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동결융해 및 알칼리 노출조건에 따른 GFRP와 BFRP Rebar의 인장특성

        이종미 ( Lee Jong Mi ),이인희 ( Lee In Hee ),김선명 ( Kim Seon Myeong ),이현기 ( Lee Hyeon Gi ),오홍섭 ( Oh Hong Seob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17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tensile strength of GFRP and BFRP Rebar after exposure to environmental factors of deterioration (alkali, freezing -thawing) in order to present that as basic data for the application of FRP Rebar as concrete reinforcement. As a result, in the exposure of an alkali environment, the deterioration of fiber-resin was accelerated as the temperature increased,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n insignificant effect on freezing-thawing.

      • KCI등재
      • 화청의 비교연구

        이종미(Lee Jong-Mi) 한국전통음악학회 2009 한국전통음악학 Vol.- No.10

        화청은 불교음악으로서 순수 우리 것으로 된 종교의식 음악이라 할 수 있으며, 불교의 대중적인 포교활동을 위해 창조된 음악적 소산으로, 우리 민족음악 유산으로서의 중요성을 가진 음악이기도 하다. 화청의 배청은 중국 범패가 우리나라에 불교와 함께 의식음악으로 전해져 왔으나, 중국의 사성과 한문으로 된 음악형식은 우리민족의 정서에 맞지 않을 뿐더러 포교성을 가지고 대중에게 접근하기엔 매우 쉽지 않은 음악이었기에 우리화 된 음악이 필요했던 것으로 보인다. 화청은 이런 역사적 형태에서 전개된 한국의 실정에 맞는 불교음악으로서 순수 한국의식음악이라 할 수 있다. 현재 화청은 각 학자들 간에 여러 의견이 있어 화청에 대한 분류방식이나 음악적 특성에 대한 견해들이 일치하지 않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것을 바탕으로 선행연구 및 음반 자료와 현장 대담을 통하여 화청에 대한 보다 구체화 된 특성 및 결론들을 다음과 같이 얻게 되었다. 1. 화청은 우리말로 된 불교가사로 불교포교의 목적을 바탕으로 소산된 것으로, 종교적 의식음악으로의 역할과 기능을 가지며, 우리음악의 민속적인 특성을 포함하고 있다. 화청의 특징은 노랫말이 거의 4, 4조로 되어있고, 부르는 방법은 반드시 ‘걸청걸청 지심걸청 일회대중 일심걸청’으로 불러야한다는 것이다. 2. 박송암, 일초스님의 화청은 의식음악으로서의 역할과 기능이 있는 반면, 하룡남의 화청은 의식음악의 역할이 아닌 개개인의 홍을 돋구기 위한 역할과 민속음악으로서의 기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3. 화청은 긴 장가의 통절형식으로 된 음악형식으로 되어있고, 화청의 선율은 Do-Re-Mi-Sol-La의 5선율로 나타나나, 동부민요조나 서도민요조로만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세 곡의 분석에 의한 화청은 범패와 같은 어려운 선율이나 다양한 시김새의 표현이 거의 없고, 염불과 같은 평이한 선율과 단조로운 리듬을 지닌 곡으로 되어있다는 것이다. 4. 화청의 곡조는 같은 지역권에서 부르는 창자들의 음악적 차이는 크지 않으며, 주선율인 골격음과 표현법은 거의 비슷한 선율구조로 되어있음을 알 수 있다. 5. 화청의 장단은 10/8박자의 엇모리장단인 것으로 알려져 왔으나 본 연구의 화청은 〈? ? ? ? ?〉와 같은 가래조 장단(청보장단)인 8/8박자에 가까웠다. 6. 화청은 가사의 전달이 쉬우며, 이해도 빠르고 편안하며, 친근감 있게 민요처럼 구전성이 강해 포교의 역할을 충족시킬 뿐 아니라, 대중에게 감홍을 느끼게 하고 빨려 들어가게 하는 면도 있다. 현대의 음악은 전문가보다 비전문적인 대중에게 어필할 수 있는, 즉 대중성이 있는가 없는가에 그 영향력이 좌우된다고도 할 수 있다. 이는 앞으로 우리음악계에서 해야 할 역할이 무엇인가에 대한 심도 깊은 고민도 제시해주고 있다. Hwacheong is religion relationship music make of pure ours as Buddhist music, and it is musical product created for popular propagandism activity of Buddhism. It has importance as our ethnic music inheritance also. It is background of Hwacheong that music which is assimilated with korean needed, because China Beompae had been conveyed at consciousness music with Buddhism in Korea, but music style make up of Chinese four intonation and Chinese writing does not fit in emotion of our nation, and it is not very easy to approach to public with propagandism. Hwacheong is Buddhist music that is correct in Korea's real condition spread in such historic form, and it is pure Korea consciousness music. At present, Hwacheong has several opinions between each scholars, so classification room about Hwacheong or opinions about musical special quality does not coincide. In this research, I got special quality and conclusions that is taken spare more about Hwacheong through preceded research and record data and site conversation. Result is as following. 1. Hwacheong is appeared with purpose of Buddhism propagandism by Buddhism words make up in our language, is having role of religious consciousness music and function, and includes special quality that is our folk trait of music. The special quality of Hwacheong is that it's lyrics gets into 4, 4 rhythm almost, and it should be sung necessarily as 'Geolcheong Geolcheong Jisimgeolcheong Ilhoedaejung Ilsimgeolcheong'. 2. While Hwacheong of Baksongam and Ilcho buddhist monk is role as consciousness music and function, Hwacheong of Haryongnam is not role as consciousness music but role as folk to excite fun of each listener. 3. Hwacheong is music style made up of entire form of long text, and melody of Hwacheong is expose by Do-Re-Mi-Sol-La relationship 5 melodies, but it is not limited at Korea ballad meter of eastern provinces or western provinces. Analysis result of 3 musics. also, Hwacheong has little expressions of difficult melody or various Sigimsae(a kind of ornament) such as Beompae, and has easy melody and monotonous rhythm such as repetition of the sacred name of Amitabha. 4. It can be known that musical difference of tune of hwacheong has not been great in singer singing in same easement, and consists of frame sound which is main melody and melody structure are almost similar. 5. Rhythm of Hwacheong have known as that is Eotmori jangdan of 10/8 rhythm but Hwacheong of this research was near in 8/8 rhythm such as 〈? ? ? ? ?〉 which is called Garaejo jangdan(Musok jangdan) in Korea. 6. Hwacheong is easy to communicate text of it and can be understanded fast and is convenient. Because Hwacheong has strong oral tradition like folk song, satisfy role of propagandism. And Hwacheong gives fun and is attractive to public. I think that influence of modern music is influenced whether there is popularity or not. This is presenting deep agony if role is what to do on our musical circles forward.

      • 화청(和請)의 지역적 토리의 특성

        이종미(Lee, Jong-Mi) 한국음악문화학회 2011 한국음악문화연구 Vol.3 No.-

        본 연구는 화청의 토리, 즉 소리조에 관한 연구로 현재까지 알려진 경,서도 토리 외에 각 지역에 어떤 토리가 있는지 밝히려는 것이다. 각 지역 중 주로 재의식 현장에서 화청을 부르는 전문범패승들을 통해 불려지고 있는 곡을 중심으로 연구조사 하였다. 각 지역에 속한 화청의 음악특성에 관하여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중부지역의 화청은 창자 1인이 부르는 것이라도 때와 장소에 따라 다른 가사로 바뀌거나 즉흥적으로 지어 부르고 있다. 선율의 형태는 창자 1인이 부르는 화청일지라도 장소나 대상에 따라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선율을 구사한다. 영남지역은 다수의 창자가 동일한 곡명의 화청을 가사의 시작 부분도 서로 다르게 부를 뿐만이 아니라 비슷한 가사라도 부분부분 첨가되는 가사를 보아 즉흥적으로 지어 부르는 것을 알 수 있다. 선율형은 다수의 창자가 동일한 곡명의 화청을 부를지라도 일정하게 정해진 선율 안에서 부르지 않는다. 호남지역은 화청의 가사의 시작부분이 서로 다르거나 비슷하지만 각 부분에 다른 가사가 첨가되어 즉흥성을 많이 나타난다. 또한 선율형도 기타 지역과 같이 ‘비고정선율’로 부르고 있어 각 지역의 화청은 가사의 즉흥성과 동시에 비고정선율형으로 되어있음을 알 수 있다. 각 지역의 토리(소리조)의 특성은 다음과 같이 밝혀졌다. 중부지역에서 부르는 대부분의 화청은 경토리가 주로 중심을 이루지만 연구결과 수심가토리로 부르거나 드물게 메나리토리로 부르는 곡도 있다. 영남지역은 경토리외 주로 메나리토리가 중심을 이루고 있다. 호남지역도 현재는 경서토리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으나 육자배기토리가 지역정서의 중심을 이루고 있으며 창자에 따라 수심가토리를 혼합하여 부르기도 한다. 화청은 민요처럼 구전성이 강하고 대중이 함께 할 수 있는 친밀감 있는 음악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불교포교의 역할을 충족시킴과 동시에 누구나 쉽게 부를 수 있는 가사를 지닌 음악으로 그 역사적 보존가치 또한 높다고 하겠다. In this research, it is investigated that Tori of Hwacheong such as Sorijo. especially, it is focused on Tori in other region, not only Tori in Kyunggido and Seodo which had been known. It is also investigated that songs which are sung by Beompaeseungs. and they sing Hwacheong in rites. Summary of conclusion drawn by this research is as following; In Central region, lyric of Hwacheong is replaced by other lyric or songs as change in time and place altough it is sung by same singer. Melody type is various when same singer sing it, but its melody is not determined by opponent or place. In Yongnam region, lyric of beginning part is differ altough several people sing same Hwacheong, and ad-lib is added everywhere in it. so it could be concluded that Hwacheong in Yongnam is sung extempore. and its melody type is various although many singers sing same song. In Honam region, lyric of beginning part is differ or simillar, and improvising appeared as other lyric is added in it. also, melody type of Hwacheong is ‘non-fixed melody’, so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 common characteristic of each region is improvising of lyrics and non-fixation of melody. Characteristic of Tori(Sorijo) in each region is as following; Kyungtori is main in Hwacheong in central region. but there are some songs sung by Soosimgatori or by Maenaritori. Maenaritori and Kyungtori is main in Yongnam region. In Honam region, it is affected by Kyungseotori now, but Yukjabaegitori is main in regional emotion. and it is mixed with Soosimgatori occasionally when it is sung by some singer. Hwacheong can be told easily from mouth to mouth and it sounds familiar. so it is valuable to preserving it because of its easy accessibility and its role of propagandism.

      • 박송암제 화청에 관한 음악 연구

        이종미(Lee Jong-Mi) 한국전통음악학회 2007 한국전통음악학 Vol.- No.8

        Hwachoeng is the musical result of missionary activities of Buddhism as a trial to make Buddhism popular. It is a precious cultural asset to Korean Music. It is considered to be worthwhile to study as music in the form of a song with ethnic emotion from the prehistory times to the modern times. Here are the summary of the results of the disscussion up to now. First, Hwacheong means the invitation to Bulbosal. It became a song by putting ‘Yul’ on the pre-existing verse. All the buddhist songs except Beompae can be classified as Hwacheong. As anyone can create it because ‘Yul’ goes freely, we can classify it as popular music. Second, when we see its musical characteristics of Hwacheong, tune and musical scale is Major Key D, which is similar to Folk Song Tune and Musical Scale of the Eastern Part such as Menarijo that uses the three keys Mi-Ra-Do. Among them Ra is most frequently used. Third, rhythm is mostly 9/8 and sometimes we can see other rhythms such as 4/8, 12/8, and 15/8. For the pattern, it does not have special pattern unlike other musical notes. It has the pattern of A-A'-A''-A'''. Fourth, Hwacheong is classified as free style music. From the analysis of the collected notes, we could confirm that they do not have uniform or consistent rhythm or phrase. Although they have the same words in the first phrase, they have different verse from the second phrase. Hwachong can be considered as our unique and original music in our history. We need to try diverse and various approaches to it, perceiving it as inclusive and pure music in our musical history.

      • KCI등재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