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 학과 효율성 분석: A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이정열(Lee, Jung-yull)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2 敎育問題硏究 Vol.0 No.4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iciency of the departments in a university by using various statistical methods. After reviewing literatures, four research questions were addressed in this study; ① What is the distribution between efficient and inefficient departments? ② What are the important input and output variables? ③ Are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efficiency scores when analyzed by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department size and each college? ④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efficient and inefficient departments? The major findings of the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About 53∼62% of all departments were required to improve the efficiency. Second, efficient departments showed more outputs with less inputs. Two input variables-the number of students and educational costs per student and one output variables-employment rate were the most important for efficiency. Third, smaller departments were more efficient than larger departments. The engineering college and the college of social sciences were more efficient than any other colleges. Forth, for efficient departments, educational costs per student, scholarship per student, and employment rate were importantly contributed variables. Taking these result into consideration, followings are suggested; First, all the departments should try to enhance efficiency through benchmarking and self-evaluation. Second, for efficient management, optimal number of students and optimal educational costs per student should be considered. Third, not also effectiveness but also efficiency should be considered for university policy and strategical management. Finally, improving educational environment and job employment should be the first issue for efficiency of department. 이 연구는 대학내 전체 학과의 효율성을 분석함으로써 대학의 운영에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대학에 소속한 55개 학과를 최종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학과의 상대적 효율성은 어떠한가? 둘째, 각 학과별 투입변인과 산출변인의 상대적 중요도 및 기여도는 각각 어떠한가? 셋째, 학과의 어떠한 배경 특성이 효율성과 관련이 있는가? 넷째, 효율적 학과와 비효율적인 학과는 각각 어떠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가? 이 연구를 통하여 나타난 결과들을 토대로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효율적인 학과와 비효율적인 학과 모두 자신들과 유사한 우수학과에 대한 벤치마킹이나 자체평가를 통해 효율성 개선을 위해 지속적인 개선을 할 필요가 있다. 둘째, 투입변인 중 학과 학생수와 학생1인당 교육비 변인의 적정 규모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셋째, 대학의 특성화에 대한 효과성 뿐만 아니라 효율성에 대한 올바른 전략의 수립이 필요하다. 넷째, 학과의 교육여건 개선을 위한 총채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다섯째, 취업률을 제고할 수 있는 다각적인 방법이 검토되어야 한다. 여섯째, 비효율적 학과가 많이 분포한 단과대학은 효율적 학과가 다수 분포한 단과대학을 면밀히 벤치마킹하여야 한다.

      • KCI등재

        School principal’s leadership competency in specific task fields

        Lee Jung Yull(이정열) 한국교육행정학회 2007 敎育行政學硏究 Vol.25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장이 세부 직무영역에 따라 어떤 리더십 역량을 활용하는가를 밝히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의해 본 연구는 첫째, 세부 직무영역에 따라 학교장이 공통적으로 또는 다르게 활용하는 리더십 역량의 규명, 둘째, 학교장의 리더십 역량의 활용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의 규명을 연구문제로 선정하였다. 학교장의 리더십 역량은 Spencer와 Spencer(1993)의 리더십 역량사전에 제시된 역량을 준거로 선정하였다. 한편 학교장의 직무영역은 ①일반 직무, ②교육과정 관련 직무, ③교사장학, ④학생장학, 그리고 ⑤학교운영위원회 관련 직무의 다섯가지 영역으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선정 기준에 의해 세 명의 우수한 초등학교 학교장을 인터뷰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Spencer와 Spencer의 행동사건면접법(Behavioral Event Interview: BEI)에 의해 면접 및 분석이 이루어졌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장은 일반적으로 성취지향 및 행동 리더십 역량과 관리 역량을 주로 활용하였다. 둘째, 학교장은 각 직무영역에서 전술한 두 가지 역량 이외에 대인지향 리더십 역량, 영향력 역량을 사용하거나, 또는 리더십 역량을 활용하지 않았다. 이와 같은 학교장 리더십 역량 발휘의 차이는 첫째, 학교장의 리더십 성향과 둘째, 학교 내ㆍ외부의 환경특성에 의한 것이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의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장은 학교성과의 극대화를 위해 학교 내ㆍ외부의 환경을 고려해야 한다. 둘째, 학교행정가의 선발에 있어서 성취지향 및 행동 역량과 관리역량을 최우선적으로 고려한 체계적인 승진 체계가 구축되어야 한다. 셋째, 학생장학 영역에서의 학교장의 리더십 역량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학교성과의 극대화를 위한 총체적 학교장 리더십 역량 개발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리더십 역량 개발 프로그램은 지원체계, 개발체계, 그리고 평가체계를 포함하는 장기적ㆍ총체적인 관점에서 제작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school principal’s leadership competency in each specific task fields. The first research question is that what are commonly and differently used principal’s leadership competency in specific task fields.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is that what affects the principals different usage of competencies. Spencer and Spencer(1993)’s competency dictionary is adopted to find out principal’s leadership competency. School principal’s task is categorized into general task, curriculum task, teacher supervision, student supervision, and school committee task. Three school principals are closely interviewed and analyzed by conducting Spencer and Spencer(1993)’s Behavioral Event Interview(BEI) method.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Spencer and Spencer's competency dictionary. The results were analyzed based on the weighted scores and relative importance. Achievement and action competency and Managerial competency are dominant leadership competency. However, in each task field, there are other competencies more frequently used than two dominant competencies. This result is caused by internal/external school conditions and principal’s leadership style. Therefore, holistic approach of leadership competency for school outcomes must be considered from the stage of principal selection to principal leadership training program.

      • KCI등재

        특수교육과의 효율성 분석과 정책적 시사

        김현태(Kim, Hyun-Tae),이정열(Lee, Jung-yull)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2 敎育問題硏究 Vol.0 No.4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 efficiency and to suggest policy implication of the departments of Special Education in Korea using DEA.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bout 12%~30% of the departments of Special Education in Korea than those from the other departments are operated efficiently, but 69%~87% of the departments of Special Education in Korea are required to improve the efficiency. Seco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efficiency scores depending on characteristics of the departments of Special Education such as foundation and scale, bu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cores depending on location and type of department. Third, efficient the departments of Special Education showed higher outputs with smaller inputs. The most important input variables are the number of student per professor, scholarship per student and the number of book per student. Fourth, inefficient the departments of Special Education showed lower output with bigger input in most variables. This study can provide substantial guidance for improving the efficiency of the departments of Special Education through identifying problematic areas within the input and output factors. In spite of the limitation in research design, the overall results and suggestions would contribute to the next research, practice and policy for improvement of efficiency of the Korean departments of Special Education. 본 연구는 DEA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특수교육과의 효율성을 분석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모색하는데 있다. 산출극대화 방식을 적용한 DEA 분석모형은 5개의 투입변인과 2개의 산출변인으로 구성되어있고, 대학정보공시센터를 통해 공시된 2009년 자료를 활용하여 49개 특수교육과의 상대적 효율성과 효율적•비효율적인 학과의 특성과 개선 가능치 등을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교육ㆍ연구 모형별 효율적인 학과와 비효율적인 학과의 분포가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으나, 교육에 비해 연구모형에서 효율성 점수분포의 학과 간 격차가 큰 경향이 있었다. 둘째, 학과특성별 비교에서 설립은 교육모형에서 사립대 특수교육과, 연구모형에서 국립대 특수교육과가, 소재지는 교육 및 연구모형에서 수도권 대학의 특수교육과가, 규모는 교육모형에서 대규모, 중규모 특수교육과, 연구모형에서는 중규모 특수교육과가, 학과유형은 교육모형에서 유아특수교육과, 연구모형에서 유•초•중등병행 특수교육과의 효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비효율적인 학과의 경우 자신과 가장 유사한 특성을 보이는 효율적인 학과를 참조하여 투입 및 산출변인의 조정이나 규모의 최적화를 도모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중등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효과성의 관계에서 학교장신뢰의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유학근 ( Hak Geun Yu ),이정열 ( Jung Yull Lee ) 한국인력개발학회 2012 HRD연구 Vol.14 No.2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효과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는 많았으나 교사의 학교장에 대한 신뢰가 매개변수로 작용하는 경우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러한 문제인식에서 본 연구는 중·고등학교 교사 748명을 대상으로 교사의 학교장에 대한 신뢰가 중등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효과성 사이에서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 보이는지를 살펴보고 있다. 학교장신뢰의 매개효과 여부를 검증한 결과 중등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은 상당부분 학교장신뢰에 의해 매개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학교장신뢰가 중등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효과성 사이에서 유의한 조절효과로 작용하고 있음도 확인하였다. This research aims at reviewing an influence of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analyzing that teachers` trust in school principal has mediation effect and moderation effect.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Partial mediation model (research model 1) that has smaller value of x² is more appropriate when it is compared with complete mediation model. Thus, effects of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re mediated by teachers` trust in school principal. Second, when it was analyzed whether teachers` trust in school principal serves as moderation effect, it serves as meaningful moderation effect between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principals need to take leadership considering teachers` various characteristics when managing a school and take sincere consideration about teachers individually. Second, by regarding teachers as cooperators, trusting in them and entrusting them with a lot of tasks, principals need to get teachers` trust. In addition, they need to induce teachers to participate actively in planning, deciding and executing school policy. Third, in order to make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vigorating, appropriate leadership programs need to be developed and they have to be carried out continuously from the moment of principal appoint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