의 첨가 및 탈락, /ㅗ/와 /ㅜ/의 교체 등의 한자음의 변화가 관찰되었다. 이로 인해 이전 시기의 한자음과는 다른 이 시기 한자음의 특징을 알 수 있기는 하나 판단하기 쉽지 않은 예들도 있어서 앞으로 지속적으로 관찰하고 논의를 하는 것이 필요하다. The aim of this study it to consider characters of correspondence and change aspects of real Sino-Korean of the 18th century, focusing on final’s aspects. Until now studies about Sino-Korean of the 18th century have progressed with standard Sino-Korean from Unseo(韻書) and dictionary(字典) as the central texts. But aspects of real Sino-Korean are different from standard Sino-Korean. Real Sino-Korean’ correspondence aspects of the 18th century are similar those of correspondence of the 17th century and Middle-Korean. But examples like ‘圓완wan’ and ‘笏흘heul’ which are reflected new layer came on in documents of 18th century. And it was observed changes of Sino-Korean, like change of /ㆍ/, elimination and insertion of glide /j/ due to palatalization, vowelization, elimination and insertion of glide /w/ due to vowelization and shift of /ㅗ/ and /ㅜ/.

      • KCI등재

        개화기 독본의 정치 관련 신생 한자어의 개념 및 개념 제시 방식 고찰

        이준환 ( Jun Hwan Yi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6 大東文化硏究 Vol.94 No.-

        이 글은 『국민소학독본』(1895)에서부터 『신찬초등소학』(1909)에 이르기까지 개화기에 편찬된 13종의 독본에 실린 정치 관련 신생 한자어를 뽑아서 이들이 어떤 개념을 지니고 있고 어떤 방법으로 제시되어 있는지를 고찰한 것이다. 고찰을 해본 결과 신생 한자어들은 근대적인 개념을 상당히 획득하여 사용되고, 이 말들이 처음 만들어지거나 재정의되어 사용된 일본어의 개념과도 유사하고, 『西遊見聞』에 기술된 내용과도 유사한 면이 널리 나타났다. 그러나 통상과 무역에 초점을 맞춘‘條約’이나, 상업과 통상 관련 업무에 초점을 맞춘 ‘領事’는 오늘날의 개념과 비교 할 때 경제적인 면에 치우친 개념 사용을 보이고, 사람 사이의 관계에 초점을 맞춘 ‘權利’나 ‘平等’은 나라 사이의 관계에 초점을 맞춘 『西遊見聞』의 기술과 비교할 때 초점의 방향에서 차이가 있다. 한자어의 개념을 제시하는 방법을 보니 1. 한자어의미를 풀이하여 제시하는 방식, 2. 한자어의 구성 요소를 제시하는 방식, 3. 한자어를 통하여 나타내는 대상의 존재 이유 또는 존재 목적을 제시하는 방식, 4. 구분 또는 예시를 통하여 구체적인 종류나 사례를 제시하는 방식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이는 설명적인 텍스트 기술 방식들이다. 그런데 이와는 달리 경우에 따라서는 ‘엇지~□리오’, ‘누에게~□나뇨’, ‘安~’과 같은 형식으로 된 수사 의문문을 써서 앞에 오는 내용을 강조하거나, ‘-□니라’, ‘-ㄹ지니라’와 같은 종결 어미를 써서 마땅함 내지는 당위를 나타내는 논설적인 텍스트 기술 방식이 보인다. 이를 통하여 설명적인 텍스트 기술을 통해서 제시된 내용에 대해서 가치 판단을 하고 당위를 부여하여 그 중요성을 강조한 것으로 보인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nquire into concept and method of presentation of newborn political Sino-Korean word in reader published in period of enlightenment. For this study I extracted newborn political Sino-Korean word in 13 kinds of books from Gungminsohakdokbon( 國民小學讀本)(1895) to Sinchanchodeungsohak(新撰初等小學)(1909) and reviewed them. Through this study, I could see that newborn political Sino-Korean word had modern concept considerably and these modern concept match up or are similar with Japanese words concept. And I could see that these modern concept match up or are similar with concept of newborn political Sino-Korean word in Seoyugyeonmun(西遊見 聞)(1895). But concept of ‘條約(joyak)’, ‘領事(ryeongsa)’, ‘權利(gwolli)’ and ‘平等(pyeongdeung)’ are different between Japanese words and newborn political Sino-Korean word in Seoyugyeonmun. There are four method in presentation of newborn political Sino- Korean word in reader published in period of enlightenment. The method is as follows: firstly, presentation of dictionary``s definition about newborn political Sino-Korean word, secondly presentation of components of concept, thirdly presentation of reason or purpose for being, fourthly presentation of analysis or illustration. These corresponds to the expository text descriptive manner. In addition to these, threre are editorial text descriptive manners using investigation questions such as ‘엇지~.리오’, ‘누에게~.나 뇨’, ‘安~’ ect and final endings such as ‘-.니라’, ‘-ㄹ지니라’ etc. It seems todetermines the value and give necessity and emphasize the importance of contents presented in expository text descriptive mann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