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정예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2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30
A Study on the Types of North Korean Poems Lee, Jeong-Ye Among the three elements of poem, matter, form and expression, North Korean poems are putting its primary focus on the first. For this reason, even the theories and researches of poems, which were published in North Korea, rarely provides substantial or organized theoretical information about the types and classification of the country's poems. South Korea already has lots of research achievements in regard to North Korean poems. However, there has been little or no researches about the types and classification of those poems. In this sen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types of North Korean poems and examine their characteristics. For the purpose, this researcher reviewed poems found in the above theoretical and research publications, especially those in 『Chosun Literature』released in the 1990s. North Korean poems are largely divided into epic and lyric poems. From a broader view, those epic poems include epic, lyric and epic and narrative poems. The lyric poems of the nation are classified into gasa, which is an old form of Korean verse, long, prose, sicho, dansicho, love, byeoksi, short and recitative poems according to form, farewell, dedicative, satirical, argumentative, , political, scenic, descriptive, local, pastoral, fable, fairy tale, didactic, meditative, gnomic, congratulatory, chudaesi, dangsangsi, cheolisi, affectionate, love, and affectionate and ethical poems according to subject or matter and, in accordance with both subject and form, landscape sicho, scenic and love, travel and love, dansang sicho and long lyric poems. The reason why North Korean poems have many different names as above is partly because Kim Jeong Il pointed out that a diversity of poems should be created and developed, but mainly because in North Korea, diversifying the names of poems were attempted to make the poems not any longer stereotyped in terms of subject, matter and form etc., this researcher thinks.
정예지(Jeong, Ye-jee),홍계훈(Hong Gye-Hoon) 한국인사관리학회 2016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40 No.4
본 연구에서는 조직 공정성이 구성원들의 지각된 조직 아노미 및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 에서 팀 정치지각의 매개 역할을 알아보고자 한다. 조직 공정성이 조직 수준 정치지각을 통해 조직 아노미나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은 어찌 보면 당연한 일일 것이다. 그러나 팀 제도가 만연한 현 시점에서 조직 공정성에 대한 지각은 구성원들에게 조직보다 상대적으로 현저성(saliency) 과 가시성(visibility)이 높은 팀에 대한 정치지각으로 이어질 개연성 역시 높다고 판단된다. 즉, 분배 공정성과 절차 공정성, 대인간 공정성이 조직 수준에서 확보되었다는 인식은 하강효과(cascading effect)를 통해 조직 정치지각은 물론 팀 수준 정치지각을 완화시키는 요인으로 작동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팀 정치지각은 상승효과(upward spiral effect)를 통해 팀에 대한 태도는 물론 조직에 대한 태도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하였다. 즉, 팀 내 비합리적 정치를 높게 지각하는 구성원 들은 소외감과 일탈로서의 조직 아노미를 높게 인식하는 반면, 조직에 대한 정서적 몰입의 정도는 낮아져서 궁극적으로는 조직 효과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과정을 통해 조직 공정성이 구성원들의 조직 아노미 인식 및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팀 정치지각이 매개변수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팀내 정치지각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지각된 조직 아노미를 높이는 반면, 조직몰입의 정도를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팀 내 정치지각은 분배 및 대인간 공정성과 지각된 조직 아노미와 조직몰입의 관계를 매개하고 있으며, 특히 분배 공정성과 지각된 조직 아노미, 분배공정과 조직몰 입, 대인간 공정성과 지각된 조직 아노미의 관계에서는 완전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절차 공정성의 경우 예상과는 달리 팀 정치지각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 으며 따라서 팀 정치지각의 매개효과가 검증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 결과에 대한 실무적, 이론적 함의점들에 대해 심도 있게 논의한다. In this study, we aim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perceived organizational anomi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especially, examine the mediating role of perceived team politics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and two outcomes. We expect that distributive, procedural, and interpersonal justice will reduce perceived team politics. When an organization distributes fair outcomes according to fair procedures and the authority figure who enacted the procedures treats employees with dignity and respect, employees will think their team could not be managed by organizational politics. Additionally, we expect that while perceived team politics will positively affect perceived organizational anomie, it will negatively affect organizational commitment. To investigate these hypotheses, we collected data from 671 employees from 3 firms. The sample consisted of 336 males and 313 females. We us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showed that distributive and interpersonal justice negatively affected perceived team politics. However, procedural justice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perceived team politics. Perceived team politics aggravated the level of pereived organizational anomie, and reduced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we expected. Perceived team politics played the role of full mediator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distributive justice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anomie and commitment and between interpersonal justice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anomie. Additionally, the effect of interpersonal justi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partially mediated by perceived team politics. We discussed implications of findings in details.
소의 초기 배 발생단계별 Telomeric DNA 함량 및 Telomerase Activity 분석
정예화,이수희,조상래,공일근,조재동,손시환,Jung, Yei-Hwa,Lee, Soo-Hee,Cho, Sang-Rae,Kong, Il-Keun,Cho, Jae-Dong,Sohn, Sea-Hwan 대한생식의학회 2009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Vol.36 No.2
목 적: 소 수정란의 telomeric DNA 함량 및 텔로머레이스 활성도 (telomerase activity)를 분석하여 초기 배아형성과정에서 텔로미어의 변화 양상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소의 초기 배 발생단계별 체외수정란을 대상으로 양적형광보인법 (Q-FISH)을 이용한 telomeric DNA의 함량 분석과 Telomeric Repeat Amplification Protocol (TRAP)로서 텔로머레이스 활성도를 분석하였다. 결 과: 소의 초기 수정란의 telomeric DNA 함유율은 발생과정이 진행됨에 따라 유의적인 양적 증가를 나타내었다. 배반포배의 질 (quality)에 따른 텔로미어의 함량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소 수정란의 8 세포기, 상실배기 및 배반포기의 모든 초기 배 단계에서 텔로머레이스 활성도를 보였으며, 상실배에서 증가하여 배반포배에서 가장 강한 활성도를 나타내었다. 결 론: 소의 초기 배아형성과정이 진행되면서 텔로미어의 함량 및 텔로머레이스 활성도는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이들 간에는 정 (positive)의 상관관계를 가진다. Telomeric DNA 함량의 증가를 유지하기 위하여 텔로머레이스의 활성화는 필수적인 것으로 보여진다. 배반포기 배아에서 높은 텔로미어 함량과 강한 텔로머레이스 활성도는 이 시기가 배발생 및 분화과정 중 가장 세포적 활성도가 높은 시점임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amount of telomeric DNA and telomerase activity in early bovine embryos. Methods: The amount of telomeric DNA in early bovine embryos at the 8 cell, morula and blastocyst stages was analyzed by Quantitative 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Q-FISH) technique using a bovine telomeric DNA probe. Telomerase activity was analyzed by Telomeric Repeat Amplification Protocol (TRAP assay). Results: The relative amount of telomeric DNA in early bovine embryos was gradually increased from 8 cell to blastocyst stage. It was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grade of embryo quality. While telomerase activity was detected in the early bovine embryos at these stages, it significantly increased at morula stage and showed maximum activity at the blastocyst stage. Conclusion: The amount of telomeric DNA and the telomerase activity of bovine embryos increase during the progression of early embryogenesis, suggesting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elomeric DNA and telomerase activity. The telomerase activity seems to increase to maintain the levels of telomeric DNA through embryo development which are required for extensive cell division.
CM247LC 초내열합금 용접 열영향부 액화균열 제어를 위한 야금학 및 공정적 검토
정예선,김경민,이형수,서성문,천은준 대한용접·접합학회 2021 대한용접학회 특별강연 및 학술발표대회 개요집 Vol.2021 No.5
가스터빈 블레이드의 일방향 응고 소재로 검토되고 있는 CM247LC 합금은 MAR-M247 합금을 토대로 C함량을 저감시켜, 주조성 및 고온 기계적 성질을 향상시킨 Ni계 초내열합금이다. 블레이드 제조 시에는 용접공정이 수반되고, 특히 CM247LC와 같은 석출경화형 초내열합금 용접 시에는 다양한 종류의 고온균열(응고, 액화, 연성저하 균열 등)이 복합적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건전한 용접부 제조를 위해서는 해당 고온균열의 면밀한 제어가 필수적이다. 액화균열은 열영향부의 부분용융영역(partial melted zone)에서 발생하고, 모재 2차상 (secondary phase) 부분 액상화 및 불순물 원소의 입계편석 현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CM247LC 초내열합금의 다층 용접 및 적층 제조부에서도 액화균열 현상은 상당히 문제시되고 있으나, 야금학적 관점에서 액화균열 민감도 평가 및 제어에 대한 기초연구는 상당히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CM247LC 초내열합금 블레이드의 용접 건전성을 액화균열 관점에서 면밀히 검토하고, 야금학적 제어 인자를 도출하고자 한다. Varestraint 시험 및 고속열화상 온도 가시화를 통해, CM247LC 합금 용접부의 액화균열 발생 온도범위 (liquation cracking temperature range, LCTR)를 평가하였고, 다양한 열처리 조건을 적용함으로써 LCTR을 최소화할 수 있는 CM247LC 합금 미세조직을 탐색하였다. 해당 결과를 토대로 CM247LC 합금 용접부 액화균열 제어에 대한 야금학적 인자를 도출하였고, 액화 무균열 용접을 위한 공정적 가이드라인도 함께 검토하였다. Spot-Varestraint 시험 결과, CM247LC 주조재의 LCTR은 620 K, 용체화 열처리재 560 K 및 시효 열처리재 66 K 로 각각 평가되었다. CM247LC 합금 용접 열영향부의 액화균열 민감도는 용체화 및 시효 열처리 적용으로 저감 가능하며, 특히 시효 열처리는 주조재의 액화균열 민감도를 약 90% 이상 저감 시키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시효 열처리에 따른 LCTR 축소는 조성적 액화를 일으키는 MC형 탄화물 감소, 저융점 공정 γ/γ’ 조직의 고용 및 γ’ 석출상 형성으로 인한 미세조직 균질화로 인해, 용접 승온 시의 액상화 시작온도가 증가하기 때문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액화균열 민감도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액화 무균열 용접을 위해서는 시효 열처리 적용과 입열량 최소화 (540 J/mm 미만)가 병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더불어 입열량 30 J/mm 이하의 레이저 용접 적용 시에는 시효 열처리를 적용하지 않더라도 무균열 용접부 제조가 가능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草梁倭館의 조영과정에서 나타난 일본 건축 기술자들에 관한 연구 - 1727년 東館三大廳중수공사를 중심으로 -
정예정,서치상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06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 No.1
This study focuses on Japanese Architectural Technicians who had joined repair Of Dongwan-Samdaechung in 1727. Dongwan-Samdaechung was located in Choryang-Weagwan which was the largest Japanese House left in Busan through Chosun Dynasty. It was known to have been jointly constructed by Korean and Japanese carpenters. Therefore, Weagwan was a place for exchange of architectural tradition between Korea and Japan. Judging from this point of view, It is certain that mutual influences helped to shape architecture of Choryang-Weagwan. At the start of construction, Weagwan was built partly in Japanese-style by the carpenters from Tokugawa Shogunate. But as time passed, the participation rate of Japanese carpenters diminished gradually. After 1831, Japanese technician vanished extremely and repairing construction was continued by the Korean.
정예진 ( Ye Jin Jung ),박화영 ( Hwa Young Park ),이윤희 ( Yoon Hee Lee ),김주영 ( Joo Young Kim ),윤이나 ( Ie Na Yoon ),정요셉 ( Yo Sep Chong ),엄민섭 ( Min Seob Eom ),전수영 ( Soo Young Jeon ) 대한피부과학회 2009 대한피부과학회지 Vol.47 No.8
Relapsing polychondritis is a rare rheumatologic disorder most commonly presenting as recurring episodes of inflammation in cartilaginous tissues. Auricular chondritis with red ears resembling cellulitisis the most common clinical manifestation. Other manifestations include arthritis, nasal chondritis, and ocular, pulmonary, and cardiovascular disease. Here we report the case of a 54-year-old female patient with relapsing polychondritis and associated scleritis. On histologic examination, the auricle, including cartilaginous tissues, showed loss of the normal basophilia of cartilage and perichondrial infiltration of inflammatory cells. The patient was treated with systemic steroids. Symptoms in both auricles were reduced, scleritis developed, and ocular symptoms were waning. (Korean J Dermatol 2009;47(8):941~944)
미디어 조직 내 변혁적 리더십과 팀 지원 인식이 창의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 :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정예지 ( Yejee Jeong ),김해원 ( Hae Won Kim ) 방송문화진흥회 2019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Vol.20 No.2
This research examines the role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perceived team support on creativity in media industry. In this study, we hypothesize the effect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eam support on creativity and examine resiliency as mediation mechanisms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and creativity. To advance the analysis, we collected data from 137 employees including CP, PD, and writers in media industry, We designed a robust research model in order to assess model fit and avoid issues of common method variance. Using the verified model, standardized path coefficients were examined to test research hypotheses. Supporting the most predictions, the results show that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s a positive impact on creativity and the effect was fully mediated by resiliency.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team support and creativity was partially mediated through resiliency. We discuss implications of findings in detai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