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韓國初期靑磁의 形成과 傳播 -塼築窯와 土築窯를 중심으로-

        이종민 한국미술사학회 2003 美術史學硏究 Vol.- No.240

        곧 보내겠습니다(번역중..). B4 2장 분량입니다.문의전화 이종민 016-345-2583.. 월화수는 강의중이므로 문자메시지나밤에 연락바람. 사진과 도면은 빠른 등기로 보내겠습니다.원고는 한글 97로 작업함.

      • KCI등재
      • 高麗時代 寺址 出土 磁器의 器種과 性格 : 생산과 소비의 관점에서 Variety and the Characteristics

        이종민 용인대학교 박물관 2004 丹豪文化硏究 Vol.- No.8

        Since 1990s, the major achievement in Korean Archaelogical studies includes the excavations of temple sites, where a lot of ceramics has been dug up as their major specimens. The excavations from temple sites reflect the consumptive trend of the monks, the largest consumer group in the times when Buddhism was the dominant religion. Goryeo monks consisted of the social elites and cultural leaders in the hierachical society, so we can say their consumptive trend had a lot of influence on making of the celadon porcelain. It can be summarized briefly according to the data from excavations: porcelain excavations from temple sites can be categorised in celadon, white porcelain, and imported porcelain; historic temples seemed to have consumed common items from the early Goryeo to later times. Among these items, Korean celadons were found in the form of bowl and tea vessels even in the earliest stage. In the Middle Goryeo Dynasty, various everyday vessels appeared in place of bowl and tea vessels; and in later Goryeo celadon items were simplified, usually in the forms of food vessels. Celadons were circulated nationwide if they were in high quality, but if they were in low quality, they came from the kiln near the temples. Compared to this, white porcelain was found in the temples near the workshops, which signified the consumptive pattern different from the ones of the high quality celadon. The import porcelain such as Yaozhouyao-type(燿州窯系 celadon(靑磁), Dingyao-type(定窯系) white porcelain(白磁), Jingdezhenyao-type(景德鎭窯系) qingbaiporcelain(靑白磁, porcelain with bluish-white glaze), Jianyao-type(建窯系) tenmoku(天目, stoneware with black-glaze), Jizhouyao-type(吉州窯系) tenmoku(天目) were found as many as the high quality celadon in proportion and numbers, which was related to the conditions for domestic porcelain production. Especially the celadons with molded design and hard white porcelains in good quality, and black glazed tea bowls were the major imports, which could not be produced found in Goryeo dynasty (高麗) Porcelains from the temple sites consistently corresponded to the products from kilns in each age. This implies most of the kiln products were consumed in temples. As time passed by, the items changed in types, and this might be because the new forms of porcelain from China accelerated the change. Also it was partly due to the gradual change in social institutions. It is not certain how much the temples have contributed to the change, but it is for certain that since the active majority who accepted the new culture of ceramics gathered around the temples. thus playing an important role the change of the types in Goryeo celadon.

      • 국가 대향 레이저 연구시설 소개 - 페타와트 극초단 초강력 레이저 연구시설(PULSER) 구축 및 국내 펨토과학기술 연구 현황

        이종민,Lee, Jong-Min 한국광학기기산업협회 2013 光學世界 Vol.144 No.-

        펨토초는 1000조 분의 1초를 말한다. $10^{-15}$를 의미하는 단위명이 펨토(Femto)이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눈을 한 번 깜박이는 시간이 약 10분의 1초, 총알이 물체를 통과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약 100만 분의 5초인 점을 감안하면 펨토초는 상상하기도 힘들 정도로 빠른 시간인 셈이다. 이런 펨토초 동안 벌어지는 물리, 화학, 생물학적 현상을 연구하는 학문이 펨토과학이며 주로 펨토초 레이저를 이용해 관찰한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펨토초의 극히 짧은 시간에 1000조 와트(페타와트)의 고출력 레이저를 발생시킬 수 있는 광양자빔 연구시설 구축 사업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광주과학기술원(GIST) 고등광기술연구소가 '극초단 광양자빔 연구시설 설치 운영사업(사업책임자: 이종민 교수)'을 통해 국가 대형 레이저 연구시설인 '페타와트 극초단 초강력 레이저 연구시설(PULSER)'을 최근 구축 완료했다. 이번호에서는 21세기를 이끌 신성장동력 중 하나로 각광 받고 있는 펨토과학기술의 국내 연구 현황과 페타와트 극초단 초강력 레이저 연구시설(PULSER)에 대해 자세히 소개하고자 한다.

      • KCI등재

        급성기 뇌졸중에서 섬망이 기능 회복에 미치는 영향

        이종민,김보람,임정훈,고성은,이인식,김종문,김한영,이종민 대한재활의학회 2010 Annals of Rehabilitation Medicine Vol.34 No.4

        Objective: To investigate the risk factors for poststroke delirium and evaluate its influence on functional recovery after ischemic stroke. Method: Risk factors for delirium were investigated retrospectively in three hundred twenty nine acute ischemic stroke patients over 60 years of age. Among the 329 patients, sixty seven developed delirium. Data were analyzed between delirium group (n=22) and control group (n=22) according to age, sex, lesion location and clinical features. Korean modified Barthel index (K-MBI), Korean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stroke scale (K-NIHSS) and Korean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KMMSE) were measured at second and sixth weeks after onset and compared for both groups. Results: Parameters show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were age over 80, hyponatremia, sleep deprivation, cognitive impairment and cardiogenic embolism.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K-MBI, K-NIHSS and K-MMSE scores at second week between the two groups. The delirium group showed significantly less improvement in K-MBI and K-NIHSS scores compared to control group (9.5±10.2 vs 18.5±11.6, p=0.011; −0.7±1.2 vs −1.8±1.3, p=0.014). There was no significant improvement in K-MMSE score. Conclusion: The possible risk factors for delirium in acute ischemic stroke are age over 80, hyponatremia, sleep deprivation, cognitive impairment and cardiogenic embolism. Stroke patients with comorbid delirium showed poorer functional outcome. Delirium seems to have detrimental effect in functional recovery after stroke. (J Korean Acad Rehab Med 2010; 34: 403-408)

      • KCI등재

        디지털시대 학습자 이해를 근거한 디지털목회를 위한 목회리더십에 대한 고찰

        이종민 한국실천신학회 2020 신학과 실천 Vol.0 No.71

        본 연구는 종교 온라인과 온라인 종교가 새로운 목회형태도 등장하고 있는 포스트휴머니즘 시대에 새로운 목회리더십의 핵심역량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오늘날 목회의 대상 중에서 N세대를 중심으로 하여 그들이 보여주고 있는 디지털 학습자로서의 특성을 살펴보고, 동시에 종교다원주의 시대에 나타나고 있는 다양한 신앙형태를 중심으로 하여 그들이 보여주고 있는 신앙형태의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앞으로 성장하게 될 디지털 교회에서 필요로 하는 목회리더십이 무엇인지를 제안하고자 한다. 먼저 오늘날 디지털 환경 속에서 학습활동을 하는 학습자들의 특징을 크게 두 가지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하나는 디지털 원주민이라고 불리우는 N세대를 중심으로 하여 세대적 관점(generation-oriented perspective)에서 학습자의 특징을 이해하고자 한다. 또 다른 하나는 디지털 정보통신기술을 능숙하게 다루는 학습자들과 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기관을 중심으로 하여 디지털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관점(digital techno-deterministic perspective)에서 학습자의 특징을 이해하고자 한다. 다음으로 디지털 환경 속에서 나타나고 있는 신앙형태에 대한 특징을 네 가지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표층적인 차원에서 바나 리서치의 종교실태 보고서를 요약정리하고, 심층적인 차원에서 로베르토(Roberto)와 메르카단테(Mercadante)가 소개하고 있는 다양한 신앙형태의 유형들을 살펴보았다. 더 나아가 디지털목회 환경 속에서 신앙을 형성해 나가는데 요구되어지는 거시적 차원의 도전에 대해 헤세(Hess)의 분석을 점검하였고, 반면에 미시적 차원에서 종교인들에 있어서 정서적-관계적 변인에 대한 화이트(White)의 제안을 소개하였다. 네 가지 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두 가지 부류의 사람들이 디지털목회에서 전형적으로 나타나게 되는 신앙형태임을 정리하였다: ‘종교에 대해서는 매우 소극적이지만 영적인 무엇인가를 추구하는 신앙을 형성하고 있는 사람들’과 ‘종교집단에 참여는 하지만 물리적인 차원에서 헌신을 머뭇거리면서 자신의 신앙을 형성하고 있는 사람들’. 이상의 문헌조사를 바탕으로 하여 디지털목회를 위한 목회리더십의 세 가지 기본역량을 제시하였다. 첫째, 디지털목회 시대에 다양한 형태로 목회를 감당해야 하는 목회자들은 기본적으로 디지털 환경 속에서 성장하고 신앙을 추구하고 있는 새로운 세대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소통할 수 있는 인간 이해 역량을 구비해야 한다. 둘째, 새로운 세대의 필요와 욕구를 충족시키면서도 신앙인으로서 마땅히 행해야 할 바를 가르치기 위해서는 개인적이면서도 높은 친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목회 운영 역량을 구비해야 한다. 셋째, 이러한 인간 이해와 관계 형성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사역 환경 가운데서 디지털 정보통신기술을 원활하게 조작하고 사용할 수 있는 기술 운영 역량을 구비해야 한다.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core competencies of new pastoral leadership in the era of post-humanism in which religion online and online religion are emerging as a new form of ministry, by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digital learners who are the N generation among the targets of today's ministry. as well as looking at the characteristics of faith formation which is the various forms of faith in the era of religious pluralism. To this end, this study is to suggest what kind of pastoral leadership will be needed in the digital church that will grow in the future.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learners who are learning activities in today's digital environment were analyzed from two perspectives. One i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learners from a generation-oriented perspective, centering on Generation N, called digital natives. The other i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learners from a digital techno-deterministic perspective, focusing on learners who are proficient in digital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targeting them.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rm of faith appearing in the digital environment were analyzed from four perspectives. At the superficial level, Barna Research's report on the reality of religion was summarized, and at an in-depth level, the various types of faith introduced by Roberto and Mercadante were examined. Furthermore, Hess' analysis was reviewed on the macroscopic challenge required to form faith in the digital pastoral environment, while White's suggestion on the emotional-relational variable for religious people at the micro level was introduced. Based on four theories, the study emphasized that two types of people are typical forms of faith in digital ministry: ‘people who are very passive about religion, but who form a faith that pursues something spiritual’ and ‘people who participate in the religious group, but hesitate to dedicate themselves on a physical level and form their own faith’. Based on the above literature survey, three core competencies of pastoral leadership for digital ministry were presented. First, in the digital pastoral era, pastors who have to take on various forms of pastoral ministry need to have the ‘human comprehension capability’ to correctly understand and communicate with the new generation who are growing and pursuing faith in a digital environment. Second, in order to satisfy the needs and desires of a new generation and to teach what the new generation should do as a believer, it is necessary for pastors to have the ‘pastoral management competency’ that can improve personal relationship and high intimacy. Third, in order to effectively utilize this human understanding and relationship formation in the digital ministry environment, pastors have to be equipped with the ‘technical operation capability’ that can smoothly manipulate and use digital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 KCI등재

        麗末~鮮初 瓷器 燔造法 변화와 요인

        이종민 조선시대사학회 2017 朝鮮時代史學報 Vol.- No.80

        We can find very various changes of ceramic firing method from the late Goryo to the early Joseon dynasty. And we can also see the various qualities of ceramics. The aim of this paper is to pursuit the changes and discover the main factors of those in that period by the archeological materials in several kiln places. As a result of this study, we can see that using saggar was disappeared in the 1340s and reappeared in the 1400~1410s in the making of high quality ceramics. Besides, we can find that the prop of silica as a raw material in the making of saggar was not used after the 1340s and the prop of bounce was using from the 1370~80s to the Joseon dynasty. So we can summary those phenomenons as these. ①coexistence of saggar firing and stack firing to the period of the 1330s. ②coexistence of stack firing and one vessel firing after the 1340s. ③coexistence of saggar firing(reusing) and stack firing in the 1400~1410s. The change of ceramic firing method was most distinct in the 1340s, and that causes were the matter of transport and trouble of tributary payment, abandonment of quality control over ceramics etc. We consider, furthermore, that the factor of reusing of saggar firing method were the establishment of the institution of tax control(Gongbusangjeongdogam 貢賦詳定都監), fixing of tribute system, enlargement of tribute system to regions after the first year of King Taejo(太祖). And we conclude that the causes of those phenomenons were the passions of getting high quality ceramics by the foundation of new state and the stimulus of China ceramics. By this conclusion, we can find some significances in finding some methodical variations of the history of ceramic technology by archeological materials in the period of the late Goryo and Early Joseon dynasties. 고려 말~조선 초는 磁器 窯業史에서 번조법[굽는 방법]의 변화가 가장 다양하게 일어났던 시기이다. 이러한 번조법의 변화에 따라 결과물인 도자기의 품질도 요동을 쳤다. 본 연구에서는 이 시기에 운영된 窯場 출토의 고고학적 자료를 중심으로 번조법이 어떻게 변화했으며 그 변화를 가져온 요인이 무엇인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고급자기를 구울 때 사용하는 갑발은 1340년대에 사라졌다가 1400~1410년대에 재등장하였다는 사실을 알았다. 또 굽받침 재료인 규석받침은 1340년대를 기점으로 소멸하고, 태토빚음받침이 1370~80년대에 등장하면서 조선으로 이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요약하면 ‘1330년대까지 갑번․포개구이 공존→1340년대 이후 포개구이 및 한 기물 올려굽기→1400~1410년대 갑번(재개)․포개구이 공존’으로 정리할 수 있다. 여기에서 번조법 변화가 극명하게 일어났던 1340년대의 요인은 貢物의 수송과 납부문제, 품질관리의 포기 등에서 찾았다. 또 15세기 초의 갑번 재개 요인은 태조 원년부터 시행한 貢賦詳定都監의 설치와 공납제의 정비, 그 이후 공납제 시행의 지방 확대에서 찾았다. 그 이유는 새로운 국가가 출현하면서 양질자기 확보에 대한 열망과 고급 중국도자의 자극이 동인이 되었다고 판단하였다. 이 글은 려말~선초시기의 자기 번조법 변화를 고고학적 결과물로 추적하였으며 도자 기술사적인 변화상과 動因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시차공간영상을 이용한 스테레오 영상 정합에 관한 연구

        이종민,김대현,최종수 대한전자공학회 2004 電子工學會論文誌-SP (Signal processing) Vol.41 No.06

        This paper proposes a new and simple stereo matching algorithm using the disparity space image (DSI) technique. First of all, we detect some salient feature points on each scan-line of the image pair and set the matching area using those points and define a simple cost matrix. And we take advantage of matching by pixel-by-pixel instead of using the matching window. While the pixel-by-pixel method boost up the speed of matching, because of no using neighbor information, the correctness of the matching may not be better. To cover this point, we expand the matching path using character of disparity-space-image for using neighbor information. In addition, we devise the compensated matching module using the volume of the disparity space image in order to improve the accuracy of the match. Consequently, we can reduce mismatches at the disparity discontinuities and can obtain the more detailed and correct disparity map. 본 논문에서 우리는 시차공간영상 (disparity space image)을 이용한 새로운 스테레오 정합 방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실측 제어점 대신 영상 안에서 특징점을 추출하여 정합영역을 설정하였고, 간단한 비용행렬을 정의하였다. 그리고 정합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화소 단위의 정합을 이용하였다. 화소 단위의 정합은 정합 속도는 향상시키지만, 주변 영역을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정합의 정확성이 낮아진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시차공간영상의 특성을 이용하여 정합경로를 확대시켜서 주변 영역을 최대한 이용하였다. 또한, 현재 위치에서 이전과 이후의 시차공간영상을 체적화하여 전후의 시차공간영상을 이용함으로써 정합의 정확도를 더욱 향상시키는 정합 보정 모듈을 추가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알고리즘은 다양한 영상에 적용하여 실험하였고, 그 결과 제안된 방법의 우수한 성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