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우리 ‘삶터’, 콘텐츠의 매체가 될 수 있을까?

        이재민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22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학술대회 Vol.2022 No.6

        이 글은 우리의 지역·마을·거리와 같은 삶터가 문화콘텐츠의 매체로서 기능과 특성, 이것이 품고 있는 가치와 의미를 고찰하기 위한 시도이다. 문화콘텐츠는 문화적 소재의 가공, 이를 담는 그릇으로서 매체와 이와 체화한 무형의 결과물로 정의될 수 있다. 문화콘텐츠가 등장할 시기 매체는 주로 디지털 영역에 국한되었으나, 최근에는 공간·건축 등 다양하게 결합하여 나타나는 경향이다. 이 같은 상황에서 우리의 삶터와 체화하여 나타나는 지역문화콘텐츠의 매체로서 지역·마을·거리와 같은 공간이 품는 가치와 의미를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해 삶터를 세분화하여 사례를 적용하였으며, 세종특별자치시·칠곡군 인문학마을 어로리·김광석 다시 그리기 길의 사례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지역문화콘텐츠의 매체로서 우리의 삶터는 주민의 문화적 실천의 공간으로서 기능하고, 원도심의 재생을 통한 관광공간으로서 특성이 나타나면서, 지역정체성 창출과 구현 공간으로서 기능함을 밝혔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이 연구의 결론으로 지역주민의 적극적인 참여와 활동을 전제로 하고, 이를 통해 건전한 공동체성의 회복을 도모할 수 있음을 결론으로 제시하였다.

      • KCI등재

        ‘할머니 연극단’의 활동을 통한 지역문화콘텐츠 구현전략

        이재민 인문사회 21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2

        세계화로 인한 국가경계가 옅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지역특수성을 기반으로 하는 지역문화콘텐츠가 점차 중시되고 있다. 본 연구는 지역문화콘텐츠를 구현하기 위한 전략을 분석하고자 했으며, 이를 위해 칠곡군 어로리보람할매연극단을 사례로 문화기술지 방법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보람할매연극단의 조직 이후에 이들을 주요 콘텐츠로 하는 마을축제를 개최하고, ‘노인 연극’을 주요 콘텐츠로 설정하면서 다양한 콘텐츠의 변주를 통한 전략을 실천하였다. 둘째, 할머니연극단의 지속가능성을 제고하기 위해 미래세대로 원활한 전승을 시도하고 있었으며, 셋째, 행정기관과의 효율적인 소통 체계를 마련하여 지역문화콘텐츠를 구현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문화시설을 조성하고 주변마을과 연계협력 활동을 통해 지역문화콘텐츠를 구현하였다. 이 연구에서 지역문화콘텐츠는 지역정체성을 형성하기 위해 중요하며, 이를 위해 지역주민과 행정기관의 선순환체계의 구축이 중요하다는 점을 결론으로 제시하였다. Local cultural contents based on specificity are increasingly valued in a situation where the national boundaries are weakening due to globaliz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rategy for realizing local cultural contents, and for this purpose, the culture technology method was conducted using the case of the Boram Grandma Theater Community in Chilgok-gun. Research Results First, after the organization of the Boram Grand Theater Community, a village festival was held with these main contents, and “Old plays” was set as the main contents, and strategies were implemented through variation of various contents. Second, in order to enhance the sustainability of the grandmother theater community, it was attempting a smooth transmission to future generations. Third, it tried to realize a local cultural content by establishing a smooth communication system with administrative agencies. Finally, cultural facilities were created and local cultural contents were realized through cooperation activities with surrounding villages. In this study, it was concluded that regional cultural contents are important to form regional identity, and for this, the establishment of a virtuous cycle system of local residents and administrative agencies is important.

      • KCI등재
      • KCI등재

        로봇 주행을 위한 아웃도어 환경에서의 노면 인식 시스템

        이재민,서민석,이상우,최동걸 한국차세대컴퓨팅학회 2021 한국차세대컴퓨팅학회 논문지 Vol.17 No.4

        오늘날 정확한 노면 인식 시스템 구축을 위해서는 딥러닝 기반의 의미론적 객체분할 기술의 적용이 필수적이다. 하 지만 실세계에서 충분히 존재할 수 있는 야지 장면에서 노면인식을 위한 의미론적 객체분할 데이터 셋은 아직까지도 개발되지 않았고, 그렇기 때문에 의미론적 객체분할 기술이 야지 노면 인식 시스템에서 적용된 연구 사례도 매우 적 다. 우리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야지 환경에서의 노면 인식 데이터 셋을 구축하고, 지금까지 적용되지 못했던 의미론적 객체분할 기술들을 적용 및 최적하고 분석한다. 실험 결과 우리는 우리의 야지 노면 인식 데이터 셋에서 980FPS의 연산속도로 89.34 mIoU를 달성하였다. Embedding technology into robot platforms is a very challenging task. In this work, we study a realistic road recognition system based on deep learning for robot embeddings. In particular, deep learning-based road recognition research is accessible with semantic segmentation techniques. However, Semantic segmentation datasets for road recognition also do not exist, and there are very few related studies. For this reason, developing algorithms for real-world platform configurations becomes very difficult. To solve problem, we build our own road recognition dataset in an outdoor environment and describe and analyze the realistic issues encountered while learning Road Recognition algorithms. Furthermore, we apply acceleration methodologies that are essential for robot embedding. As a result, we achieve road recognition accuracy of 89.34 mIoU and computational speed of 980 FPS.

      • 국민생활 안전 지킴이 생활안전지도 서비스 확산 추진 연구

        이재민,김태환 한국재난정보학회 2016 한국재난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16 No.11

        본 논문에서는 우리가 사는 동네의 안전현황에 대하여 국민안전처가 제공하는 생활안전 지도서 비스를 통해 혹시 모를 사고와 범죄 예방은 물론, 신속한 대응을 해야 하나, 각종 서비스는 부처 별로 재난안전정보를 개별 분산적 관리한 탓에 국민에게 생활주변의 다양한 안전정보를 제공하 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현재 생활안전 지도 서비스에 대한 실태를 살펴보고 비교분석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Treadmill Exercise Improves Motor Function by Suppressing Purkinje Cell Loss in Parkinson Disease Rats

        이재민,김태운,박상서,한진희,신말순,임백빈,김상훈,백성수,조영삼,김계환 대한배뇨장애요실금학회 2018 International Neurourology Journal Vol.22 No.S2

        Purpose: Rotenone is the most widely used neurotoxin for the making Parkinson disease (PD) animal model. The neurodegenerative disorder PD shows symptoms, such as slowness of movements, tremor at resting, rigidity, disturbance of gait, and instability of posture. We investigated whether treadmill running improves motor ability using rotenone-caused PD rats. The effect of treadmill running on PD was also assessed in relation with apoptosis of cerebellar Purkinje cells. Methods: Treadmill running was applied to the rats in the exercise groups for 30 minutes once a day for 4 weeks, starting 4 weeks after birth. We used rota-rod test for the determination of motor coordination and balance. In this experiment, terminal deoxynucleotidyl transferase-mediated dUTP nick end labeling (TUNEL) staining, immunohistochemistry for calbindin, glial fibrillary acidic protein (GFAP), Iba-1, and western blot analysis for Bax and Bcl-2 were performed. Results: Treadmill running enhanced motor balance and coordination by preventing the loss of Purkinje cells in the cerebellar vermis. Treadmill running suppressed PD-induced expression of GFAP-positive reactive astrocytes and Iba-1-positive microglia, showing that treadmill running suppressed reactive astrogliosis and microglia activation. Treadmill running suppressed TUNEL-positive cell number and Bax expression and enhanced Bcl-2 expression, demonstrating that treadmill running inhibited the progress of apoptosis in the cerebellum of rotenone-induced PD rats. Conclusions: Treadmill running improved motor ability of the rotenone-induced PD rats by inhibiting apoptosis in the cerebellum. Apoptosis suppressing effect of treadmill running on rotenone-induced PD was achieved via suppression of reactive astrocyte and inhibition of microglial activ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