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학습놀이카드를 통한 발달장애 아동의 효율적인 언어, 수량, 인지 지도
이주일 국립특수교육원 2004 자격연수 Vol.- No.2
현장에서 특수교사들이 발달장애 아동들을 지도할 때 가장 많이 부딪히는 어려움은 다음과 같은 이유들이다. 첫째, 발달장애 아동들에게 적합한 학습자료의 부족이다. 현재 시중에 일반아동들을 위한 학습자료는 넘쳐나고 아주 잘 만들어졌지만, 발달장애를 가진 아동들을 위한 자료는 매우 미미한 편이다. 그래서 많은 특수교사들은 주로 일반유아들을 대상으로 만들어진 교육자료를 구입하여 사용하는 실정이다. 물론 일반 유아들을 위한 자료도 발달단계를 고려해서 그들의 수준에 맞게 제작된 것만은 분명하다. 그렇지만 발달장애 아동들에게 그러한 자료들을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한 면이 많다. 발달장애 아동들은 일반아동들보다 세심한 지도가 필요하다. 즉 일반아동들과 지적수준이 비슷한 발달장애 아동일지라도 학습과제를 세분화시켜서 단계적·체계적으로 지도해야만 교육적 효과를 볼 수 있다.
행복, 동정심 및 자긍심에 대한 정서노동 유발상황과 정적 정서노동의 심리적 효과
이주일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008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Vol.21 No.4
본 연구는 정서노동을 정적 정서노동과 부적 정서노동으로 구분하고, 정적 정서노동, 특히 행복감, 동정심, 자긍심에 대한 정서노동의 유발상황, 이에 대한 대처방법 및 심리적 효과를 분석하였다. 간호사 207명, 일반 서비스 조직 구성원 163명 및 학생 188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세 집단 모두 조사한 세 정서 중 행복감에 대한 정서노동을 가장 많이 나타냈다. 정서노동을 유발하는 대상은 간호사는 환자, 일반 서비스조직원은 상사, 학생은 친구가 가장 많았다. 정서노동을 하게 만드는 상황은 주로 상대의 기분에 동조해야 할 때, 업무가 원활히 처리되도록 신경 써야 할 때, 안 좋은 모습을 감추고 싶을 때 등이었다. 또한 정서적 노동을 하게 될 경우 상황에 대한 재해석이나 능동적 대처방식을 주로 사용하여 대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행복감, 동정심, 자긍심에 대한 정서노동을 하게 되면 안면피드백 가설에서 주장하듯이 해당 정서를 더 체험하게 되고 더 표현하려고 노력하는 모습을 보이지만 이런 정서노동은 또한 개인의 정서적 탈진감을 키워주고 주관적 안녕감이나 주위로부터의 정서적 지지를 떨어뜨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