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중 도약을 이용한 효율적인 공간 도약법

        이정진,신병석,신영길 한국정보과학회 2003 정보과학회논문지 : 시스템 및 이론 Vol.30 No.4

        Space leaping is one of accelerated image-order volume rendering. This method accelerates rendering speed by finding and leaping the empty space. Although its rendering speed is very fast, it takes long pre-processing time to make the data structure to leap the space.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look-ahead sampling algorithm to double the leaping distance comparing with previous approaches. This algorithm reduces the preprocessing time to make the distance map without significant changes of rendering time. Also, it accelerates the rendering time. 공간 도약법(space leaping)은 가속화된 영상순서 볼륨 렌더링(image-order volume rende ring) 방법의 하나로서 광선 추적 시 빈 공간을 식별하여 도약하도록 함으로써 렌더링 속도를 향상시킨다. 이 방법은 렌더링 속도는 빠르지만 공간 도약을 위한 자료구조를 만들기 위한 전처리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공간 도약법에서 도약 거리를 기존의 방법보다 두 배로 하는 미리 보기 샘플링 방법을 제안한다. 이 방법은 렌더링 속도의 큰 변화없이 전처리 과정인 거리 맵 생성의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기존의 방법보다 렌더링 속도를 빠르게 하는 효과도 있다.

      • KCI등재

        근사적 우도함수를 이용한 Neyman-Scott 구형펄스모형의 공간구조 분석

        이정진,김용구,Lee, Jeongjin,Kim, Yongku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16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ol.27 No.5

        Neyman-Scott 구형펄스모형 (Neyman-Scott rectangular pulses model; NSRPM)은 강우의 발생, 강우세포의 강우강도 그리고 지속시간으로 표현되는 점과정에 기초한 강우생성 모형으로, 기존의 구형펄스모형 (rectangular pulse model)과 비교해서 강우사상의 군집특성을 잘 반영하기 때문에 여러 연구에서 많이 사용되는 모형이다. 하지만 NSRPM의 매개변수를 추정하는데 있어서 모멘트를 이용한 여러가지 최적화 기법들은 그 계산이 복잡하고 또한 목적함수의 구성에 따라 추정값의 변동도 크게 나타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최근 누적강수량에 대한 근사적인 우도함수 (approximated likelihood function)와 이를 통해 NSRPM의 매개변수를 추정하는 방법이 소개되었다. 본 논문에선 이 근사적 우도함수를 바탕으로 계층적 베이지안 모형을 이용하여 NSRPM에 공간구조를 표현하고 이를 통해 강우생성 모형의 공간적 특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The Neyman-Scott Rectangular Pulses Model (NSRPM) is mainly used to construct hourly rainfall series. This model uses a modest number of parameters to represent the rainfall processes and underlying physical phenomena, such as the arrival of storms or rain cells. In NSRPM, the method of moments has often been used because it is difficult to know the distribution of rainfall intensity. Recently, approximated likelihood function for NSRPM has been introduced. In this paper, we propose a hierarchical model for applying a spatial structure to the NSRPM parameters using the approximated likelihood function. The proposed method is applied to summer hourly precipitation data observed at 59 weather stations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from 1973 to 2011.

      • KCI등재

        티타늄 지대주와 비귀금속 합금사이의 갈바닉 부식에 의한 표면 거칠기 변화 평가

        이정진,송광엽,안승근,박주미,Lee, Jung-Jin,Song, Kwang-Yeob,Ahn, Seung-Keun,Park, Ju-Mi 대한치과보철학회 2011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49 No.1

        연구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티타늄 지대주와 비귀금속 보철물이 접촉한 경우를 가정하여 이종 금속간 접촉에 의한 갈바닉 부식으로 인해 발생하는 표면 거칠기 변화를 비교, 평가하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성분과 조성이 다른 3종의 Ni-Cr합금 (T3, Bella bond plus, Tilite)과 cp 티타늄 Grade 2를 이용하여 $13{\times}13{\times}1.5\;mm$의 크기로 시편을 각 군당 6개씩 제작하였다. 연마과정 후 절연 테이프로 직경 6 mm만을 노출시켜 potentiostat (Parastat 2273A)를 이용하여 동전위 분극 시험과 갈바닉 부식 시험을 시행하였으며, 표면 거칠기 측정기(Surftester SV-3000)를 이용하여 부식 전 후 거칠기를 평가하였다. 측정값을 paired t-test와 One-way ANOVA로 분석하였다. 결과: 티타늄과 접촉한 모든 Ni-Cr 시편의 표면 거칠기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증가량은 베릴륨을 포함한 T3합금 ($0.016{\pm}.007\;{\mu}m$)이 가장 컸으며, 베릴륨을 포함하지 않은 Bella bond plus ($0.012{\pm}.003\;{\mu}m$), 티타늄을 첨가한 Tilite ($0.012{\pm}.002\;{\mu}m$)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금속 종류에 따른 거칠기 증가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티타늄과 접촉한 비귀금속 합금은 갈바닉 부식에 의해 표면 거칠기가 증가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level of electro-chemical corrosion and surface roughness change for the cases of Ti abutment connected to restoration made of base metal alloys. Materials and methods: It was hypothesized that Ni-Cr alloys in different compositions possess different corrosion resistances, and thus the specimens ($13{\times}13{\times}1.5\;mm$) in this study were fabricated with 3 different types of metal alloys, commonly used for metal ceramic restorations. The electrochemical characteristics were evaluated with potentiostat (Parstat 2273A) and the level of surface roughness change was observed with surface roughness tester. Paired t-test was used to compare mean average surface roughness (Ra) changes of each specimen group. Results: All specimens made of nickel-chromium based alloys, average surface roughness was increased significantly (P < .05). Among them, the Ni-Cr-Be alloy ($0.016{\pm}.007\;{\mu}m$) had the largest change of roughness followed by Ni-Cr ($0.012{\pm}.003\;{\mu}m$) and Ni-Cr-Ti ($0.012{\pm}.002\;{\mu}m$) alloy.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s in surface roughness between each metal alloys after corrosion. Conclusion: In the case of galvanic couples of Ti in contact with all specimens made of nickel-chromium based alloys, average surface roughness was increased.

      • KCI등재

        가상 대장내시경을 위한 가시성을 이용한 자동 경로 생성법

        이정진,신영길,강문구,조명수 한국정보과학회 2005 정보과학회논문지 : 시스템 및 이론 Vol.32 No.10

        colonoscopy is an easy and fast method to reconstruct the shape of colon and diagnose tumors inside the colon based on computed tomography images. This is a non-invasive method, which resolves weak points of previous invasive methods. The path for virtual colonoscopy should be generated rapidly and accurately for clinical examination. However, previous methods are computationally expensive because the data structure such as distance map should be constructed in the preprocessing and positions of all the points of the path needs to be calculated.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automatic path generation method based on visibility to decrease path generation time. The proposed method does not require preprocessing and generates small number of control points representing the path instead of all points to generate the path rapidly. Also, our method generates the path based on visibility so that a virtual camera moves smoothly and a comfortable and accurate path is calculated for virtual navigation. Also, our method can be used for general virtual navigation of various kinds of pipes. 대장내시경(virtual colonoscopy)은 컴퓨터단층촬영(computed tomography) 영상으로부터 대장의 형상을 입체적으로 재구성하여 대장 내부의 종양을 빠르고, 쉽게 진단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기존의 침습적인 대장 진단법의 단점을 보완한 방법이다. 효과적인 임상 진단을 위해서는 가상 대장내시경을 위한 탐색 경로를 빠르고 정확하게 생성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하여 몇 가지 방식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방법들은 거리맵 등의 자료구조를 전처리 단계에 미리 생성하여야 하고, 경로를 구성하는 모든 점들에 대하여 방대한 양의 위치 계산이 필요하므로 긴 연산 시간이 소요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연산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는 가시성을 이용한 자동 경로 생성법을 제안하였다. 본 제안 방법에는 거리맵 계산 등의 전처리 과정이 필요 없으며, 탐색 경로를 표현하는 곡선의 모든 점이 아닌 곡선을 대표하는 소수의 제어점(control point)을 생성하는 방법으로 계산량을 줄여 경로 생성 시간을 단축하였다. 또한, 가시성에 기반을 두어 경로를 생성하기 때문에 자연스러운 가상 카메라의 움직임이 가능하고, 가상 탐사에 편리하고, 정확한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방법은 가상 대장내시경 이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곡관 내부의 가상 탐사에 응용될 수 있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