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남아 메콩경제권의 프랜차이즈 법제의 특징과 한-메콩 법제협력 전략

        이준표 ( Lee Joonpyo ) 한국외국어대학교 동남아연구소 2021 東南亞硏究 Vol.31 No.1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franchise legislation in five Mekong countries(Thailand, Vietnam, Cambodia, Laos, Myanmar), which are emerging as new franchise markets, and to seek legislative cooperation strategies between Korea and Mekong countries. To this end, Chapter 2(II) focused on the legislative trends of Mekong countries, and Chapter 3(III) presented legislative cooperation strategies related to franchises based on the current status and limitations of legislative cooperation. In the Mekong countries, there is no unified law that only regulates franchise transaction, and they are establishing a legal system for franchising through the enactment and amendment of major laws and regulations. However, in the Mekong countries, the infrastructure at the legislative level is still insufficient compared to the trend of franchise industry development, and the ability to respond effectively is also at a low level. At this time when Korea-Mekong cooperation is expanding, comprehension and cooperation on the legal system underlying the policy is essential. Specific legal cooperation strategies include establishing long-term and systematic strategies, accumulating and expanding legal information and researching target countries, supporting the introduction of unified franchise trading guidelines, and fostering human resources related to the franchise legislation.

      • KCI등재

        바이오매스 자원의 지리 및 기술적 잠재량 산정

        이준표(Joonpyo Lee),박순철(Soonchul Park)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6 신재생에너지 Vol.12 No.S2

        Biomass has been used for energy sources from prehistoric times. Solid biofuels, such as bio-chips or bio-pellet are used for heating or electricity generation. Liquid biofuels, such as biodiesel and bioethanol from sugars or lignocellulosics, are well known renewable transportation fuels. Biogas produced from organic waste is also used for heating, generation, and vehicles. The geographical potential of biomass resources is defined as biomass resources available on account of geographical condition of a certain region. On the other hand, the technical potential of biomass resources can be defined as the amount of biomass resources usable for energy sources using the latest biomass conversion technologies. The geographical and technical potentials of biomass resources are calculated from previously estimated theoretical potentials of biomass resources using energy yield equations. The geographical potential of total biomass in Korea is estimated to be 19.121 MTOE/yr; 12.573 MTOE/yr of forest biomass, 4.019 MTOE/yr of agricultural biomass, 1.455 MTOE/yr of livestock biomass, and 1.074 MTOE/yr of municipal solid waste biomass are available geographically. The technical potential of total biomass is estimated to be 15.639 MTOE/yr; 9.64 MTOE/yr of forest biomass, 4.019 MTOE/yr of agricultural biomass, 1.124 MTOE/yr of livestock manure biomass and 0.856 MTOE/yr of municipal solid waste biomass are available for technical conversion to produce energy sources.

      • KCI등재

        Bagging 방법을 이용한 원전SG 세관 결함패턴 분류성능 향상기법

        이준표(Jun-Po Lee),조남훈(Nam-Hoon Jo) 대한전기학회 2009 전기학회논문지 Vol.58 No.12

        For defect characterization in steam generator tubes in nuclear power plant, artificial neural network has been extensively used to classify defect types. In this paper, we study the effectiveness of Bagging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neural network for the classification of tube defects. Bagging is a method that combines outputs of many neural networks that were trained separately with different training data set. By varying the number of neurons in the hidden layer, we carry out computer simulations in order to compare the classification performance of bagging neural network and single neural network. From the experiments, we found that the performance of bagging neural network is superior to the average performance of single neural network in most cases.

      • KCI등재

        동남아 메콩경제권 국가들의 경쟁법 수렴에 관한 연구 - 법의 목적과 실체규정 비교를 중심으로 -

        이준표(Lee, Joonpyo)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19 江原法學 Vol.58 No.-

        이 연구의 목적은 동남아 메콩경제권 국가들의 경쟁법상 법의 목적과 실체규정을 비교함으로써 이 지역의 경쟁법 수렴 현황을 파악하는 것이다. 국제경제가 개방화 시대에 접어들면서 국가 간의 섭외적 교역량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으며, 국제적 경쟁제한행위의 발생 및 적발사례 또한 크게 늘어나고 있다. 아세안과 같이 단일시장을 목표로 통합을 이루어가고 있는 지역협력체에 있어서는, 단일시장으로서의 실질적인 기능을 발휘하기 위한 법적 기반으로서, 무엇보다 경쟁법 체제의 지역적 조화 내지 수렴이 필수적이다. 아직은 초기 단계이지만, 동남아 메콩경제권 국가들은 아세안경제공동체라는 공동의 경제적 이익을 촉진시키는 도구로서 경쟁법을 도입하는 등 경쟁체제를 갖추어가고 있는 중이다. 동남아 메콩경제권 국가들 중에서 태국과 베트남은 최근 경쟁법이 전면 개정되어 시행 중에 있으며, 라오스, 미얀마는 2015년에 최초로 경쟁법을 도입하였다. 한편, 캄보디아의 경우에는 경쟁법 초안은 마련되었으나, 아직 국회에 계류 중에 있다. 경쟁법 이념이 가지는 보편적 가치성을 부인할 수 없지만, 한편으로 그 이념의 배후에 있는 정치·경제적 동기와 운용의 실제는 국가마다 다를 수 있다. 이 연구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먼저 동남아 메콩경제권 국가들의 경쟁법 도입배경을 정치·경제적 맥락에서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각국 경쟁법상의 목적규정과 실체규정을 비교·분석하여 국가 간 유사점과 차이점을 도출함으로써, 동남아 메콩경제권 국가들에 있어서 경쟁법의 수렴 현황을 살펴보고자 한다. 나아가 도출된 연구결과를 가지고 향후 동남아 메콩경제권 경쟁법의 지역적 조화 내지 수렴화로의 발전가능성을 전망하고 한국에의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This article aims to analyze the convergence of competition laws of the Mekong Countries in Southeast Asia focusing on comparing the objectives and substantive provisions of competition laws. As the international economy enters an era of liberalization, the amount of trade between countries has increased rapidly, while cases of international competition restrictions being revealed are also increasing. For regional cooperatives, such as ASEAN, that integrate with the goal of a single market, regional coordination and convergence of the competition law system is essential as a legal basis for it to function as a single market. Although it is still in its infancy, countries in the Mekong region in Southeast Asia have established a competitive system, such as introducing competition laws as a tool to promote the common economic interests of the ASEAN Economic Community. Thailand and Vietnam have recently been fully revised and enforced, while Laos and Myanmar introduced the first competition law in 2015. In Cambodia, a draft competition law was established, although it is still pending in the National Assembly. The universal value of the idea of competition law cannot be denied, but on the one hand the political and economic motives and practices behind it can differ from country to country. Considering these points, this article discusses consider the background of the introduction of competition law of the Mekong countries in the Southeast Asia in the context of political economy. Based on this, the objectives and substantive provisions in each country"s competition law are compared and analyzed to deriv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thereby allowing regional harmonization of competition laws of the Mekong countries in the Southeast Asia. Furthermore, with the obtained research results, this article pursues to derive the implications for South Korea by prospecting the possibilities of the development of regional harmonization or convergence of the competition laws of the Mekong countries.

      • KCI등재

        프레임 정보 전처리를 활용한 최적 영상 편집 방법

        이준표(Jun-Pyo Lee),조철영(Chul-Young Cho),이종순(Jong-Soon Lee),김태영(Tae-Yeong Kim),권철희(Cheol-Hee Kwon)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0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15 No.7

        본 논문에서는 편집하고자 하는 위치를 포함하는 GOP(Group Of Picture) 구간만을 선택하여 복호화하고 부호화하는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보다 빠르고 정확한 프레임 단위 편집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편집정보 추출과정 후에 원하는 부분만을 정확하게 분할해 내는 방법과 같은 해상도를 가지는 서로 다른 MPEG 스트림을 병합시키거나 하나의 파일에서 서로 다른 시간을 가지는 부분들을 선택하여 병합시키는 방법으로 나누어 처리한다. 분할은 선택한 프레임이 존재하는 GOP를 복호화 시켜 디스플레이가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필요한 프레임을 포함하거나 제거한 후 다시 부호화한다. 또한 분할이나 병합 후에 완전한 하나의 스트림으로 구성하기 위해 시각 관리정보의 수정뿐만 아니라 시스템 표준에서 정의하는 구성에 맞도록 전체를 재구성한다. 실험 결과 본 논문이 제안하는 편집방법이 모든 프레임에 걸쳐 정확하고 빠른 분할과 병합 과정을 처리하는 것을 나타낸다. We can cut and paste portions of MPEG coded bitstream efficiently to rearrange the audio and video sequences using our proposed method. The proposed method decodes the MPEG stream within just only one GOP(Group of Picture), edits the decoded video frames, and encodes it back to a MPEG stream. In this method, precise editing is possible. A pre-processing step is specially designed to provide easy cut and paste processing. In the pre-processing step for editing MPEG streams, the detail information is extracted. In addition, video quality is not degraded after the proposed editing process is applied. Consequently,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significant improvements compared with traditional algorithms for video editing method in terms of the efficiency and exactness.

      • KCI등재

        전장 환경에서의 비상 운용기법을 활용한 무인지상로봇과 원격통제장치 개발

        이준표(Jun-Pyo Lee),조철영(Chul-Young Cho)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1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16 No.4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전장 상황에서 무인지상로봇의 효율적인 운용을 위한 통제장치와 지상로봇의 개발 방법을 제안 한다. 제안하는 통제장치의 활용을 통해 지상로봇을 운용자가 원하는 장소로의 이동 또는 지상로봇에 탑재된 다양한 임무장비의 활용을 통해 부여된 임무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안하는 통제장치는 햅틱 장치를 이용하여 입력된 운용자의 지상로봇 플랫폼 및 임무장비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원격에서 무인지상로봇의 동작을 정밀하게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통제장치는 운용자의 입력을 받는 햅틱 장치, 무인지상로봇의 운용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전시장치, 내/외부 데이터를 처리하는 정보처리장치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통제장치를 통해 부여받은 임무를 수행하는 지상로봇은 항법처리 컴퓨터, 차량 플랫폼, 장애물 회피 컴퓨터, 통합주행 컴퓨터로 구성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을 통해 실 개발된 통제장치를 통해 다수의 지상로봇을 운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지상로봇과 통제장치의 효율성을 검증하였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 remote control station based on the awareness of various combat field situation in order for operating multiple unmanned ground vehicles. Our remote control station is capable of sending a variety of messages designed for carrying out the skillful movement for collaborate among unmanned ground vehicles, gathering the information related with combat field situation, and completing the assigned missions which are described by operator in advance.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our proposal, we develop the sophisticated remote control station and conduct a great many remote operating tests for multiple unmanned ground vehicles.

      • 미래 전투를 위한 군사 로봇 시스템의 전략적 운용 방법

        이준표(Jun-Pyo Lee),조한준(Han-Jun Cho)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2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 No.1

        현대전에서는 인명 손실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타 전투체계와의 연계를 통해 부여된 임무를 성공적으로 이끌어 내기 위해 무인로봇을 활발하게 이용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미래 전장에서 중심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되는 무인로봇과 통제장치의 기능을 제안한다. 통제장치는 디지털 지도를 기반으로 무인로봇의 위치를 전시하는 동시에 특정 위치로의 자율 이동 명령을 내리게 하는 인터페이스이다. 통제장치에서 무인로봇의 실시간 이동 간에 디지털 지도 기반 가시선(line of sight)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통신 가능지역 식별 및 중계기를 통한 통신 가능 영역 식별을 용이하게 한다. 제안한 무인로봇과 통제장치를 통해 전장 환경에서 부여된 작전을 성공적으로 이끄는데 주된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