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삼나무 , 편백나무산출묘(山出苗)의 활착영향인자(Ⅰ)

        이정석,오광인 한국임학회 1979 한국산림과학회지 Vol.43 No.1

        삼나무, 편백나무의 經濟林 造林에 있어서 활착율이 極히 低調한 事例가 往往 있었다. 이에 對한 영향 因子를 究明코저 一次로 1-1의 實生山出苗와 삼나무의 揷木苗를 供試材料로 하여 室外, 室內 OED green을 葉莖에 處理한 것과 無處理한 것을 午前, 午後 종일 室內에서는 4日間 乾燥處理한 後 침적처리 시험을 하였으며 아울러 함수율을 測定分析하였다. 處理된 苗木은 同一 條件의 苗床에 植栽하여 만족할만한 관리를 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結果를 얻었다. 1. 삼나무, 편백나무의 山出苗의 OED green처리는 室內와 室外間에 高度의 有意性이 있었으며 무처리의 경우 오전, 오후, 종일 間에도 高度의 유의성이 있었다. 침적처리는 유의성이 없었다. 2. 삼나무 揷木苗는 건조처리간에 고도의 유의성이 있었다. 건조시간과 침적시간과의 상호작용에 유의성이 있었다. (6時間 건조할 경우 8時間 침적하였을 때 效果가 있었다) 3. 室內에서 4日間 건조처리를 계속했을 때 2日 경과 後부터 활착율이 현저히 떨어졌다. OED green 및 침적처리는 유의성이 없었으나 무처리에 비해 좋았다. 4. 함수율은 9時부터 15時사이에 급속히 떨어졌으며 室內에 比하여 室外處理가 극히 낮았다. 5. OED green과 無處理間의 含水率은 差가 적었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도시자연공원구역 지정 및 관리상의 문제점 분석

        이정석,조세환,Lee, Jeoung-Suk,Cho, Se-Hwan 한국조경학회 2011 韓國造景學會誌 Vol.39 No.3

        본 연구는 도시자연공원구역 제도가 도입되고 약 6년 정도가 흐른 현 시점에서 지역 지정 및 관리상 발생되고 있는 문제점을 분석 고찰함으로써 향후 도시자연공원구역의 지정 및 관리 측면의 제도개선에 기여 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대상 도시의 민원 내용 분석 및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도시자연공원구역이 지닌 지정 및 관리상의 문제점을 도출하였으며, 이것을 근거로 도시자연공원 관련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델파이조사를 실시하여 도출된 문제점의 타당성 검증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도시자연공원구역의 지정 및 관리와 관련하여 지정기준, 지정과정, 유지 관리, 법 지침 측면에서 20개 항목의 문제점이 도출되었으며, 델파이 분석을 시행한 결과 5개 항목이 제외되고, 2개 항목이 추가되어 모두 17개 항목의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2. 지정기준 측면 문제점은 공원구역지정기준 우선순위(가중치)의 결여, 정량적 평가가 어려운 항목으로 객관성 결여, 국토환경성평가항목 부적합성, 토지적성평가항목 부적합성, 현장조사에 대한 구체적 기준 미 제시, 공원구역 지정면적 기준 제시 미비 등 6개 항목으로 나타났다. 3. 지정과정 측면 문제점은 공원구역 신규지정 시 민원발생, 공원구역지침 시행 전 수립된 도시자연공원구역 타당성평가 필요, 공원구역관리계획 결정 시 경계설정의 종합적 검토 부족, 정밀한 현장조사 수행을 위한 시간적 재정적 여건의 열악함 등 4개 항목으로 나타났다. 4. 관리기준 측면 문제점은 공간별 관리체계 부재, 공원녹지기본계획 중 도시자연공원구역관리계획의 실효성 부족, 용도구역과 도시공원의 이중적 성격으로 인한 관리주체의 이원화 발생, 공원구역을 유지 관리하기 위한 전문인력의 부족 등 4개 항목으로 나타났다. 5. 법 지침 측면 문제점은 별도의 도시자연공원구역관리계획 부재, 공원구역 내 행위허가 된 시설의 부지면적 기준부적합, 도시자연공원구역 타당성 검토 부재 등 3 개 항목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performed with the purpose of providing basic data for the improvement of zoning regulations of urban nature park by analyzing the present problem which occurred during last 6 years from the year of 2005 when the program was introduced for the first time. The study was processed first by the analysis of the cases of problems evoked by citizens, second the other problems was delineated by interviews of officials, at last the validity of all of the problems was verified by a group of professionals through delphi method.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In relation to the designation and management of urban national park areas, designation criteria, designation process, maintenance, laws and regulations and 20 other items were found to be problematic. After Delphi method, 5 items were removed and 2 add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17 problematic items in total. 2. Regarding the problem of criteria for designation, which are, lack of priority(weights), lack of objectivity due to the difficulty to use quantitative evaluation method, incompatibility for contaminated land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incompatibility of land suitability assessment, lack of detailed field survey standards, lack of national park area standards, and 6 other items. 3. Regarding the problem of designation process, which are, the occurrence of civil appeals for designating a new national park, the needs of feasibility study on the urban national park areas constructed before urban national park guidelines came out, lack of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boundaries set when determining national park area management plan, poor temporal and financial conditions for an accurate field survey, and 4 other items. 4. Regarding the problem of maintenance management, which are, lack of management system in each space, lack of effectiveness of Urban Nature Park Area Management Plan among master plans for park and green areas, the occurrence of dual managers due to dual natures such as purpose area and city park, lack of professional manpower to manage park areas, and 4 other items. 5. Regarding the problems of regulation guidelines, which are, lack of separate urban park area management plan, incompatibility of the permitted facilities in the park to the park area standards, lack of feasibility study on urban park areas, and 3 other items.

      • KCI등재

        4․19세대 문인과 지역균열

        이정석 우리문학회 2019 우리文學硏究 Vol.0 No.63

        In literature, 4·19 generation refers to writers born around the year 1940 whose identities and senses of logic and self were shaped by the historical events of 4·19. This article aims to three-dimensionally observe the identity and literary aspects of the 4·19 generation, which is usually only discussed as a footnote to the historical event of 4·19. As such, this article attempts to focus on research based on the analytic frame of regional division. First, the correlation between regional identity of writers of the 4·19 generation and their literary characteristics and literary directivity is examined. Here, the primary writers of the discussion are Kim Seung-ok, the literary flag bearer of the 4·19 generation, and Lee Cheong-jun, who persistently dug into the politics of liberalism through literature. Through an analysis of their work, it is revealed that a major factor in 4·19 generation writers from the Honam area devoting themselves to the literary domain was a sense of failure that they were pushed out of mainstream society. In addition, it is reconfirmed that their legacies in Korean literature are what contributed to the preservation of literary thinking based on the autonomy of literature, and its inherent position of criticism. 일반적으로 문학에서의 4․19세대는 1940년 전후에 태어나 4․19라는 역사적 사건을 준거점으로 생의 감각과 논리를 가다듬으며 자신의 주체성을 형성해 나간 일군의 문인들을 가리킨다. 본고는 주로 4․19라는 역사적 사건과의 연관 속에서만 논해진 60년대 전라도출신 4․19세대의 정체성과 문학적 존재양상을 보다 입체적으로 바라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고는 지역균열의 범주틀에 입각해 연구에 임하고자 한다. 우선, 전라도출신 4․19세대 문인의 지역적 정체성이 그들의 문학적 특징 및 문학적 지향성과 어떤 상관관계를 갖고 있는가를 고찰해 볼 것이다. 여기서 주된 논의의 대상으로 삼은 작가는 4․19세대의 문학적 기수 김승옥과 문학을 통해 자유주의의 정치학을 집요하게 천착한 이청준이다. 그들을 작품분석을 통해, 주류사회에서 밀려난 자들이라는 낙오자의식이 호남출신의 4․19세대 문인들로 하여금 문학의 영역에 투신하게 만든 주요한 요인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더불어 문학의 자율성에 입각한 문학주의와 비평의 고유한 입지를 확보하는데 기여한 것은 그들이 한국문학에 남긴 커다란 족적임을 재확인할 수 있었다.

      • 팬데믹 감염병 시대 도시 생태계서비스에 대한 사회적 스키마 연구

        이정석,정행운,염정윤,김고운 한국환경연구원 2021 기본연구보고서 Vol.2021 No.-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연구 목적 □ 본 연구는 코로나19로 인하여 시민들 간 만남을 제한하고, 시민들이 오랜 기간 격리생활을 영위함에 따라 발생한 우울 증상이나 불안 증상 등의 정신적 고통, 일명 ‘코로나 블루’를 생태계서비스를 통하여 해소할 필요가 있음을 깨닫고, 이를 실증적 자료를 토대로 조사해 보고자 하였다. 2. 연구 필요성 □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세계 많은 나라의 시민들은 도시에 밀집하여 살고 있으므로, 앞으로 코로나19와 같은 집단 감염병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인구밀도가 높은 도시를 중심으로 철저한 방역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 아울러 우울감 및 불안감과 같은 심리적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해 지금보다 더욱 많은 시민이 생태계를 방문하고 생태계 서비스를 이용할 것이라는 점을 고려한다면, 기존 도시 생태계서비스 이용과 관리현황에 대한 재검토는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Ⅱ. 분석도구 및 연구방법 1. 분석도구 □ 본 연구는 코로나19라는 현 팬데믹 상황에서 도시 생태계서비스에 대한 도시 시민들의 시각을 파악하기 위해, 사회적 스키마 개념을 도입하였다. ㅇ ‘스키마’란 연구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될 수 있는 용어이나, 핵심적인 내용을 살펴보면 한 사람의 어떤 대상에 대한 범주화된 인상이나 지식이라고 말할 수 있다. 2. 연구방법 □ 본 연구의 연구 대상은 도시 생태계서비스에 대한 도시 시민들의 스키마이므로, ㅇ 한국에서 가장 인구밀도가 높은 서울이라는 장소를 연구 지역으로 선정하였고, ㅇ 사람들의 심도 있는 의견을 끌어내는 데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평가되는 초점 그룹 인터뷰(FGI: Focus Group Interview)를 연구 방법으로 채택하였다. □ 서울의 생태계서비스를 이용 빈도, 주거 형태, 우울 증세 여부와 같이 서로 다른 입장을 가진 이용자들로 구성된 세 그룹을 대상으로, 각각 1번씩 총 3번의 초점 그룹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ㅇ 덧붙여, 자연 치유 전문가와 정신건강의학 전문가 두 사람의 전문가를 통해 초점그룹 인터뷰의 내용을 검증하는 절차를 거쳤다. ㅇ 추가적으로 생태계서비스 이용을 위한 가이드라인 작성을 목적으로 서울 시민 2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선호 조사를 수행하였다. Ⅲ. 연구 결과 및 정책 제언 □ 첫 번째 연구주제인 ‘팬데믹 감염병 시대 도시 생태계서비스가 시민들에게 주는 의미는 과연 무엇인가’에 대한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ㅇ 시민들은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도시 생태계, 즉 도시 내 공원, 숲, 산을 사회적 거리두기에 따른 피로감을 해소할 수 있는 일종의 휴식처 그리고 오랜 시간 사회적 관계를 영위하지 못함으로써 경험하게 되는 고립감이나 불안감을 경감시켜 줄 수 있는, 즉 안정감을 구할 수 있는 하나의 중요한 장소로서 인식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 본 연구의 두 번째 연구주제인 ‘도시 생활방역 차원에서 생태계가 시민들에게 줄 수 있는 혜택은 구체적으로 어떠한 것들인가’에 대한 대답은, ㅇ 도시 생태계는 도시 시민들의 신체적, 정신적 측면에서 면역력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함으로써, 도시가 팬데믹 감염병에 대응할 수 있도록 만드는 도시 방역체계의 중요한 구성요소가 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ㅇ 특히, ‘코로나 블루’와 같이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한 우울감과 불안감에 대응할 수 있는 시민들의 정신적 면역력 강화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유용한 장소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본 연구가 답하고자 한 세 번째 연구주제인 ‘도시 생태계서비스를 제공하고 관리함에 있어 향후 국가 정책/도시 계획으로 다루어야 할 주요 이슈들은 과연 무엇인가’에 대한 대답은 아래와 같이 생태계 이용자와 공급자의 입장을 고려한 생태계 이용지침 또는 생태계 이용 가이드라인을 만드는 작업일 것이다. Ⅳ. 연구 한계 □ 본 연구의 관심 지역은 서울이기 때문에 본 연구의 연구 결과를 우리나라의 경우로 일반화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지역적으로 서울 외에도 여러 도시들의 경우를 포함할 수 있도록 앞으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Ⅰ. Research Goal and Background 1. Research goal □ This study was designed based on such a claim that ‘Corona Blue’ which is people’s psychological sufferings, such as a feeling of depression or anxiety, due particularly to the national social distance policy could be alleviated by ecosystem services. So this study has focused on proving that claim grounded on the collected empirical data. 2. Research background □ Because many people in the world live together in urban areas including cities of various size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followings. ㅇ One is that preventive measures against epidemics should be implemented preemptively towards urban areas. ㅇ The other is that more citizens are expected to visit urban ecosystems in order to reduce their psychological stresses occurring due to the COVID-19 pandemic. ㅇ Thus, the current ecosystem management performed in urban areas must be reevaluated based on the above two standpoints. Ⅱ. Research Instrument and Method 1. Research instrument □ In order to figure out the perspective of citizens on urban ecosystems especially under the current pandemic situation, this study adopts the concept of schema. ㅇ Although the term ‘schema’ can be interpret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what a specific type of study intends, its essential meaning could be summarized simply in such a way that schema is the categorized impression or knowledge of a person towards a certain object. 2. Research method □ To analyze the schema of citizens on urban ecosystems, this study selects Seoul, the city in the Republic of Korea having the highest population density, as the target area of the study and adopts focus group interview (FGI) as the major method of the study. □ Based on the type of participant, such as whether the person is living alone, visits ecosystems often, or has a symptom of depression, a total of three FGIs were executed. ㅇ After those three FGIs, two experts, one of whom is a natural healing professional and the other is a psychiatrist, were consulted to verify the results of the FGIs. ㅇ In addition, 200 citizens in Seoul have been surveyed online on their preferences in order to establish a user-guideline on urban ecosystems. Ⅲ. Research Outcome and Policy Implication □ Regarding the first research question, “what kind of meaning towards urban ecosystems can be given to citizens particularly under the current pandemic situation,” according to the outcomes of the study, it can be said that citizens in Seoul regard urban ecosystems as the safe place where they can take a rest anytime and alleviate their accumulated stresses coming from enduring the COVID-19 pandemic. □ With respect to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what type of benefit generated from urban ecosystems can be suggested when considering such an imminent requirement that preventive measures against epidemics should be implemented preemptively towards urban areas,” it can be maintained that urban ecosystems could be one of the crucial components helping to establish preventive measures against epidemics, because they provide useful space that can enhance the immune system of citizens by strengthening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aspects of people. □ Lastly, regarding the third research question of the study, “what issues must be dealt with in the future as public policy or in urban planning if more ecosystems should be supplied and managed in urban areas,” it can be summarized as in the following table, which is a guideline for providers on how to use urban ecosystems. Ⅳ. Research Limitation □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the outcomes of the study because the study has limited its target area to Seoul. Therefore, studies focusing on various target areas should be carried out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