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과 처리위탁간의 명확성에 대한 연구

        이제희 안암법학회 2023 안암 법학 Vol.- No.67

        「개인정보보호법」은 2020년 개정을 통해 가명정보의 개념이 도입되고, 2023년 개정을 통해 개인정보 수집·이용의 대원칙인 ‘사전동의 원칙’이 완화되는 등 큰 변화가 이루어졌다. 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과 처리위탁에 대한 규정은 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재위탁 규정이 신설되는 등 일부 개정이 그쳤다. 그러나 개인정보의 수집·이용과 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은 정보주체와의 관련성, 정보주체의 개인정보 활용에 대한 예측 가능성 등 본질적으로 다른 만큼 현행 규정의 전면적인 개정보다 체계 정합성 확보가 우선되어야 한다. 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과 개인정보의 처리위탁을 포괄하는 개념이 개인정보의 이전이다. 양자는 구별된다는 점에서 일본의 「개인정보보호법」과 같이 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의 예외사유로 개인정보의 처리위탁을 규정한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EU는 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과 개인정보의 처리위탁을 별개의 조문에서 규정하기보다 정보주체의 동의 여부를 기준으로 접근한다. 이와 같은 방식은 개인정보의 활용 단계별 규율의 정도를 달리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과 개인정보의 처리위탁에 관한 규정은 현행과 같이 별도로 규정하되 체계상 정합성을 확보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개인정보 제3자 제공을 규정하며 정보주체의 동의에 따른 제공을 원칙으로 하고, 비동의 제공을 예외로 규정해야 한다. 둘째, 가명정보도 개인정보인 만큼 가명정보의 제공도 정보주체의 동의가 요구된다고 규정해야 한다. 셋째, 개인정보의 수집·이용과 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의 동의 사항이 유사하다는 점에서 유사 조문의 통합을 검토해야 한다. 위 방식이 향후 법 개정에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지만 「개인정보보호법」이 성숙화 과정에 이른 만큼 국민의 법률 접근성 향상 측면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 넷째, 개인정보 업무위탁에 관한 규정은 ‘개인정보의 처리 제한’에 대한 절에서 민감정보의 처리 제한과 함께 규정된 만큼 ‘개인정보의 수집·이용·제공’에 대한 절로 이동되어야 한다. 향후 「개인정보보호법」 개정 논의에서 입법 체계에 대한 활발한 논의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was revised in 2020 to introduce the use of pseudonym information, and to ease the "principle of informed consent," a major principle for collecting and using personal information, through the revision in 2023. Some modifications were made regarding the provision of personal information to third parties and the entrustment of processing, particularly introducing regulations on the re-entrustment of personal data processing tasks. However, since the collection and use of personal information and the provision of personal information to third parties are essentially different, it should focus on ensuring system consistency rather than modifying the content of the current regulations. It is not desirable to stipulate the entrustment of personal data processing as an exception to the provision of personal information to a third party, as in Japan's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given that it distinguishes both. The EU distinguishes between the two based on whether the consent of the data subject is required, but this approach has the disadvantage that it is difficult to regulate differently for each stage of use of personal information. Regulations on provision personal information to third parties and the entrustment of personal data processing should remain separate as they are now, but alternative proposals are provided to ensure system consistency. First, when regulating the provision of personal information to third parties, it should be based on the principle of providing it with the consent of the data subject, with non-consensual provision being an exception. Second, it should be stipulated that the provision of pseudonymous data also requires the consent of the data subject, considering that pseudonymous data is one of the types of personal information. Third, since the collection and use of personal information and the consent of providing personal information to a third party are similar, the accessibility of the law should be increased through the integration of similar provisions. Finally, the regulations regarding entrusting personal data processing, currently found in the section on "Restrictions on Processing Personal Information," should be relocated to the section concerning the "Collection, Use, and Provision of Personal Information.

      • 방사선 치료계획 시 불균질 보정에 관한 고찰

        이제희,김보겸,박흥득,Lee, Je-Hee,Kim, Bo-Gyum,Park, Heung-Deuk 대한방사선치료학회 2006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Vol.18 No.2

        Purpose: To study effectiveness of heterogeneity correction of internal-body inhomogeneities and patient positioning immobilizers in dose calculation, using images obtained from CT-Simulator. Materials and Methods: A water phantom($250{\times}250{\times}250mm^3$) was fabricated and, to simulate various inhomogeneity, 1) bone 2) metal 3) contrast media 4) immobilization devices(Head holder/pillow/Vac-lok) were inserted in it. And then, CT scans were peformed. The CT-images were input to Radiation Treatment Planning System(RTPS) and the MUs, to give 100 cGy at 10 cm depth with isocentric standard setup(Field Size=$10{\times}10cm^2$, SAD=100 cm), were calculated for various energies(4, 6, 10 MV X-ray). The calculated MUs based on various CT-images of inhomogeneities were compared and analyzed. Results: Heterogeneity correction factors were compared for different materials. The correction factors were $2.7{\sim}5.3%$ for bone, $2.7{\sim}3.8%$ for metal materials, $0.9{\sim}2.3%$ for contrast media, $0.9{\sim}2.3%$ for Head-holder, $3.5{\sim}6.9%$ for Head holder+pillow, and $0.9{\sim}1.5%$ for Vac-lok. Conclusion: It is revealed that the heterogeneity correction factor calculated from internal-body inhomogeneities have various values and have no consistency. and with increasing number of beam ports, the differences can be reduced to under 1%, so, it can be disregarded. On the other hand, heterogeneity correction from immobilizers must be regarded enough to minimize inaccuracy of dose calculation.

      • KCI우수등재

        규제 관점에서 본 소상공인 보호정책― 생계형 적합업종제도를 중심으로 ―

        이제희 한국공법학회 2018 공법연구 Vol.47 No.2

        Giving policies generally go through weak verification. Specifically, if these policies do not require a budget, people accept them as good regulations without examination. Thus, it is necessary to examine whether “designating suitable industries for micro enterprises” is a good regulation that achieves its goal and minimizes side effects. Good regulations are minimized, consistent, improved, and transparent. First, minimized regulations involve a target group for regulation, along with prohibited action of the regulated people. Furthermore, simplifying the administrative process contributes to minimizing regulations. Second, consistency of regulation means coherence between the new and existing regulations. In order to improve regulations, they must be regularly evaluated by the regulator and congress. The expiration and re-examination dates of regulations authorized by the “Basic Administrative Regulations Act” is also aimed at forming better regulations. The transparency of a regulation implies transparency in its introduction and implementation. “Designating suitable industries for micro enterprises” reduces the scope of the regulated people more than “designating suitable industries for SMEs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However,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systems in order to prevent an increase in unnecessary regulatory burdens. The existence and re-examination dates should be defined by law so that “designating suitable industries for micro enterprises” can adjust regulatory environmental changes. The involvement of stakeholders is also important for the transparency of regulations during their introduction and implementation. However, regulations are not captured and determined by stakeholders. The application of “designating suitable industries for micro enterprises” is not decided by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but by small merchants. Since the difficulties for micro-enterprises can lead to difficulties for the national economy, their protection is necessary. It is also necessary to listen to the criticism of “designating suitable industries for micro enterprises,” to ensure that it plays the role of a good regulation.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를 보호하기 대표적인 정책이 생계형 적합업종제도이다. 일반적으로 호혜적인 정책에는 상대적으로 약한 검증이 이루어지며, 더욱이 별도의 예산이 소요되지 않는 경우, 특별한 검토 없이 좋은 제도로 여기기 쉽다. 생계형 적합업종제도가 소상공인 보호라는 본연의 목적을 달성하는 가운데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좋은 규제인지 검토가 필요한 시점이다. 좋은 규제는 규제의 최소화, 규제의 일관성, 규제의 항상성, 규제의 투명성을 갖추어야 한다. 규제 최소화는 규제대상 및 금지행위 축소는 물론 행정절차의 간소화도 포함한다. 규제의 일관성은 신규규제와 기존규제간 정책의 일관성을 의미하며, 규제의 예측 가능성을 담보한다. 규제의 항상성은 규제가 지속적으로 개선되어야 함을 의미하며, 규제의 투명성은 규제도입, 시행과정에서 이해관계자 참여 및 의사결정의 투명성을 의미한다. 생계형 적합업종제도는 중소기업 적합업종제도보다 보호 대상을 축소하여 정밀한 규제가 가능하며, 중소기업에 속하는 소상공인을 보호한다는 점에서 규제 최소화와 규제 일관성을 충족한다. 생계형 적합업종제도가 중소기업 적합업종제도의 연장선으로 운영되어 추가적인 규제 부담이 되지 않도록 두 제도의 관계가 정립되어야 한다. 「생계형 적합업종법」에서 생계형 적합업종의 지정기간을 5년으로 규정하였다. 규제가 사회환경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규제 항상성의 관점에서 생계형 적합업종 지정의 적정성에 대한 추가적인 검토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규제의 도입ㆍ시행에 있어 이해관계자의 참여도 중요하지만 이들에게 포획되어서도 안된다. 생계형 적합업종제도의 신청 대상을 중소기업 단체 중, 소상공인 회원 수가 전체 회원의 30% 이상인 단체로 규정하여 중소기업의 이익을 위해 생계형 적합업종의 신청이 이루어질 가능성이 있다. 생계형 적합업종제도가 소상공인을 위한 제도로 운영되도록 소상공인에 의해 적합업종 신청이 이루어져야 한다. 소상공인의 어려움은 국가 경제의 위기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소상공인 보호는 필요하다. 생계형 적합업종제도가 좋은 규제로 역할하도록 동 제도의 비판에 귀 기울이길 바란다.

      • KCI우수등재

        숙의민주주의 확대를 위한 공법적 과제

        이제희 법조협회 2019 法曹 Vol.68 No.6

        Deliberative democracy based on participant’s learning makes it possible for our society to have mature discussions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a participatory democracy. Though various forms of public discussing exit for achieving a deliberative democracy, public polling, one of the most frequently used methods, requires that participants have to represent the general public and those who participate in this discussion have to hold substantial and practical discussions. A fair selection of participants is required to guarantee an representation of a group without a bias of age and region. Substantial and practical discussions are required to fully achieve the original purposes of public discussing which are decision making by the general public and helping resolve social conflicts among the members. Deliberation is group activities trying to coming up with solutions through deliberation and discussions which is suitable for resolving the cases which cannot be addressed by voting. In contracting out administrative affairs, the entrusted agency performs similar roles to the administrative agency through delegating decision-making authority. Parliament grants executive power to the administration, which presupposes that the administrative agency directly deals with the affairs of its jurisdiction. Therefore, the contracting out of administrative affairs needs legal grounds. The decision through public opinion formation means performing administrative acts by the people. Unless a separate procedure is stipulated by laws, decisions based on public opinion formation can be possible without any legal basis. The administrative agency’s policy should have justification as well as efficiency so that through deliberation based on pro and cons. For the issue that requires deliberation but is not suitable for public opinion formation,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scope of the issue to suit the public discussion rather than unconditionally excluding Lastly, permanent body needs to be set up for efficient discussion of public discussions. By legally institutionalizing a permanent body the fairness and professionalism can be guaranteed. As more and more cases for public discussions are built up efficient acceptance of general public’s opinion is possible and it will lead to development of deliberative democracy. 숙의민주주의는 참여민주주의의 발전 과정으로 국민의 성숙한 논의를 목적으로 한다. 숙의민주주의 실현을 위한 다양한 형태의 공론화 논의가 존재한다. 공론화의 대표적 형태인 공론조사의 경우, 참여자가 대표성을 가져야 하며 참여자간 실질적인 논의가 이루어져야 한다. 공정한 참여자 선정을 통해 지역‧연령에 따른 의사 결정의 편향성이 완화되고, 사안에 대한 실질적 논의가 이루어져야 국민에 의한 의사결정과 사회갈등의 해소라는 공론화 본연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숙의는 깊이 있는 사고와 토론을 통해 사안의 해결을 도모하는 집합적 활동이라는 점에서 투표로 인해 결정하기 어려운 사안을 논의하기에 적합하다. 그러나 대의민주주의 또한 숙의의 요소를 포함하는 만큼 대의민주주의에서 숙의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오류를 범해서는 안된다. 행정사무의 위임에 있어 수임기관은 의사결정의 위임을 통해 본래 행정사무를 담당한 행정기관과 유사한 역할을 수행한다. 의회의 행정부에 대한 권한 부여는 행정기관이 직접 소관 사무를 처리할 것으로 전제한다는 점에서 국민의 권리‧의무와 관계된 행정사무의 민간위탁을 위해서는 법률의 근거가 요구된다. 그러나 공론화는 국민에 의한 행정행위의 수행이며, 행정기관이 공론화 논의 여부를 직접 결정한다는 점에서 법률에서 별도의 절차가 규정되지 않는 한 법적 근거가 요구되지 않는다. 행정기관은 정책의 정당성과 더불어 정책결정의 효율성도 고려해야 한다는 점에서 숙의를 통해 구체적인 결과의 도출이 가능한지, 찬/반 형태의 숙의로 인해 국민의 의사가 왜곡될 수 있는지 검토되어야 한다. 공론화에 적합하지 않은 사안이라도 국민의 직접 참여를 통한 정책의 정당성과 정책결정의 효율성 등을 고려해 공론화가 필요하다면 공론화에 적합하도록 논의 범위를 변경할 필요가 있다. 공론화의 효율적인 논의를 위한 상시기구의 설립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공론화 전담기구의 법적 제도화는 공론화의 공정성과 전문성을 담보할 수 있으며, 공론화 논의 사례가 축적될수록 효과적인 국민의견 수렴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숙의민주주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

      • KCI등재

        혁신조달제도에 관한 논의 - 조달형식의 다양화를 중심으로

        이제희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2023 法學論叢 Vol.30 No.1

        Public procurement is the purchase of necessary goods, services, and construction by public institutions. Since public procurement uses taxes as a resource, efficiency should be prioritized in public procurement. However, considering that the purpose of public procurement is to promote the public interest, public entities can intervene in the market beyond the status of buyers.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t is important to preoccupy the early market. It is difficult to induce corporate innovation only with traditional policies, such as preferential treatment of SMEs in the public sector. Creating new demand in the market, such as the purchase of prototypes by the public sector, can lead to corporate innovation, which is the starting point for innovation procurement. Innovation procurement can induce private innovation, and the problems faced by the public sector can be solved using private innovative ideas. The current innovation procurement system of Korea focuses on ‘Pre-Commercial Procurement’(PCP)'. It is necessary to support from the R&D stage of the product and create a new market by linking it with public procurement. Therefore, the 'Public Procurement of Innovation’(PCI) should be introduced in innovation procurement.

      • 만성 소화성 궤양에 합병된 위출구 폐색의 수술적 치료

        이제희,양시준,전영웅,박세혁,김종흥,박종민 대한위암학회 2008 Journal of gastric cancer Vol.8 No.3

        목적: 소화성 궤양의 급만성 합병증으로 대표되는 천공, 출혈, 협착의 수술적 치료에서 Helicobacter pylori (H. pylori) 제 균요법과 proton pump inhibitor의 도입, 중재적 내시경 치료 와 같은 비수술적 치료의 발달로 천공, 출혈 등의 급성기 합병증의 수술은 점차 감소되고 있다. 그러나 내과적 소화 성 궤양의 협착, 폐색에 대한 비수술적 치료의 결과는 만 족스럽지 못한 상태로 수술의 역할이 중요하다. 이에 저자 들은 만성 소화성 궤양으로 위출구 폐색을 동반한 환자들 의 수술적 치료 후 임상결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4년 1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국립의료 원 외과에서 소화성 궤양 폐색으로 수술한 31명의 환자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고, 이전의 궤양 수술로 인한 유착성 폐색 및 천공이나 출혈로 인한 응급수술시 발견된 폐색 동반의 예는 제외하였다. 각 임상병리학적 결과를 수술방 법에 따라 우회수술군과 절제수술군으로 분류하였고, 수술 결과의 평가는 Visick score를 이용하였다. 수술 후 재발의 기준은 소화성 궤양의 임상증상이 나타나 내시경으로 확 진된 경우만을 포함하였다. 결과: 우회수술군이 6명(19.4%), 절제수술군이 25명(80.6%)이 었다. 평균 연령은 57.5세(25∼81세)이었고, 남자 29명(93.5%), 여자 2명(6.5%)이었다. 평균 증상 지속기간 29.6개월이었고, 흡연자가 19명(61.3%), NSAID 복용자가 6명(19.4%), H. pylori 양성환자가 7명(22.6%) 있었다. 수술 전 내시경적 확장술은 2명에서 시도되었으며, 주병변의 위치는 위, 십이지장이 각각 9명, 20명, 양쪽이 2명이었다. 수술 후 합병증은 13명 (41.9%)에서, 궤양의 재발은 2명(6.5%)에서 있었고, 재수술이 4명(12.9%)에서 필요하였다. 평균 Visick score는 1.8 (1∼4)이 었다. 우회수술군과 절제수술군의 비교에서 두 군의 임상 병리학적 차이는 없었으며, 두 군에서 각각 1명이 재발되 었고 합병증은 각각 5명(83.3%), 8명(32%)으로 우회수술군에 서 많았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P=0.175). 평균 Visick score는 각각 3.0점, 1.6점으로 절제수술군에서 좋은 결과를 보였다(P=0.001). 결론: 만성 소화성 궤양으로 배출구 폐색을 동반한 환자 의 치료에 있어서 내시경적 확장술 등의 비수술적 치료가 비교적 좋은 결과를 보고하고 있지만 여전히 수술은 중요 한 치료 방법이다. 궤양 폐색의 수술적 치료시 악성 궤양 과의 감별이 용이하지 않고 수술 후 환자의 만족도를 고 려한다면 우회수술보다는 절제수술이 바람직한 술식으로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