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파워기반 소음감소 기법을 이용한 준중형 해치백 후석 고주파성 로드노이즈 전달특성 연구
이종현,조세현,이주완,이철현,양정민,Lee, Jonghyun,Cho, Sehyun,Yi, Juwan,Lee, Chulhyun,Yang, Jungmin 한국음향학회 2018 한국음향학회지 Vol.37 No.4
It is known that the road noise on the rear seat of a hatchback type car is worse than that of a sedan type car because of the weakness on sealing structure. Therefore, a sound sealing system and sufficient absorption/insulation performance are required. In the case of a compact segment car, however, the application of the sufficient absorption and insulation materials is limited, because of the restriction on the production cost and weight of the car. In this study, we estimate the noise transmission path on the vehicle's body structure from tires and ground using the PBNR (Power Based Noise Reduction) method which is useful in quantitative measurement.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 an alternative absorption/insulation method for the better performance of rear seat road noise reduction in a compact hatchback car.
항암치료를 받는 소화기 암환자에서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 백신접종
이종현,김동욱,Jonghyun Lee,Dong Uk Kim 대한소화기암연구학회 2022 Journal of digestive cancer reports Vol.10 No.2
In 2019, coronavirus disease (COVID-19), which originated in Wuhan, has spread worldwide. In most people, COVID-19 symptoms are not severe. However, the mortality rate and severity were high in risk groups such as in older people and patients with underlying diseases. As patients with cancer are one of the risk groups, the vaccination for COVID-19 is emphasized in these patients. However, COVID-19 vaccines are not tested enough in special groups such as in patients with cancer because these vaccines are developed at an unprecedented speed. This causes confusion about whether patients undergoing chemotherapy should be vaccinated or not. In this study, international guidelines and studies were reviewed. Most of the studies recommended vaccination. No evidences of any negative effects for the efficacy or safety were recorded in patients undergoing cytotoxic, targeted, and immune agents. However, in critical conditions such as cytopenia, vaccination must be decided according to the patient's condition. COVID-19 vaccines were also recommended for patients on surgery or radiation therapy. If possible, vaccine is given before surgery to avoid confusion between surgical complications and side effects of the vaccine. The radiation recall phenomenon after vaccination has been reported in some cases of radiation therapy. Clinicians should consider these situations before vaccinating each patient. We hope that clearer guidelines will be established by accumulating verified data.
ea - RED++ : 예측 알고리즘을 적용한 ea - RED 알고리즘
이종현(Jonghyun Lee),임혜영(Youngchan Kim),황준(Hyeyoung Lim),김영찬(Jun Hwang) 한국정보과학회 2003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2Ⅲ
ea-RED(Efficient Adaptive RED)[1][2]는 다수의 TCP 커넥션이 경쟁하는 병목구간에서 인터넷 라우터 버퍼를 능동적으로 관리하는 다양한 AQM(Active Queue Management) 알고리즘 중의 하나로 RED 라우터 버퍼 관리 알고리즘의 성능을 개선한 라우터 버퍼 관리 알고리즘이다. RED 라우터가 TD 라우터와 같은 네트워크 퍼포먼스를 유지하면서 TCP 커넥션 간 페어니스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link bandwidth, active 커넥션 수, congestion level 등에 대한 네트워크 상태를 고려하여 파라미터에 적절한 값을 설정해야만 한다. 문제는 다이내믹하게 변하는 네트워크 상황에 적합한 파라미터 값을 초기에 설정해주는 것이 매우 어렵다는 점이다[3]. ea-RED는 max threshold와 min threshold 값을 네트워크 상황에 따라 동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이런 문제를 해결했고, 기존 RED에 비해 라우터 버퍼는 50% 정도만 사용하면서도, 페어니스 인덱스(Fairness Index)[4]가 최대 41.41% 개선되었다,[1][2] 그러나 송신 TCP 커넥션의 수가 늘어날수록 성능향상에 대한 효과가 감소되었고, 드롭 패킷수가 TD나 RED 라우터 버퍼관리 알고리즘에 비해 않았기 때문에 라우터의 출력(output) 총 패킷 용량이 최대 약 2.3% 정도 TD나 RED 라우터 버퍼관리 알고리즘에 비해 적었다. 이 부분을 개선하기 위해 기존 ea-RED 알고리즘에 LR_Lines 예측 알고리즘을 적용한 ea-RED++ 알고리즘을 구현하였고, 실험 결과 페어니스 인덱스는 기존 ea-RED에 비해 최대 약 30% 정도 향상되었고, 총 output 패킷 용량의 손실률은 최대 50%정도 감소하여 기존 ea-RED에 비해 향상된 성능을 보여주었다.
서피스 부호에서 논리적 큐비트 생성방식 및 CNOT 연산방식
이종현(Jonghyun Lee),허준(Jun Heo) 한국통신학회 2021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2
본 논문은 서피스 부호 중 Planar Code, Defect based code에서 논리적 큐비트를 부호화 하는 방식 및 각 방식에서 논리적 CNOT 수행기법에 대해 정리하고 해당 연산자 수행을 위해 필요한 오류정정 cycle을 비교한다.
교육 분야 데이터 분석 활성화를 위한 법제 정비 방안 연구
이종현(Jonghyun Lee) 한국정보기술학회 2022 한국정보기술학회지 Vol.20 No.1
2020년부터 시행되고 있는 「데이터기반 행정 활성화에 관한 법률」은 과거 다른 법과는 구분되게 데이터의 정의를 정형뿐만 아니라 비정형까지 확대하고 있다. 또한 데이터기반행정은 단순히 공공기관이 보유하거나 생산한 데이터를 넘어서 다른 공공기관이나 민간기관이 보유하거나 생산한 데이터를 포괄적으로 분석해야 하는 과학적 행정으로 정의하고 있다. 교육 분야의 데이터 관련 법령은 다수의 법에 산재되어 있어, 데이터를 수집 · 제공 · 분석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육 관계 법률뿐만 아니라 데이터 관련 법률을 포괄적으로 조사 · 분석하여 교육데이터 개방 및 활용 관점에서 개선이 필요한 영역을 도출하고, 관련 전문가를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진행하여, 향후 법률의 영역별 정비가 시급한 내용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크게 3가지 결론에 도달하였는데 첫째, 교육 분야 데이터 분석 관련 산재된 법률을 특별법 형태로 일원화하는 방안, 둘째, 교육데이터에 관한 수집부터 파기까지 전체 과정을 신뢰성 있게 관리할 수 있는 전용 플랫폼의 구축 · 운영, 셋째, 교육데이터 관련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거버넌스의 구성 · 운영 등이었다.
소셜미디어 관광 마케팅 활동이 지역이미지와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이종현 ( Jonghyun Lee ),이재섭 ( Jaesub Lee ) 관광경영학회 2020 관광경영연구 Vol.100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Social media marketing, local image and visit intention. The study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 Hypothesis 1, All factors of social media tourism marketing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local image. Hypothesis 2, Only usefulness and timeliness the sub-factors of social media tourism marketing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intention of the visit. Hypothesis 3, The local image also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visit intention. Hypothesis 4, All factors of social media tourism marketing had positive effects on the visit intention and this was mediated by the local im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tourism information and tourism products provided through social media tourism marketing can directly influence the local image and the visit intention, which can amplify a revitalization or recession of the local tourism.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operational and theoretical implications for the increased management demands of the social media tourism marketing, the local image, and visit intention in the modern era in which local tourism acts as a local brand.
이종현(Jonghyun Lee),임동신(DongShin Lim),이지은(Jieun Lee),정광훈(KwangHoon Jeong) 한국정보기술학회 2022 Proceedings of KIIT Conference Vol.2022 No.6
본 논문에서는 학교 수준의 정보인 정보공시 자료와 학교안전사고 관련 데이터를 머신러닝 알고리즘으로 분석하여 학교안전사고가 많이 일어나는 학교를 예측할 수 있는 모형을 개발하였다. 학교안전사고란 교육활동 중에 발생한 사고로서 학생·교직원 또는 교육활동참여자의 생명 또는 신체에 피해를 주는 모든 사고 등을 의미하며[1] 이를 예방하기 위한 노력이 다각도로 추진되고 있다. 하지만 학교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사전에 대처하기 위한 많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관련 통계 자료를 보면 학교안전사고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특히, 사고로 인한 보상 금액은 2019년 390억 원으로 2011년 230억 원에 비해 약 70%가량 증가하여 사회적 비용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 학교안전사고 및 보상통계에서 살펴보았듯이 사고 발생건수가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보상금액도 증가 추세에 있다는 점에서 보다 효과적인 분석 방법의 활용과 예측을 통한 정교한 정책 수립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LightGBM 알고리즘을 활용해 성능 평가 결과를 측정하였으며 예측요인탐색을 위해 설명가능한 인공지능(XAI: eXplainable Artificial Intelligence) 기술을 활용하였다. 개발된 초중등학교 예측모형은 0.919(최적 임계치 0.54)의 ROC-AUC을 달성하였고, 학교안전사고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은 요인 상위 20개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추후 학교안전사고 감소 관련 정책을 추진하는 데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paper, we develop a method that can predict schools where many school safety accidents occur by analyzing information with a machine learning. School safety accidents are accidents that occur during educational activities and mean any accidents that damage the life of body of students, faculty, or participants in educational boundaries. Many efforts to prevent them are being promoted from various angles. However, in spite of many efforts to prevent and respond to school safety accidents in advance, we can identify that the number of accidents is continuously increasing. In particular, the amount of compensation due to accidents was 39 billion in 2019, which is an increase of about 70% compared to 23 billion in 2011, aggravating the burden of social asse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upport the establishment of sophisticated policies through more effective analysis methods and prediction rules. In this paper, we evaluate using LightGBM algorithm, and XAI:eXplainable Artificial Intelligence(XAI) for predictive factors. Our model achieved 0.919 ROC-AUC(optimal threshold of 0.54)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and derived the top 20 factors that are related to accidents. This paper intends to draw implications for promoting policies related to reducing accidents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