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위한 임계치 기반 효율적인 혼잡 탐지 및 제어 알고리즘

        이대윤(Dae-Woon Lee),이태우(Tae-Woo Lee),최승권(Seung-Kwon Choi),이준석(Joon-Suk Lee),김광훈,이재엽(Jae-Youp Lee) 한국콘텐츠학회 201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0 No.9

        본 연구에서는 불필요한 에너지 소모와 지연을 야기하는 혼잡을 탐지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제시하고 이에 따라 혼잡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기법을 제시한다. 기존의 혼잡 탐지는 큐 점유율만을 사용하거나 MAC 계층에서 패킷 도착율만을 가지고 혼잡을 결정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이들 두 가지를 모두 고려하여 더 정밀한 혼잡 탐지를 가능하게 하였다. 또한 혼잡도에 따라 미리 혼잡 회피를 수행하고 혼잡이 발생한 경우 패킷의 우선순위에 따라 지연에 민감한 패킷들을 먼저 스케줄링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본 논문에서 제안한 혼잡 탐지와 제어 기법은 기존의 혼잡 제어 방법들에 비해 우수한 성능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This paper reports a new mechanism for congestion controls. The proposed congestion detection algorithm can be provided with delay and unnecessary energy consumption. Conventional congestion control methods decide congestion by queue occupancy or mean packet arrival rate of MAC layer only, however, our method can perform precise detection by considering queue occupancy and mean packet arrival rate. In addition, the congestion avoiding method according to congestion degree and scheduling method using priority for real time packets are proposed. Finally,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proposed congestion detection and control methods outperforms conventional scheduling schemes for wireless sensor network.

      • KCI등재후보

        효율적인 데이터베이스 동기화를 위한 .Net Framework 기반의 미들웨어 설계 및 구현

        박성훈(Sung-Hoon Park),이재엽(Jae-Youp Lee),유수창(Su-Chang Yoo)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4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8 No.1

        최근 스마트 기기와 인터넷의 발달을 통해 다양한 스마트스크린을 서로 연계하여 사용 할 수 있는 N-스크린이라는 새로운 환경이 탄생하였다. 수 많은 기업들은 스마트 기기와 인터넷을 통하여 비즈니스를 적용하면서 겪게 되는 하나의 문제 있다. 어떻게 하면 빠른 시일 내에 저렴한 비용으로 최대의 성능을 내며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하고 유지하는가에 대한 의구심을 가질 수 밖에 없다. 이러한 일련의 문제를 수용할 만한 웹서비스의 구축방법론이 새로 나오기 시작했다. 현재 웹서비스를 실제로 이용하기 위한 객체간의 통신규약인 3계층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 서버 모델을 들 수 있다. 불특정 다수의 유저를 상대로한 애플리케이션을 구축 하다보면 데이터베이스 세션수에 따라서 값비싼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무한정 증설 할 수 없다. 이를 위해 클라이언트와 데이터베이스 중간단계에 로드 밸런싱 미들웨어를 사용하여 안정적인 데이터베이스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으며, 하드웨어 증설이 필요하지 않아 비용 절감을 가져올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 환경에서도 유연하게 대처하고 웹 서비스의 효율적인 데이터베이스 동기화를 제공함으로써 개발자가 보다 생산적인 작업 환경에서 정보시스템 구축을 최적화 하도록 하였다. A new environment which is called N- Screen was born by the recent development of smart devices and mobile networks with which a variety of smart screens that can be used in conjunction each other. There is a big problem that many companies encounter when they apply their business based upon smart devices and mobile networks. The problem is that how to implement and maintain the applications as soon as possible at low cost to have maximum performance. There are series of new methodologies to build web service to solve the problem. There is a three-tier application model of the database server that uses the current web services conventions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objects. Against unspecified number of users who uses application, the company could not build an expensive database server indefinitely. To do this, the company installs a middleware between the client and the database for load balancing and use as the intermediate stage a reliable database systems. Even more it does not require hardware capacity and can result in cost savings. In this paper, we presented a method in an Internet environment to be flexibly to meet and the web services to provide synchronization of database developers in a more productive way to optimize information system.

      • KCI등재

        단일 노드 인스턴스에서 키-값 저장소 기반 분산 NoSQL 데이터베이스 성능 비교

        서용철(Yong-Cheol Seo),박성훈(Sung-Hoon Park),김영목(Yeong-Mok Kim),이재엽(Jae-Youp Lee),김윤(Yoon Kim)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19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11

        With the recent proliferation of social networking and streaming services, the requirements for scalability and elasticity of distributed data repositories have become more important for developers in choosing a NoSQL database, an unstructured query language. Redis can cache database query results in memory through its caching system, reducing the number of database accesses. However, when there is a large amount of data that is not suitable for server memory, the Redis database has a limit on persistence and cannot guarantee safety. A new alternative to the memory-based Redis database is the disk-based Sorted Set DB (SSDB) database with Key-Value store. This paper evaluates and compares CRUD processing performance for Redis and SSDB using YCSB, a benchmark tool provided by Yaho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