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간결합기를 활용한 Ka대역 100W급 SSPA 설계 및 제작

        이주흔,김효철,조흥래,이덕재,안세환,이만희,주지한,김홍락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22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Vol.22 No.1

        In this paper, a study was conducted to produce 20W by combining a 10W MMIC and raising the unit power amplifier to 100W SSPA by combining the 8-way spatial coupler. SSPA requires low-loss, high-efficiency coupling techniques to meet high output with the output of a single element relatively low compared to TWTA. Designed and produced in this paper, the SSPA was manufactured as a 100W SSPA by mounting eight 20W high-power amplification modules in an 8-way spatial coupler with a reflection loss of 20dB or more and an excellent coupling efficiency of 94% or more. When -10dBm was applied, it was 112.2~169.8W at 20kHz 20%, 125.9~173.8W at 400kHz 40%, 117.5~162.2W at 800kHz 40%, showing performance of over 60dB and over 100W in all three PRF conditions. 본 논문에서는 10W급 MMIC를 결합하여 20W급으로 상향시킨 단위 전력 증폭기를 8-way 공간결합기와 결합하여 100W급 SSPA를 제작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SSPA는 TWTA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단일 소자의 출력으로 높은 출력을 충족하기 위해 저손실, 고효율의 결합 기술을 필요로 한다. 본 논문에서 설계 및 제작된 SSPA는 20dB 이상의반사 손실과 94% 이상의 우수한 결합효율을 갖는 8-way 공간결합기에 20W급 고출력증폭모듈 8대를 장착하여 100W 급 SSPA로 제작되었다. –10dBm 인가시 20kHz 20%에서 112.2~169.8W, 400kHz 40%에서 125.9~173.8W, 800kHz 40%에서 117.5~162.2W로 나타나 PRF 3가지 조건에서 모두 이득 60dB 이상과 100W 이상의 성능을 보였다.

      • KCI등재

        수직 분할 링 공진기를 이용한 S-밴드 발진기 설계

        이주흔,홍민철,오정택,윤원상 한국정보기술학회 2019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3

        본 논문에서는 수직 분할 링 공진기(VSRR, Vertical Split Ring Resonator)를 적용하여 전기적 크기를 축소시킨 발진기를 제안하였다. VSRR은 유전체 기판의 상면과 하면에 일렬로 놓인 마이크로스트립 라인간에 발생하는 커패시턴스와 인덕턴스에 의해서 공진기로 동작하는 분리형 링 공진기(Split Ring Resonator)형태이며, 마이크로스트립 라인을 이용한 일반적인 hairpin 형태 또는 평면형 링 공진기에 비해 공진 회로의 전기적 크기를 축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S-band에서 동작하는 VSRR을 설계하고, 이를 공진회로로 사용한 발진기를 설계 및 구현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제안된 발진기는 2.4GHz에서 5.9dBm의 출력을 나타내었으며, 오프셋 주파수 100kHz에서 –112.58dBc@Hz, 1MHz에서 –137.36dBc@Hz의 위상잡음 특성을 나타내었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 S-band oscillator with a reduced electrical size by applying a vertical split ring resonator(VSRR). The VSRR is a type of split ring resonator that operates as a resonator by the capacitance and inductance generated between the microstrip lines arranged on the top and bottom of the dielectric substrate and it has an advantage that the electrical size of the resonance circuit can be reduced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ring resonator. In this paper, we design a VSRR operating over S-band and an oscillator using the VSRR as the resonant circuit. The proposed oscillator showed the output of 5.9dBm at 2.4HGz and showed the phase noise characteristics of –112.58dBc at 100KHz offset frequency and –117.85dBc at 1MHz offset.

      • KCI등재

        통신용 초고속 주파수 디바이더 회로에 대한 연구

        이주흔(Ju-Heun Lee),윤원상(Won-Sang Yoon),채상훈(Sang-Hoon Chai) 한국정보기술학회 2018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Vol.16 No.10

        This paper describes design and fabrication of variable frequency divider IC for RF PLL for ultra wideband communication system using 0.18 ㎛ silicon standard CMOS technology. A frequency divider unit element was designed using super dynamic circuit to obtain high speed low noise characteristics, and a MOSFET switch was used to obtain a variable integer division ratio. In order to solve the limitation problem of the frequency band of the dynamic circuit, changing size of the load resistance used in the frequency divider unit element circuit is applied. The designed circuit was fabricated as a semiconductor IC chip and then measured. As a result, the operating frequency range was in the range of 1 to 7 ㎓ and showed fast and wide frequency band operating characteristics.

      • KCI등재

        P-코어 VCO를 사용한 10.525GHz 자체발진 혼합기의 설계

        이주흔(Ju-Heun Lee),채상훈(Sang-Hoon Chai) 한국정보기술학회 2018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Vol.16 No.11

        This paper describes design of a 10.525 GHz self oscillating mixer semiconductor IC chip combining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and frequency mixer using silicon CMOS technology for Doppler radar applications. The p-core type VCO included in the self oscillating mixer minimizes the noise contained in the transmitted signal. This noise minimization increases the sensing distance and acts in a direction favorable to the reaching distance and the sensitivity of the motion detection sensor. Simulation results for phase noise show that a VCO designed as a P-core has a noise characteristic of -106.008 dBc / Hz at 1 MHz offset and -140.735 dBc / Hz at 25 MHz offset compared to a VCO designed with N-core and NP-core showed excellent noise characteristics. If a self-oscillating mixer is implemented using a p-core designed VCO in this study, a motion sensor with excellent range and reach sensitivity will be produced.

      • KCI등재

        Ka대역 200W급 SSPA 설계 및 제작

        이주흔(Ju-Heun Lee),김효철(Hyo-Chul Kim),조흥래(Heung-Rae Cho),이덕재(Deok-Jae Lee),안세환(Se-Hwan An),이만희(Man-Hee Lee),주지한(Ji-Han Joo),김홍락(Hong-Rak Kim) 한국정보기술학회 2022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Vol.20 No.2

        In this paper, a study was conducted to combining two 100W class SSPA produced by applying a 10W class MMIC T-junction combining and an 8-way binary combiner to manufacture 200W class SSPA. While research on amplifiers for high power and integration in Ka-band satellite communication systems continues, semiconductor-type combining amplifiers SSPA(Solid State Power Amplifier), which are relatively small and easy to maintain, have been studied to replace TWTA(Traveling Wava Tube Amplifier) with warm-up time and high maintenance. SSPA requires low-loss, high-efficiency combining techniques to meet high output because it has lower single device output than TWTA. The SSPA produced in this paper produces 100W class SSPA using an 8-way waveguide binary combiner with a reflection loss of 20㏈ or more and an insertion loss of 1㏈ or less, a 2-way waveguide binary combiner with a reflection loss of 19.9 ㏈ and insertion loss of 0.5 ㏈ or less was applied to fabricate it as a 200W class SSPA.

      • KCI등재

        고효율 및 높은 격리 특성을 갖는 Ka 대역 도파관 결합기 설계 및 제작

        김효철,조흥래,이주흔,이덕재,안세환,이만희,주지한,김홍락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22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Vol.22 No.2

        In this paper, a method to increase the combining efficiency and isolation of the combiner, the core module of SSPA (solid state amplifier), was studied. Specifically, the isolation was secured by matching the common port and the isolation port in the waveguide combiner. The matching structure for matching is in the form of a circular disk and is engraved inside the waveguide combiner. The structure is very simple, so it is possible to secure stable performance. And this structure showed more than 60 times higher critical power performance compared to previous studies, confirming that it is suitable for high output. And by combining 1-stage T-junction and 2, 3 stage MagicT combiner, miniaturization was achieved and the combining efficiency was optimized by reducing the insertion loss. The fabricated waveguide coupler obtained an isolation of 16dB or more and a coupling efficiency of 86.2%. 본 논문에서는 SSPA(Solid state amplifier) 의 핵심 모듈인 결합기의 효율 및 격리 특성을 높이는 방법에 대해연구하였다. 구체적으로 도파관 결합기에서 공용 포트와 격리 포트 정합을 이루어 격리도를 확보 하였다. 정합을 위한매칭 구조는 원형 디스크 형태로 도파관 결합기 내부에서 음각으로 가공하게 된다. 구조는 매우 단순하여 안정적인 성능확보가 가능하다. 그리고 이러한 구조는 이전 연구 대비 60배 이상의 높은 임계전력 성능을 보여 고출력에 적합함을확인하였다. 그리고 1단의 T-junction과 2, 3단의 MagicT 결합기를 조합하여 소형화를 이루고, 삽입손실을 줄여 결합효율을 최적화 하였다. 제작된 도파관 결합기는 16dB 이상의 격리도와 86.2% 의 결합 효율을 얻었다.

      • KCI등재

        TM<sub>01</sub> 모드 변환을 이용한 Ka 대역 고출력 고효율 공간 결합기 설계 및 제작

        김효철,조흥래,이주흔,이덕재,안세환,이만희,주지한,김홍락,Kim, Hyo-Chul,Cho, Heung-Rae,Lee, Ju-Heun,Lee, Deok-Jae,An, Se-Hwan,Lee, Man-Hee,Joo, Ji-Han,Kim, Hong-Rak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21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Vol.21 No.6

        본 논문에서는 비교적 구현이 쉽고, 최종 결합 포트의 전송 선로 길이를 짧게 구현할 수 있는 모드 변환기에 대해 제안하고, 8-way 공간 결합기에 적용하여 제작 및 시험을 하였다. 제안하는 모드 변환기는 그라운드와 연결되어 있는 Doorknob 형태의 원형 디스크에서 변환된 신호를 원형 도파관 내에서 개방을 시켜 TM<sub>01</sub> 모드로 변환이 이루어진다. 8-way 도파관 공간 결합기는 H-평면에서 입력된 8개의 신호를 중심의 원형 도파관에서 결합이 이루어지고, 최종 결합 모드는 TM<sub>01</sub>이 되도록 설계를 하였다. 시험 결과는 삽입손실 0.4dB 이하, 결합효율 95%이상의 우수한 성능을 확인하였다. 또한 전계 분석을 통해 새로운 모드 변환 구조의 절연 파괴 전압 및 방전 임계전력을 계산하여 고출력에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확인된 결과는 향후 고출력 고효율 SSPA에 다방면으로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In this study, it proposes a mode converter that is relatively easy to implement and can shorten the transmission line length of the final combining port and it was fabricated and tested by applying it to an 8-way spatial combiner. The proposed mode converter converts the signal converted from the doorknob-shaped circular disk connected to the ground into the TM<sub>01</sub> mode by opening it in the circular waveguide. The 8-way waveguide spatial combiner is designed and implemented so that 8 signals input from the H-plane are combined in a circular waveguide at the center, and the final combining mode is TM<sub>01</sub>. The test results confirmed excellent performance with an insertion loss of less than 0.4dB and a combining efficiency of 95% or more.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it is suitable for high output by calculating the breakdown voltage and discharge threshold power of the new mode conversion structure through electric field analysis. The results confirmed through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applicable to high-power, high-efficiency SSPA in various fields in the future.

      • KCI등재

        Ka 대역 고출력 고효율 도파관 공간 결합기 설계 및 제작

        김효철,조흥래,이주흔,이덕재,안세환,이만희,주지한,김홍락,Kim, Hyo-Chul,Cho, Heung-Rae,Lee, Ju-Heun,Lee, Deok-Jae,An, Se-Hwan,Lee, Man-Hee,Joo, Ji-Han,Kim, Hong-Rak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21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Vol.21 No.5

        본 논문에서는 고출력 저손실의 도파관 공간결합 구조를 제안하였다. 제안하는 공간결합구조는 각 포트의 중심에서 원형 도파관을 통해 결합하는 방식으로 구현 하였다. 특히 도파관의 모드 중 전송 선로 손실이 가장 적은 TE01모드를 이용하여 저 손실을 구현하고, 새로운 모드 변환 방식을 적용하여 소형화를 이루었다. 또한 전계 분석을 통해 새로운 모드 변환 구조의 절연 파괴 전압을 계산하여 고출력에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최종 8-way 도파관 공간 결합기를 설계, 제작하여 삽입 손실은 0.4dB 이하 결합효율 97% 이상의 결과를 얻어 평면 결합 방식 대비 전기적 성능이 매우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This report proposes a waveguide spatial combiner with high power low loss. The proposed spatial combiner implements high power by combining from the center of each port through a waveguide. In particular, we implement low loss using TE01 mode, which has the lowest transmission track loss among modes of circular waveguide, and miniaturization is achieved by applying a new mode conversion method. I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suitable for high output by calculating the insulation breakdown voltage of the new mode conversion structure through E-field analysis. The final 8-way waveguide spatial combiner was designed and manufactured, and the insertion loss was less than 0.4dB and the combining efficiency was 97% or more, confirming that the electrical performance was very good compared to the planar combining method.

      • KCI등재

        Ka 대역 고출력 저손실 도파관 결합기 설계 및 제작

        김효철,조흥래,이주흔,이덕재,안세환,이만희,주지한,권준범,정해창,김소수,Kim, Hyo-Chul,Cho, Heung-Rae,Lee, Ju-Heun,Lee, Deok-Jae,An, Se-Hwan,Lee, Man-Hee,Joo, Ji-Han,Kwon, Jun-Beom,Jeong, Hae-Chang,Kim, So-Su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21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Vol.21 No.3

        초고주파 대역에서 TWTA(Traveling Wave Tube Amplifier)를 대체하기 위한 증폭기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반도체형 소자를 결합하여 높은 출력을 얻는 SSPA(Solid State Power Amplifier)의 경우 상대적으로 낮은 단일 소자의 출력으로 요구 출력을 충족하기 위해서는 저손실, 고효율의 결합 기술이 필요하다. 본 논문을 통해 8-way 도파관 결합기를 설계, 제작하여 20dB 이상의 반사 손실과 85% 이상의 결합 효율을 확인하였다. 전계 분석을 통해 결합기 내부의 임계 전력을 계산하여 안정적인 Power Rating을 확보하였고 전력 모니터링을 위한 커플러를 내장하여 소형화 및 경량화를 이루었다. The research of amplifier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to replace the Traveling Wave Tube Amplifier (TWTA) in the mmWave. For Solid State Power Amplifiers (SSPA), which combine semiconductor-type devices to obtain high output, Low-loss, high-efficiency combination techniques are required to meet the required output as the output of a single relatively low device is relatively low. In this paper, we design and produce an 8-way waveguide combiner and a reflective loss of more than 20dB and a binding efficiency of 85% or more were identified. Field analysis calculates the critical power inside the combiner. It secured stable Power Ratings and built-in coupler for power monitoring to achieve miniaturization and light weigh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