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잎담배 중 유리 아미노산 분석

        이정민,민혜정,장기철,황건중,Lee, Jeong-Min,Min, Hey-Jung,Jang, Gi-Chul,Hwang, Keon-Joong 한국연초학회 2010 한국연초학회지 Vol.32 No.2

        A simple and sensitive automatic amino acid analyzer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free amino acids in tobacco was described. Sample preparation consisted of a single step of extraction with 0.1 mol HCl at ambient temperature in 60 min by sonication, followed by filtration of an aliquot. Automated amino acid analyzer was used to construct a post-column ninhydrin reaction unit to monitor amino acids separated by liquid chromatography using a series of eluting buffers. By optimization of sample preparation, separation of 19 amino acids was achieved. Limits of quantitation was 0.01 mg/g, coefficients of variation ranged from 0.5 % to 8.9 % and recoveries range from 85 % to 106 %. The method was applied to the analysis of amino acids contents of tobacco leaves in different varieties.

      • KCI등재

        전해수 생성온도에 따른 그람양성균과 그람음성균의 살균 효과

        이정민(Jeong Min Lee),정현정(Hyun-Jung Chung),방우석(Woo Suk Ba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6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5 No.8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온도의 물로 제조한 전해수를 이용하여 그람양성균과 그람음성균에 대한 살균력을 확인하였다. 전해수의 물성은 물의 온도가 높아질수록 pH와 유효 잔류염소 농도 값이 높아졌으나, 산화환원전위 값은 감소하였다. 4, 22, 40°C의 물을 이용하여 생성한 전해수에 Escherichia coli O157:H7을 15분 동안 처리하였을 때 각각 1.18, 4.47, 5.46 log CFU/mL 감소하였으며, Staphylococcus aureus는 각각 0.72, 4.90, 5.54 log CFU/mL 감소하였다. 이를 통해 전해수를 생성하는 물의 온도가 증가할수록 살균 효과가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4, 40°C의 물을 이용하여 생성한 전해수에 균주를 처리한 경우, Listeria monocytogenes의 D 값(일정한 온도에서 90 %의 미생물이 사멸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각각 6.60, 1.57분으로 나타나 가장 낮았으며, 22°C 전해수에서는 Salmonella Enteritidis의 D 값이 2.92분으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그람양성균과 그람음성균을 비교하였을 때 모든 온도에서 D 값에 대한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P>0.05). 본 연구 결과는 전해수를 제조할 경우 높은 온도의 물을 이용하여 제조하는 것이 미생물 살균 효과가 높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전해수를 생성할 때 물의 온도를 고려하여 높은 살균력을 나타내는 전해수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는 물의 온도 외에도 물의 경도나 물의 종류 등을 고려하여 최적의 살균 전해수를 제조함으로써 식품산업에 적용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Electrolyzed activated water (EAW) has been reported to exhibit strong bactericidal effects on foodborne microorganisms. However, the disinfection efficacy of EAW is affected by factors such as water source and hardness. This study investigated bactericidal effects of EAW against three gram-positive (Bacillus cereus, Listeria monocytogenes, and Staphylococcus aureus) and three gram-negative (Cronobacter sakazakii, Escherichia coli O157:H7, and Salmonella Enteritidis) foodborne pathogens. Six strains were treated with EAW prepared at different water temperatures (4, 22, and 40°C) for 15 min, and D-values were generated. The results show that the lowest D-values for Lis. monocytogenes by EAW produced at 4°C and 40°C were 6.60 and 1.57 min, respectively. The lowest D-value for Sal. Enteritidis by EAW produced at 22°C was 2.92 min. D-values of all strains treated by EAW produced at 40°C de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ose treated by EAW produced at 4°C (P<0.05).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applying EAW produced at warm temperature is more effective for reducing foodborne pathogens for food safety.

      • 피프로닐 오염도 조사를 위한 분석법 정립

        조순길 ( Soon-kil Cho ),이미진 ( Mi-jin Lee ),이정민 ( Jeong-min Lee ),김호진 ( Ho-jin Kim ),박수민 ( Soo-min Park ),박혜진 ( Hye-jin Park ),이승화 ( Seung-hwa Lee ),안종성 ( Jong-sung Ahn ) 한국환경농학회 2018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18 No.-

        2017년 유럽에서 피프로닐에 오염된 계란이 유통된데 이어 국내에서 생산된 일부 계란에서도 살충제가 검출되었다. 피프로닐은 진드기 방제 목적으로 사용되는 살충제로 sulfide, sulfone, amide, sulfoxide의 대사산물을 생성한다. 피프로닐은 물에 1.9 mg/L 정도 용해되고, 아세톤에 545.9g/L가 용해되는 성질이 있어 시료 채취시 아세톤을 사용한다. 농장시설 등에 부착된 피프로닐을 제거하기 위해 5% 탄산나트륨(Na2CO3)과 15% 과산화수소(H2O2)를 권장하고 있다. 이는 피프로닐을 피프로닐설폰으로 산화시킨 다음 반복적으로 사용하여 제거한다. 이러한 제거 작업을 통해 피프로닐이 제거된 정도를 조사할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한 분석법 정립이 필요하다. 시료를 250 mL 용기에 넣고 1% 함유 아세토니트릴 100 mL을 주가하여 10분간 격렬하게 진탕한 후, 3500 rpm으로 원심분리를 하였다. 추출액 1 mL을 0.2 um 멤브레인필터로 여과하여 시험용액으로 하였다. 칼럼은 C18(2.0 mm I.d×50mm, 3 um)을 사용하였고, 이동상은 0.1% 포름산 함유 메탄올과 0.1% 포름산 및 5 mM 아세트산암모늄이 함유된 물을 사용하였다. 분석조건으로 피프로닐의 선구이온은 437 m/z, 생성이온은 368, 255, 290 m/z, positive 조건으로 분석하였고, 피프로닐 설폰의 선구이온은 451 m/z, 생성이온은 415, 282, 244 m/z negative 조건으로 분석하였다. 분석법의 정량한계는 피프로닐 0.92 ug/kg, 피프로닐설폰 0.70 ug/kg이었다. 피프로닐과 피프로닐 설폰을 각각 1, 5, 10, 50, 100 ug/kg 수준으로 검량선을 작성한 결과, r2는 모두 0.9999이었다. 10 ug/kg과 50 ug/kg 수준의 3반복 회수율 실험결과, 10ug/kg 수준에서 피프로닐은 74.7±0.56%, 피프로닐 설폰은 88.9± 0.27%로 나타났다. 50 ug/kg 수준에서는 피프로닐은 78.6±0.11%, 피프로닐 설폰은 95.2±0.02%로 유효회수율 범위(70~120%)에 포함되었다. 머무름 시간은 피프로닐 5.3 mim, 피프로닐 설폰은 5.7min에서 검출되었다. 교차확인 목적으로 LC/MS/MS로 분석한 시료를 GC/μ-ECD로 분석을 하였다. 분석조건은 주입구 온도 250℃, (5%-Phenyl)-methylpolysiloxane이 충진된 30 m×0.25 mm×0.25 um길이의 칼럼이다. 오븐온도는 130℃에서 300℃까지 승온 조건으로 분석하였고, 머무름시간은 피프로닐 11.64 min, 피프로닐 설폰12.79 min으로 LC/MS/MS와 GC/μ-ECD 모두 표준물질과 시료의 결과가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정립된 분석법은 피프로닐 오염도조사를 위한 분석법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초등 ICT 활용교육에의 전자 포트폴리오 평가 절차 모형 개발

        이정민,전우천,Lee, Jeong-Min,Jun, Woo-Chun 한국정보교육학회 2006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10 No.1

        Sometimes the quantitative evaluation method does not explain students' full capacity in educational fields. In this point of view, performance assessment has been adapted widely since the assessment provides a comprehensive qualitative evaluation as well as quantitative evaluation. Portfolio is one of the most effective methods in performance assessment. However, the portfolio requires longer time in evaluation, physical space for storing data gathered from students. Electronic portfolio can overcome the above disadvantages of the traditional portfolio and increase students' ICT application capac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electronic portfolio assessment processing model and present concrete activities for each stage in the model. Our model consists of four stages, Preparation, Activity, Evaluation, and Application, respectively. Especially, our model is designed to provide different activities for students and teachers in each stage. Our model is expected to provide a good guidance to students, teachers and parents in understanding and utilizing portfolio assessment. Particularly our model will provide the comprehensive guidance to teachers in assessment process.

      • KCI우수등재

        거품을 이용한 경사가호

        이정민,배기서,이철호,Lee, Jeong-Min,Bae, Gi-Seo,Lee, Cheol-Ho 한국섬유공학회 1990 한국섬유공학회지 Vol.27 No.6

        The foam generator and applicator of experimental scale for foam siring were specially designed and prepared, and results from studies of foam sizing were presented. Foam siring conditions using this device and foaming efficency of several size materials were described. The size add-on, selected physical properties and conditions of the yarn surface were demonstrated. Properties of polyester/cotton yarns and nylon filament yarns sized using foam were equivalent or superior to those of similar yarns sized conventionally.

      • KCI등재

        소나 송신기의 정합회로 설계를 위한 수중 음향 압전 트랜스듀서의 등가회로 파라미터 추정

        이정민,이병화,백광렬,Lee, Jeong-Min,Lee, Byung-Hwa,Baek, Kwang-Ryul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 2009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Vol.12 No.3

        This paper presents an estimation technique of the equivalent circuit parameters for an underwater acoustic piezoelectric transducer from the measured impedance. Estimated equivalent circuit can be used for the design of the impedance matching network of the sonar transmitter. A fitness function is proposed to minimize the error between the calculated impedance of the equivalent circuit and the measured impedance of the transducer. The equivalent circuit parameters are estimated by using the fitness function and the PSO(Particle Swarm Optimization) algorithm.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ethod is verified by the applications to a sandwich-type transducer and a dummy load. In addition, the impedance matching network is also designed by using the estimated equivalent circuit model.

      • KCI등재후보

        간헐외사시 수술직후 발생한 과교정의 자연 회복 양상

        이정민,신선영.Jeong-Min Lee. M.D.. Sun-Young Shin. M.D. 대한안과학회 2005 대한안과학회지 Vol.46 No.5

        Purpose: To assess the factors which are related to recovery time from overcorrection that occurred immediately after surgery. Methods: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intermittent exotropia patients who had undergone bilateral lateral rectus muscle recession from February 2002 to July 2004. Fifty patients who developed overcorrection of less than 20 PD on the immediate postoperative day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ge at surgery, sex, refractive power, preoperative deviation angle, Worth 4-dot test, and stereopsis were examined, and we evaluat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se factors and recovery time. Results: Thirty-six patients (72%) recovered to orthoposition within 4 weeks postoperatively.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the recovery time and poor stereopsis (p=0.02), and suppression of the Worth 4-dot test (p=0.01).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recovery time and age at surgery, sex, refractive power, and preoperative deviation angle. Conclusions: In cases of immediate postoperative overcorrection of less than 20 PD after intermittent exotropia surgery, factors related to delayed recovery were poor stereopsis and suppression of the Worth 4-dot test.

      • KCI등재후보

        족부 혈관의 평가: 3차원 Gadolinium조영 증강 자기공명 혈관조영술과 디지털 감산 혈관조영술의 비교

        이정민,강성권,변주남,김영철,최정렬,김영숙,Lee, Jeong-Min,Gang, Seong-Gwon,Byeon, Ju-Nam,Kim, Yeong-Cheol,Choe, Jeong-Ryeol,Kim, Yeong-Suk 대한영상의학회 2002 대한영상의학회지 Vol.47 No.1

        목적: 족부 혈관의 평가에 있어서 조영 증강 자기공명 혈관조영술의 유용성을 디지털 감산 혈관조영술과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환자 11명을 대상으로 12개의 하지에 대해 디지털 감산 혈관조영술(DSA)과 조영 증강 자기공명 혈관조영술(CE-MR angiography)을 1주 이내에 시행하였다.환자 11명중동맥경화증이 4명,당뇨발이 3명,Buerger씨병이 1명,피부판 이식수술을 위해 혈관조영술을시행 받은 환자가 1명,calciphylactic 동맥병증이 1명,족부의 동정맥기형이 1명이었다.자기공명 혈관조영술은 1.5T의 자기공명영상장치에 사지코일 또는 두부코일을 이용하여 3차원 항정상태세차고속영상(FISP)기법으로 조영 전 영상을 얻은 후에 kg당 0.2 mmol의 gadolinium을 초당 3 ml의 속도로 수동 주입하고 이어 생리식염수 10 ml를 정주 하였으며,조영제 주입 후 10초 후부터 20초간의 스캔을 10초 간격을 두고 4차례 시행하였다.발목 및 족부의 혈관을 전경골동맥,원위부 비골동맥,후경골동맥,내측족저동맥,외측족저동맥,족배동맥 그리고 족궁의 7분절로 나누어 2명의 방사선과 의사가 분석하였고 한 개의 하지에서 보인 분절의 평균 수의 차이를 통계학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전체 84개의 동맥 분절 중에 16개는 두 검사 모두에서 전혀 볼 수 없었고 39개는 두 검사 모두에서 보였다.조영 증강 자기공명 혈관조영술에서만 보인 분절의 수는 26개였고 디지털 감산 혈관조영술 에서만 보인 분절의 수는 3개였다.한 개의 하지에서 보인 분절의 평균수는 조영 증강 자기공명 혈관조영술에서 5.42개,디지털 감산 혈관조영술에서는 3.50개로 조영증강 자기공명 혈관조영술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많이 보였다(T-test,p <0.000).각분절에 대해서는 모두 CE-MR angiography에서 더 많이 보였지만 족배동맥(T-test,p < 0.000)을 제외한 모든 분절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 족부 혈관의 평가에서 3차원 조영 증강 자기공명 혈관조영술은 디지털 감산 혈관 조영술 보다 우수하며 족부의 다양한 혈관질환의 진단과 치료계획의 수립에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o compare the three-dimensional gadolinium-enhanced MR angiography with digital subtraction angiography (DSA) for evaluation of the pedal artery. Materials and Methods: In 12 extremities of 11 patients, both digital subtraction angiography (DSA) and contrast-enhanced MR angiography (CE-MR angiography) were performed during the same week. Among ten of the 11 patients, the following conditions were present: atherosclerosis (n=4), diabetic foot (n=3), Buerger's disease (n=1), calciphylactic arteriopathy (n=1) and arteriovenous malformation of the foot (n=1). The remaining patient underwent angiography prior to flap surgery. For MR angiography, a 1.5T system using an extremity or head coil was used. A three-dimensional FISP (fast imaging with steady state precession) sequence was obtained before enhancement, followed by four sequential acquisitions (scan time, 20 secs; scan interval time, 10 secs) 10 seconds after intravenous bolus injection of normal saline (total 10 cc), following intravenous adminstration of gadolinium (0.02 mmol/kg, 3 ml/sec). Arterial segments of the ankle and foot were classified as the anterior or posterior tibial artery, the distal peroneal artery, the medial or lateral plantar artery, the pedal arch, and the dorsalis pedis artery. Two radiologists independently analysed visualization of each arteraial segment and the mean of visible arterial segments in one extreminty using CE-MR angiography and DSA. Results: Among 84 arterial segments, 16 were invisible at both CE-MR angiography and DSA, while 39 were demonstrated by both modalities. Twenty-six segments were visible only at CE-MR angiography and three only at DSA. CE-MR angiography displayed a higher number of arterial segments than DSA (mean, 5.42 vs. mean 3.50, respectively), a difference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00). The difference between each arterial segmen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except for the dorsalis pedis artery (t test, p<0.000). Conclusion: In that it provides additional information for the planning of treatment of lower-extremity arterial disease, three-dimensional CE-MR angiography is superior to DSA for evaluation of the pedal arte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