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백운동 별서원림(別墅園林)의 의미와 특징

        최정미 ( Choi Jungmee ),천득염 ( Cheon Deukyoum ),이재연 ( Lee Jaeyeoun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17 호남학 Vol.0 No.62

        백운동원림은 남도지방의 고유한 특성을 갖춘 별서정원이다. 노장적이며 자연적인 본분에 따라 처사의 삶을 산 입산조 이담로와 그의 손자 이언길은 백운동 별서를 처음 경영하고 일군 시조라고 할 수 있으며, 오늘의 모습을 갖춘 것은 18세기 중엽 이덕휘에서 19세기 중엽 이시헌에 이르기 까지 완성되었다고 추정된다. 이 공간은 원래 백운암(白雲庵)이라는 암자 터로 추정되는 곳에 은거를 위한 별서(別墅)로 조성하였으며 나중에는 이언길의 아들 이의권 가족이 옮겨옴으로써 별서이면서 영농과 주거의 성격을 함께한 복합적 공간이 되었다. 백운동 원림은 월출산을 배경으로 하고 계곡 주변의 경승요소를 정원 안과 밖으로 끌어들이는 뛰어난 경관미와 차경 안목이 돋보이는 입지적 특성을 지닌다. 이와 아울러 인간의 내면에 자리한 복잡한 정신세계의 심리를 정원의 구성요소로 표현하고, 정원 조영을 통해 이를 승화시키고자 한 작정자의 조영관이 투영된 원림이다. 좁은 진입부의 계곡, 멀리 올려다 보이는 산 정상부의 원경, 그 안에 안정적으로 자리한 대지와 그 주변의 경승으로 이루어진 경관미 등 다양한 입지적 특성을 갖는다. 또한 백운동원림은 다산과 제자들의 학문적 만남, 차를 통한 나눔의 공간이었다. 특히 이시헌과 다산 사이에 서신을 통해 개인사에 대한 내용을 비롯하여 차를 보내줄 것과 차 제조법을 상세히 알려주고 있는 것, 공부에 대한 당부 등을 읽을 수 있어 귀한 자료가 되고 있다. 백운동 원림의 조경식물은 매화, 난, 국화, 대나무 등의 사군자와 연(蓮), 소나무(松), 동백, 모란, 영산홍, 단풍(楓), 생달나무, 유자나무 등이 나타난다. 이는 여느정원에서와 비슷하지만 수종은 많은 편이 아니다. 특히 백운동은 우리나라에서 몇안 되는 유상곡수(流觴曲水)를 조영하고 있는 곳이다. 중국에서 곡수연은 왕희지의 난정(蘭亭)과 송나라 숭복궁의 범상정(泛觴亭)의 유구가 있고, 한국에서는 포석정, 일본에서는 평성궁 동원 발굴 석조수로(石組水路)와 평안시대 야리미즈(遣水) 곡수연의 예가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아주 드문 예이다. Baegundong Garden is a place Lee Dam-ro and his grandson, Lee Eon-gil recreated a scenic site as a treat away from their house located in Geumdang-ri below the mountain, Wolchulsan. Lots of scholars visited the garden and expressed the beautiful scenery and landscape in their poetry and prose, and paintings handed down today. The garden is one of the best private garden, allowing us feel the taste of Chosun scholars. The place called Byeolseo as a retreat was built up at the site estimated as a hermitage, Baegunam. And then, Lee Eui-gwon(1704-1759), son of Lee Eon-gil moved into the place with his family, and the place became the multiple space for living and farming as well as a treat. In addition, there were ancestors’ graves around the residential space, which means that the space was for both the alive and the dead. Especially, the correspondence between Lee Shi Hun and Jeong Yak-yong shows some personal things such as asking for some tea, informing how to make tea, and encouraging to study, which implies that Baegundong Garden was the place for social gatherings with tea between Dasan and his students and friends. Baegundong Garden has various landscape plants such as Maehwa (plum blossom), Orchid, Chrysanthemum, and Bamboos called Sagunja, Lotus, Pine trees, Camellia, Paeonia, Yeonsanhong(Korean azaleas), Maple trees, Japanese cinnamon, Fragrant Citrus, and so on. They are common in other gardens and not so many species of trees. But, Baegundong Garden has its unique features with its facility called Yusanggoksu which is a curved stream to float wine glasses at a banquet only a few remain in Korea.

      • KCI등재
      • KCI등재

        산지별 곰취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효능

        이재연 ( Jae Yeon Lee ),조영락 ( Young Rak Cho ),안은경 ( Eun Kyung Ahn ),서찬곤 ( Chan Gon Seo ),김진규 ( Jin Kyu Kim ),서동완 ( Dong Wan Seo ),오좌섭 ( Joa Sub Oh ) 한국산업식품공학회 2015 산업 식품공학 Vol.19 No.4

        본 연구는 식용으로 사용하는 곰취의 국내 산지별(태백, 정선, 양구, 평창, 인제) 항산화 효과를 평가하고, 곰취의 유효성분 분리를 통해 항산화 효능평가를 수행함으로써 산지별 곰취의 항산화 효능에 대한 탐색 및 소재 개발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인제산 곰취 50% EtOH 추출물의 농도에 따라 DPPH 라디칼 소거능과 ABTS 라디칼 소거능이 각각 71.77%, 98.95%로 높은 항산화 활성이 관찰되었다. 또한, ORAC activity assay kit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측정 결과에서도 인제산 곰취 50% EtOH 추출물의 농도에 따라 높은 항산화 활성이 관찰되었고, 100 μg/mL의 농도에서 290.19±5.79 μM TE/g으로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산지별 가운데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인 인제산 곰취 50% EtOH 추출물로부터 유효물질 5개(chlorogenic acid (1), neochlorogenic acid (2), isochlorogenic acid A (3), isochlorogenic acid B (4), isochlorogenic acid C (5))를 분리하여 곰취 compound의 항산화 활성을 분석한 결과, 인제산 곰취 50% EtOH 추출물과 유사하게 compound 4, 5 (isochlorogenic acid B, isochlorogenic acid C)의 농도에 따라 높은 DPPH 라디칼소거능(89.76%, 92.72%)과 ABTS 라디칼 소거능(99.09%, 98.95%)이 관찰되었고, ORAC assay에서도 compound 4, 5에서 각각 362.56±5.91 μM TE/g, 362.35±1.92 μM TE/g으로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산지별 곰취 50% EtOH 추출물 가운데 인제산 추출물이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유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인제산 곰취 추출물에는 높은 항산화 활성 성분(compound 4: isochlorogenic acid B, compound 5: isochlorogenic acid C)이 함유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결과는식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곰취의 항산화 활성을 보유한 기능성 소재로서의 활용을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Ligularia fischeri (LF) (Ledebour) Turczaninow (Compositae) has been used as a medicine to treat erysipelas, scarlet fever, and rheumatic arthritis in traditional eastern Asia including Korea, China, and Japan.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oxidant effect of LF using a variety of in vitro systems, DPPH, ABTS, and ORAC. To assess and compare the anti-oxidant effect and production places of LF, the ethanolic extract of LF from different places in Korea (Taebaek, Jeongseon, Yanggu, Pyeongchang, and Inje) were prepared. However, only the extract from Injecounty did have anti-oxidant activity, while other extract had little or no anti-oxidant activity. In addition, the compounds of LF ethanolic extract from Inje-area, such as chlorogenic acid, neochlorogenic acid, isochlorogenic acid A, isochlorogenic acid B, and isochlorogenic acid C were investigated in the same analysis. Isochlorogenic acid B and isochlorogenic acid C were the best effect of anti-oxidant among these compounds. Taken together, these findings provide the first description of anti-oxidant activities of LF from different production places in Korea, and suggest that LF from Inje-area has anti-oxidant effect.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환경예술로서 현대 꽃예술의 공간연출 특성에 관한 연구

        이재연(Jai Yun Lee),김동찬(Dong Chan Kim)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4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0 No.2

        자연친화적인 디자인이 부각되면서 꽃예술에서도 환경성은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현대의 꽃예술이 공간연출을 통해 환경예술의 한분야에서 이바지하고 있는 것에 의의를 두었다. 본 연구는 일본 현대 꽃예술의 대표적 유파로 환경예술을 지향하는 초월(草月)을 선정하여 공간연출의 특성을 파악하는데 있다. 2001년도부터 2011년도까지 대표가원 데시가하라 아카네와 역대가원들의 작품을 년도별 전람회 도록과 격월발행 잡지의 작품사진을 표출하였다. 문헌고찰과 공공(公共)공간의 공간연출 유형에 의한 특성, 조형요소, 년도별 공간연출 경향에 따른 분류기준에 의해 분석되었다. 연구의 분석결과 공간연출의 유형에서 설치장소는 녹지공간의 문화적 message를 담은 문화의 공간인 공원에서 32%정도로 가장 많이 연출되었다. 설치형식은 이케바나 설치가 용이한 바닥형이 93%정도로 매우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공간연출의 조형요소에서 구성은 직·곡선이 혼합된 구성이 61%정도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데 이는 비교효과와 힘찬 생동감을 표현하려는 의지가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형태는 추상형태가 77%정도의 높은 비율로 연출되었는데 이는 초대가원의 교육이념에 의한 영향을 받고 있다. 색채는 이색조화 42%, 다색조화 21%정도 순으로 나타났다. 소재는 초월을 상징하는 대나무가 전체작품의 72% 정도를 차지하며, 대나무 소재사용에 의한 기법에서는 56%정도로 통·절개를 혼합하여 반복과 통일된 형태로 자연과 작품이 유기적으로 상호 공존하는 관계로 환경성이 강조되었다. 년도별 공간연출에서도 유형별 연출은 공원에서, 조형요소별 연출은 직·곡선과 추상형태, 이색조화와 대나무 사용에 의한 통·절개 등이 높은 비율을 보이고 있다. 특히 2002년도와 2005년도에는 인근색 조화를 사용한 도심의 거리 디스플레이로 초월의 이미지를 부각시켰다. 초월의 이케바나는 지역의 특성을 지닌 요소를 적극적으로 사용하여 환경보존은 물론 이케바나를 통해 생활공간을 보다 아름답고 쾌적하게 할 수 있는 문제에 초점을 두고 미학적인 측면과 더불어 대중적인 환경예 술을 지향하며 환경예술에 이바지하고 있다.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Vol.20, No.2 June. 2014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470 목차 Abstract In floral art, environmental aspect plays a very significant rol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duce a modern flower art space in the field of the environment by contributing to the artistic significance of what was placed. This study is representative of modern Japanese floral art schools oriented to the environment beyond the arts Sogetsu to select the area to be direct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a representative masters of floral art master from 2001 until 2011 and the works by Iemoto Teshigahara Akane. and the works by masters of floral art in history Iemoto’s Influence examines the photos of works in the exhibition catalogs by year and the magazine Ikebana Sogetsu. Literature and public by type of production space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formative elements, the yearly trend in production space was analyzed by classification. The result of study showed that among space installation types, a high proportion for the place of installation was found in the park. park is a space of culture that has cultural message, 32% green space. There was also a high proportion of the installation type found in ground-type which was 93% of installation that is easy to install. Among the formative elements of space installation, organization showed the interest in comparative effect and the will to express energetic liveliness with the combination 61% of straight line and curve. In shapes, for 77% of abstract shapes showed the influence of the philosophy of education of the first master of floral art. As for color, combination of two colors was 42% and combination of multi-color was 21%. And as for materials, bamboo which symbolizes Sogetsu accounted for 72% of all the works. As for technique in using the material, combination of log and incised bamboo withe shape of repetition and unity was used. This emphasized the environmental effect by creating the organically co-existing relation between nature and works of art. As for space installation according to each year, there were the same proportion of works in installation according to the type and installation according to the formative elements. Especially in 2002 and 2005. The image of Sogetsu was highlighted by displays on streets in downtown using combination of adjacent colors. In the age of cultural pluralism, Ikebana of Sogetsu is installation in public spaces by actively using for a long time elements. It focuses not only on environmental preservation, but also on making the living space more beautiful and pleasant. Through Ikebana’s environmental space, people of all ages and both sexes can communicate through the and is oriented toward aesthetic aspects as well as toward popular environmental art that highlights spiritual discipline and contributes to environmental art.

      • 미술관 전시공간의 벽면 색채디자인 제안

        이재연(Jaeyeon Lee),이윤진(YounJin Lee) 한국색채학회 2020 한국색채학회 학술대회 Vol.2020 No.11

        미술관의 역할이 달라지고 있다. 일방적인 소통의 형태에서 관람자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는 형태로 변해가고 있으며 이에 따라 미술관은 전시의 의도 및 목적을 관람자에게 충분히 이해시키고, 다양한 해석의 장을 이끄는 역할이 요구된다. 전시품의 배경이 되는 전시공간 벽면의 색채 디자인 계획은 효과적인 소통의 수단으로 역할을 기대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전시공간 벽면 색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을 밝혀내고 효과적인 전시공간 실내 색채디자인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이미지 스케일을 통한 이미지 비교와 색상, 색조, 배색기법으로 나눠 분석한 색 비교를 통해 벽면 색과 전시품의 관계를 알아보았고, NCS 색 분석 도구를 통해 벽면 색의 분포도를 보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이미지 스케일분석보다는 색 관계 분석에서 더 명확한 결과물이 나타났으며, 그중 벽면 색과 전시품의 색은 색상의 대조 관계가 70%의 비중을 차지하고, 유채색 전시품의 경우 톤인톤 배색은 76%의 비중을 차지했다. 이미지 스케일 분석에서는 두 가지 분석 모두 유사 관계가 반수에 가까운 결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가 전시공간 실내 색채 디자인 계획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