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구논문 : 왕필의 본무론

        이재권 ( Jae Kwon Rhee ) 한국동서철학회 2014 동서철학연구 Vol.72 No.-

        위진현학사에서 왕필은 귀무론의 대표적 인물로 분류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에 그의 학문을 본무론이라고 규정하는 소수의 학자들이 등장했다. 왕필의 학문은 귀무론인가, 본무론인가? 아니면 귀무론과 본무론이 같은 의미인가? 이 논문은 귀무론과 본무론의 개념과 의미를 정립하고 왕필의 학문을 다시 정리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귀무론은 배외가 만들어낸 말이다. 본무론은 하후현이 만들어낸 말이다. 먼저 만든 본무론이라는 용어는 역사에서 사라지고, 뒤에 만든 귀무론이라는 용어만이 사용되어 왔다. 배외는 귀무론의 대표적 인물로 하안·완적·왕연을 거명했다. 그러나 뒷날의 학자들은 오히려 왕필을 귀무론의 대표적 인물로 지목했다. 논자는 왕필이 본무론자라고 규정하고 그 이유를 밝혔다. 이것이 이 논문의 핵심이다. 귀무론은 도가의 유무론의 영역으로, 무를 중시하고 유를 천시하는 이론이다. 본말론은 유가의 주제이다. 본무론은 유무론과 본말론을 결합한 이론이다. 본무론은 무가 곧 근본이라는 것이다. 이것은 유학과 도학을 절충한 이론이다. 왕필은 실천철학, 즉 자연과 명교의 문제에서도 양자를 절충했다. 도가를 계승한 귀무론자들은 무를 중시하고, 유가를 계승한 유자들은 근본을 중시한다. 그런데 왕필은 무를 중시하면서도 유를 무시하지 않고, 근본을 중시하면서도 말단을 끌어안았다. 이처럼 왕필의 사상은 포용성이 뛰어난 사상이다. 이것이 왕필 사상의 특징이다. Wangpil(王弼) had been classified as the representative person, advocating ``the theory of respecting nothing(貴無論)``, in the history on Wi and Jin Study of Mysteries(魏晉玄學史). But, recently, some researchers advocated Wang was the assertor said ``the theory that nothing is the fundamental origin(本無論).`` What is Wang`s theory? In other words, is his philosophy ``the theory of respecting nothing`` or ``the theory that nothing is the fundamental origin``? And, are the former and the latter same meaning? This paper aims to solve these problems, and so to readjust his philosophy. The former words was created by Baeoi(裴위), and the latter words by Hahuhyun(夏侯玄). The latter words, really was made earlier, had been disappeared, but former words had been only used. Bae indicated the representative scholars of ``the theory of respecting nothing`` as Haan(何晏), Wanjeok(阮籍) and Wangyun(王衍). After Bae, but, scholars pointed the representative person of that theory as Wangpil. This paper prescribe Wangpil as philosopher of ``the theory that nothing is the fundamental origin.`` That is key point of this essay. ``The theory of respecting nothing`` is Taoism`s fields of ``theory about existence and nonexistence.(有無論)`` And, ``the theory of the root and the branches- leaves(本末論)`` is Confucianism`s topic. ``The theory that nothing is the fundamental origin(本無論).`` is linked together by the latter and the former. That is to say, this theory is compromised philosophy to Taoism and Confucianism. Wang compromise the ``Nature(自然)`` and ``Confucian religion(名敎).``Taoism followers, the ``the theory of respecting nothing`` advocators, took ``the nothing`` very seriously. But, Confucianism followers took ``the root`` very important. Wang possessed the capacious mind. He regarded ``the nothing`` and ``the root`` as important. But, He didn`t consider ``existence`` and ‘the branches-leaves’ as trivial. This characterize Wangpil`s philsophy.

      • KCI등재

        왕필의 『논어』해석

        이재권 ( Jae Kwon Rhee ) 한국동서철학회 2012 동서철학연구 Vol.63 No.-

        이 논문의 목적은 왕필의 「논어석의」를 분석하여 그의 「논어」해석에 관한 내용을 체계적으로 정리하는데 있다. 중국철학의 역사는 주석의 역사이다. 「논어석의」는 「논어」의 주석서이다. 왕필은 「논어」를 주석하면서 일상적이고 인간적인 차원에서 말한 공자의 도를 도가의 형이상학적인 도로 해석했다. 뿐만 아니라 도를 무와 자연으로 해석했다. 또한 그는 공자가 윤리적 차원에서 말한 언어와 名을 명가와 도가의 논리로 바꾸어서 해석했다. 그래서 공자의 인간적이고 도덕적인 언어가 왕필의 심각한 언어철학으로 바뀌었다. 이와 같이 왕필은 「논어」를 도가적으로 해석함으로써 공자와 유학사상을 형이상학화시켰다. 중국철학에서는 가장 이상적인 인간을 聖人이라고 부른다. 왕필은 공자를 성인으로 생각했다. 그런데 왕필이 생각한 성인 공자는 유가적 성인이 아니라 도가적 성인이다. 왜냐하면 왕필의 성인은 無를 체득한 인물로 묘사되기 때문이다. 왕필은 공자가 무를 체득했으므로 성인이라고 생각했다. 그리고 하안을 비롯한 당시의 많은 학자들은 성인은 본성을 갖고 있지만 감정을 갖고 있지 않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왕필은 성인도 감정을 갖고 있다고 생각했다. 왕필은 인간의 본성은 선과 악을 초월하지만, 감정은 욕심 때문에 사악함으로 흐를 가능성이 있으므로 본성이 감정을 제약하고 조절해주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왕필은 정치론에서도 유학과 도학의 절충을 시도했다. 당시의 혼란한 정치사회적 상황을 종식시키기 위해서는 유가적 名敎를 주장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가식적인 명교를 순수한 명교로 바꾸기 위해서는 도가의 자연에 바탕을 두어야한다는 것이다. 또한 당시의 어지러운 상황에서 본말의 질서가 무너졌는데, 근본을 바로 세워서 말단을 통제함으로써 질서를 바로 잡고 혼란과 분열을 종식시키고자 하였다. 왕필의 「논어」해석은 원문의 뜻과 잘 부합되는 부분도 있고, 도가적 해석을 하여 원문의 뜻과 부합되지 않는 부분도 있다. 그는 「논어」해석에 도학을 끌어들여 형이상학화시켰다. 그래서 유학을 왜곡시킨 면이 많지만, 그것이 유학의 내용과 영역을 확장시키는 계기도 되었다. Wang-Bi`s 「Lunyushiyi」, the book of annotation on 「Lunyu to be analysed and organized systematically in a new perspective. The history of Chinese philosophy might be considered as the history of annotation. When an annotator tries to comment on some books, he is affected by his contemporary socio-polical condition and situation. When Wang-bi tries to interpret 「Lunyu」, the period was between Han dynasty and Wei-jin, so there was much change and confusion in thought and philosophy. Scholars who have got a big blow in the two Danggushijians began to study Qingtan instead of Qingyi. They gave up the stuides of Chinese classics for the Xuanxue. Metaphysics was being magnified in the socio-political interest of the Confucianism and Taoism. Wang-Bi interpreted the concept of Tao in the Confucian which was ordinary and humane in origin into metaphysical Tao of the Taoism. The concept of Tao is also interpreted into Mu and the Nature itself. Wang-Bi applied this method to the interpretation of the 「Lunyu」, too. Many concepts and terms which Confucius describes as ethical was translated into Taoistic and Logical philosophies. The moral disciplinary concepts also interpreted into serious linguistic philosophy by Wang-Bi. To sum up, Wang-Bi made Confucianism into metaphysics by Taoistic interpretation of the 「Lunyu」. Wang-Bi saw Confucius as the saint, the most ideal man, not in a Confucian meaning but in a Taoistic meaning because he thought Confucius acquired Mu, the mind of nothing. Scholars at that time including He-Yan tended to think that the saint only has the human nature without any emotional feeling. However Wang-Bi was different. He thought that human nature that is beyond the good or bad is supposed to control human emotion that is greedy and leads to the wicked. In his politics, he also tries to compromise Confucianism and Taoism. The teaching of Confucius (the teaching of moral principles), is considered important to eliminate a chaotic state of the socio-political affairs at that time. It is necessary for him to start from the Taoistic Nature for real teaching. His trial was thought to be helpful to rebuilt the order of ``essence-end`` to control the ``end`` and to get rid of the social confusion and segmentation. Wang-Bi`s Taoistic interpretation of the Confucianism sometimes matches up with the original context of 「Lunyu」, but sometimes it doesn`t. His trial might distort the Confucianism in a sense, but it gave a metaphysical meaning to the Confucianism and enlarged the meaning of the Confucianism as a result.

      • KCI등재

        노자철학에서 현실인간에 대한 비판

        이재권 ( Rhee Jae-kwon ) 한국동서철학회 2018 동서철학연구 Vol.0 No.87

        노자철학은 현실비판으로부터 출발하여 이상사회[小國寡民]와 이상적 인간[聖人]이 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노자가 비판하는 현실은 사회·정치·통치자·언어·행위 등 다양하다. 그 모든 것의 중심은 인간이다. 그러므로 노자의 현실비판의 시작과 핵심은 현실인간이다. 노자가 비판하는 현실인간은 관리[士]·통치자·보통사람 등 세 부류이다. 이 논문에서는 이 세 부류의 사람들에 대한 비판적인 내용만을 다루고, 이상적 인간에 대한 내용은 언급하지 않았다. 춘추시대의 사(士) 계층은 주나라의 하급관리 출신들이다. 주나라의 멸망으로 실직자가 된 지식인들은 다시 제후국의 관리로 등용되거나 민간에 지식을 전수하여 먹고 살았다. 이 과정에서 순수한 진리[道] 탐구보다는 실용적인 지식의 탐구가 중심을 이루었다. 출세의 수단인 실용적 지식은 당시 사람들에게 부러움의 대상이었다. 이런 지식을 팔고 사는 과정에서 많은 왜곡과 문제점이 발생하므로 노자는 그 주체인 지식인들을 비판한 것이다. 현실인간 중에서도 노자가 집중적으로 비판한 부류는 통치자이다. 왕정시대에 모든 것의 중심은 왕(통치자)이기 때문이다. 춘추시대의 통치자들은 전쟁을 통하여 타국을 정복하려고 혈안이 되어 있었다. 그들은 백성들에게 병역뿐만 아니라 무거운 세금을 부과했다. 세금은 군자금과 더불어 자신들의 사치생활을 위해서도 사용되었다. 그리고 수월한 통치를 위해서 법을 앞세운 강압과 폭력을 휘둘렀다. 노자는 이런 무자비한 통치자들에게 신랄한 비판을 퍼부었다. 노자는 보통사람들과 인간 일반에 대해서도 비판했다. 인간이 문제를 일으키는 이유 중의 하나는 몸[身]을 가졌기 때문이다. 몸은 육체적 욕구를 가지고 욕심을 일으킨다. 또 다른 욕심은 정신적 욕망이다. 인간은 권력과 재물에 대한 욕심뿐만 아니라 강한 명예욕을 갖고 있다. 명예를 지키려고 가장 소중한 목숨까지도 바친다. 그리고 인간이 추구하는 것 중의 하나는 가치이다. 노자의 입장에서 보면 가치는 상대적인 것인데, 그것을 차지하려고 다툰다. Lao Tzu Philosophy begins with the criticism of reality. The destination is Ideal society and Ideal Human Being [Saint]. The reality he criticizes is diverse; including society, politics, ruling, language, and human behavior. The center of it all is the Human Being. Therefore, the beginning and the core of Lao Tzu's criticism of reality is the Human Being. Lao Tzu criticizes human beings in three categories: government official [士], ruler, and ordinary people. In this paper, we deal only with the criticism of these three kinds of people and do not mention ideal human beings. The officials come from the subordinate government officials of the Zhou Dynasty in the Warring States period. These intellectuals, who became unemployed due to the fall of the Zhou Dynasty, were reincarnated as the government officials of the sovereign Princely States and lived on the transfer of knowledge to the private sector. In this process, the exploration of practical knowledge was focused on, rather than the quest for pure truth. Practical knowledge, a means of success, was an object of envy to the people at the time. Lao Tzu criticized the subjects, intellectuals, because many distortions and problems arise from the process of buying and selling such knowledge. Among the human beings, the people that Lao Tzu criticized most intensively were rulers. The center of everything in the period of monarchy was the king (ruler). The rulers of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were trying to conquer other countries through war. They charged the people with heavy taxes as well as military service. Taxes had also been used for their personal luxuries, in addition to military funding. And he accused them of using coercion and violence for easy governance. Lao Tzu poured acidic criticism on these ruthless rulers. Lao Tzu also criticized ordinary people and the general public. One of the reasons why the Human Being causes problems is because it has a body. The body is greedy with physical desire. Another form of greed is mental desire. The Human Being has a strong sense of honor as well as greed for power and wealth. He devotes his most precious life to honor. And one of the things Human Being seeks is value. From Lao Tzu's point of view, value is relative, and it is contested to take it. On the other hand, living things are soft and dead ones are hard. Ordinary people are stiff and closed. Lao Tzu criticized these points of ordinary people and human beings in general.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연구논문 : 춘추시대의 본말관 -관자의 경제적 본말사상을 중심으로-

        이재권 ( Jae Kwon Rhee ) 한국동서철학회 2013 동서철학연구 Vol.68 No.-

        본말론은 중국철학의 전통적인 철학적 주제 가운데 하나이다. 본말론은 춘추시대부터 시작된 사상이다. 본말론의 기원은 『춘추좌전』과 『관자』에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이 논문은 춘추시대의 대표적 사상가인 관자의 본말관을 고찰한 것이다. 관자의 본말관은 경제적 본말관과 정치적 본말관으로 나누어지는데, 이 논문에서는 경제적 본말관을 집중적으로 다루었다. 관자의 경제적 본말관은 토지·농업·농업정책·경제정책·상공업 등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관자의 경제적 본말관에서는 주로 근본에 대한 논의가 많고, 말단에 대한 논의는 적다. 관자의 본말관에서 경제적 근본은 농업이 핵심이다. 여기에 토지 문제가 약간 첨가되었다. 농업이 경제의 근본인데, 여기에는 농업 자체의 문제와 농업정책 및 곡물 가격 정책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에 비해서 경제적 말단은 상공업을 가리키는데, 언급된 내용이 적다. 관자학파의 주류는 중농주의이다. 그래서 重農抑商, 重本抑末을 주장한다. 생산성이 낮은 고대사회(춘추시대)에서 농업은 국가의 기간산업이다. 식량이 안정적으로 확보되어야 국민의 삶과 국가 질서가 확립되고, 도덕적인 사회가 될 수 있다. 농사를 짓기 위해서는 먼저 토지를 개간해야 한다. 넓은 농토에 농사를 지어 농산물 수확이 많아야 인구가 늘어나고 군사력이 강해진다. 그래야 외국과의 전쟁에서 승리할 수 있다. 그 결과 국토를 확장할 수 있고 천하를 통일할 수 있다. 이 모든 것의 기초가 농업이다. 그런데 사치품을 생산하여 유통시키면 사회질서가 무너진다고 보았다. 그러므로 관자는 상공업을 경제적 말단으로 규정하고 억압 정책을 제시한다. 다만 관자학파의 일부 비주류 사상가들은 상공업의 중요성을 역설했다. The theory of Essence-End is one of the traditional philosophical theme in Chinese philosophy. This theory was originated at the period of Chunqiu. The record on its origin traces back to the book of 「Chunqiuzuoshizhuan」, and 「Guan-Zi」. This article considers the theory of Essence-End of Guan-Zi carefully who is a representative thinker of the period of Chunqiu. Guan-Zi`s theory of Essence-End is analysed by two main sub-theory, that is economic theory of Essence-End and political theory of Essence-End. I tried to focus a discussion on the former in this study. Guan-Zi treated the matter of land, agriculture, agricultural policy, economic policy, and commerce and industry, etc. in his economic theory. He treated the ``essence`` a lot more than the ``end`` in his book. Agriculture is considered as a primary essence, while land is treated as a secondary essence. He deals with agriculture in itself, agricultural policy, and the policy about grain prices. The ``end`` in his theory is commerce and industry, which he made little mention of. The mainstream in the school of Guan-Zi is physiocracy. He insisted that agriculture should be supposed to recommend while commerce and industry be supposed to suppress. Agriculture is considered as a key industries in ancient Chunqiu, which features a period of low productivity. That is because securing stable foods was critical in people`s life and national order at that period. He pointed that bring land under cultivation is the first work to do, which is for rich farming, increasing population and strong military. These are for winning the war against foreigners, enlarging territory, and as a result, unifying a whole country. He mentioned that agriculture is the first for all of these.

      • KCI등재

        왕필의 형명론 -철학방법론적 관점에서-

        이재권 ( Jae Kwon Rhee ) 한국동서철학회 2015 동서철학연구 Vol.77 No.-

        왕필은 중국철학사에서 가장 많은 방법론을 제시한 인물이다. 형명론은 왕필의 다양한 철학방법론 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형명론은 왕필이 처음 제시한 방법론은 아니다. 이것은 멀리는 선진도가, 그리고 한나라 황로학자들 가운데 일부가 즐겨 사용한 방법론이다. 왕필은 선배학자들의 사상을 계승하여 이것을 자신의 사상을 전개하는 중요한 방법론의 하나로 삼았다. 형명론은 형(形)과 명(名)의 관계를 탐구한 이론이다. 왕필은 형체가 먼저 존재하고 그것에 이름을 부여한다고 말한다. 그는 그 반대의 경우는 인정하지 않는다. 형은 궁극적 존재인 도로부터 말미암아 생겨나고 길러지고 완성된 개별적 존재이다. 다양한 형체를 구별하기 위해서 인간은 각각의 형체들에게 서로 다른 이름을 지어서 붙여준다. 이름은 특정한 형체를 다른 형체와 구별되도록 그것의 특성을 드러내고 한정하는 규정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이름이 존재하지 않으면 형체를 가진 만물의 실상과 이치를 논의할 수 없다. 그러나 이름은 완벽하지 않고 한계를 가진다. 왕필은 명의 도구적 유용성과 불완전성이라는 이중성에 대하여 깊이 천착하고, 이름에 집착하지 말라고 경고한다. 왕필은 방법론을 벗어나 정치적이고 도덕적인 차원의 명과 법률적인 형(刑)에 대해서도 약간의 언급을 한다. 전자는 유가의 상명주의(尙名主義)를 비판하는 것이고 후자는 법가의 엄형주의(嚴刑主義)를 비판하는 것이다. 유가는 명예와 명분을 중시하는데 이것은 지나친 경쟁을 유발하여 공동체의 안정성을 훼손한다고 비판한다. 법가는 엄격하고 세밀한 기준을 정해서 단속하고 차별을 함으로써 백성들을 공포 속으로 내몬다. 그러나 그럴수록 거짓과 속임수만 늘어날 뿐이다. 왕필은 인간의 순진함과 진실성을 바탕으로 통치하고 생활해야 좋은 나라를 만들 수 있다고 주장한다. Thers is no one who suggests methodology more than Wangbi(王弼) in chinese history of philosophy. A Theory of XING-MING is one of his philosophical Methodologies. However it is not initially proposed by him. It is from the Early Chinese Taoism(先秦道家) and some of Huang lao-Taoists(黃老學者) in Han dynasty who enjoy to use this methodology. Wang Bi succeeded to the thought of senior scholars and made it as one of his own important methodology to develope his idea. A Theory XING-MING is the theory which is stud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XING(形) and MING(名). Wang Bi suggested that The Form is being first and the name is given to it. But he did not approve of the opposition. The form is the individual presence which is springing up, raised and completed from the ultimate being, Tao(道). In order to distinguish the various forms, human being made a name to a form respectively. Name(名) has the regulation which reveals the characteristic and defines to be distinguished from the specific form and other form. Therefore, if the name does not exist, we can``t discuss the reality and reason about all things with shapes. However, the name is not perfect and has a limit. Wang Bi warned not be obsessed to the name but to deeply inquire about the duality of name. Wang Bi mentioned not only methodology buy also Ming(名) as Political and moral dimension and Xing(刑) as legal term. For the former, he criticized Chang Ming Zhuyi(尙名主義) from Confucianism, while for the latter, harsh laws and severe punishments from Fajia School(法家). He criticized that Emphasis of Confucianism on honor and justification caused excessive competition and it undermined the stability of the communities. He also criticized Fajia(法家) that they made rigorous and detailed standards, which led the people to fear through crackdown and discrimination and which increases only lies and deception in doing like that. So Wang Bi suggested that the nation should be governed on the basis of human innocence and sincerity for the better country.

      • KCI등재

        노자의 학문에 대한 비판 사상

        이재권 ( Rhee Jae-kwon ) 한국동서철학회 2020 동서철학연구 Vol.0 No.97

        『老子』 제1장 有欲과 無欲의 ‘欲’은 의식지향성을 의미한다. 이때의 ‘욕’은 앎에 대한 지향성이다. 노자는 유욕의 결과 경험적 지식이 획득된다고 보며, 그러한 경험적 지식을 긍정한다. 노자는 이러한 인식방법을 통해서도 도를 알 수 있다고 한다. 노자는 分別知와 학문에 대해서 비판적이다. 인간의 삶에 필수적인 경험적 지식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긍정하지만, 인간의 욕망이 개입된 문화나 가치와 관련된 분별지에 대해서는 부정적이다. 분별지를 쌓는 것을 학문이라고 하는데, 노자는 학문이 인간을 괴롭힌다고 보므로 이를 비판한다. 노자는 그 대안으로 자신의 새롭고 또 다른 배움의 관점을 제시한다. 그것은 기존의 학문을 배우지 않는 것을 배우라는 역설적 배움관이다. 새로운 분별지를 더 많이 쌓는 것이 아니라, 기존에 갖고 있던 분별지와 학문을 끊고 허물고 비우고 버리는 방법을 배우는 것이 노자의 새로운 또 다른 배움관이다. In 『Lao-tzu』’s Chapter 1 ‘desire’ of be-desire and non-desire means conscious orientation; ‘desire' is the orientation to knowledge. Laozi believes that as a result of be-desire, empirical knowledge is acquired. And he affirms that same empirical knowledge. Lao-tzu is critical of discrimination and scholarship. It is positive towards the need for empirical knowledge, which is essential to human life, but negative for discernment beyond the need for culture or value. The latter is called discipline, and Lao-tzu criticizes discipline because he thinks discipline degrades humans. As an alternative, Lao-tzu offers his new perspective of learning. It is a paradoxical academy: to learn to not learn the old school. Another new view of discipline for Lao-tzu is not to build up more new knowledge, but to learn how to cut, tear, empty, and throw away existing knowledge and scholarship.

      • KCI등재

        노자철학에서 몸과 마음 - 정신적 깨달음과 관련하여 -

        이재권 ( Rhee Jae-kwon ) 한국동서철학회 2021 동서철학연구 Vol.- No.99

        노자는 몸(육체)과 마음(정신)을 하나의 쌍개념(개념쌍)으로 사용하지 않았다. 따라서 『老子』에는 심신문제에 관한 일반이론은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논자는 정신적 깨달음의 관점에서 양자의 문제를 살펴보았다. 노자는 생명을 중시한다. 그래서 長生·攝生·益生 등 생명에 대해 직접적·적극적으로 언급을 하고 있다. 단어 자체의 의미로 보면 모두 육체적 생명을 중시하고 생명 연장을 강조하는 듯하다. 후대에 이런 관점으로 노자사상을 발전시킨 것이 도교이다. 노자가 목숨을 위협받는 전란의 시대를 살면서 육체적 생명을 중시한 것은 맞지만, 인위적으로 육체적인 不老長生 혹은 長生不死의 추구를 주장한 것은 아니다. 오히려 노자는 정신적인 不死를 추구한다. 그것은 역사에 기록되는 것이고 이것이 진정한 명예이다. 노자는 육체에 대해서 양면적 입장을 피력함으로써 육체가 도의 체득(깨달음)에 방해가 된다는 일방적 주장을 하지는 않았다. 노자는 마음(정신)에 대해서도 이중적 입장을 가지고 있다. 즉 그는 인간의 마음을 순수한 마음[虛心, 無心]과 불순한 마음 곧 常心(成心)으로 나누어 본다. 常心은 불순하고 오염된 마음, 편견과 아집에 물든 마음으로 욕망의 뿌리가 되어 깨달음에 방해가 된다. 이전의 학자들은 주로 이 측면만을 강조했다. 그러나 노자는 모든 인간에게 순수한 마음이 있음을 力說한다. 성인도 백성의 순수한 마음을 닮으라고 말한다. 인간은 이 순수한 마음으로 도의 체득(깨달음)을 얻을 수 있다. Lao-tzu did not use the body and mind (spirit) as a pair of concepts (concept pairs). Therefore, there is no general theory about mental and physical problems in 『Lao-tzu』. Nevertheless, the writer looked at both problems in terms of enlightenment. Lao-tzu values life. That is why he directly and actively mentions life such as long life (長生), care life (攝生), and beneficial life (益生). In the meaning of the words themselves, they all seem to value physical life and emphasize longevity. It is Taoism that developed the Lao-tzu ideology from this perspective in the future. It is true that Lao-tzu placed importance on physical life while living in the age of war in which his life was threatened, but he did not artificially insist on physical longevity or immortality. Rather, Lao-tzu pursued spiritual immortality, which should be recorded in history as a real virtue. Lao-tzu did not make a one-sided claim that the body hinders enlightenment by expressing a two-sided viewpoint on the body. Lao-tzu also has a dual stance on mind (spirit). In other words, he divides the human mind into Pure mind [虛心, 無心] and impure mind, that is, Fixed mind(常心, 成心). A Fixed mind(常心) is an impure and polluted mind, a mind stained with prejudice and ego, and becomes the root of desire and hinders enlightenment. Previous scholars mainly emphasized this aspect only. However, Lao-tzu emphasizes that all human beings have a pure mind. Even saints are said to resemble the pure mind of the people. Man can attain enlightenment by this pure mind.

      • KCI등재

        노자의 현실비판 사상

        이재권 ( Rhee Jae Kwon ) 한국동서철학회 2017 동서철학연구 Vol.0 No.83

        노자사상의 여러 특징 중에서 논자가 이 논문에서 주목한 것은 비판사상이다. 이 논문에서는 이론비판보다는 현실비판에 초점을 맞추었다. 당시는 혼란기여서 전쟁이 빈발했는데, 통치자들은 많은 적을 죽이고 넓은 땅을 빼앗으려고 혈안이 되었다. 노자는 이런 전쟁관을 비판한다. 가급적 희생을 줄이고 전쟁을 피하는 방법에 대해서 말한다. 노자는 당시의 통치자와 그들의 통치방법에 대해서도 비판한다. 노자의 핵심 사상이 제왕학 이지만, 이것은 왕의 사적 이익을 옹호하고 대변해주는 술수(術數)지학이 아니라, 백성의 입장에서 왕의 잘못을 비판하고, 백성을 위하는 정치를 하라고 주장하는 것이다. 인간이 문화적 존재가 될 수 있었던 까닭은 언어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화려하게 꾸민 말은 진실하지 않다. 그런 말이 세상을 어지럽게 하므로 노자는 이에 대해 비판한다. 또한 언어는 문화발전의 훌륭한 도구이지만 기능적 한계를 갖고 있다. 노자는 언어에 집착하는 태도에 대해서도 비판한다. 노자는 인간의 지나친 욕심과 억지스러운 행위, 즉 인위(人爲)에 대해서도 비판한다. 욕구나 욕망은 인간의 본성이지만 그것이 지나치면 많은 문제를 일으킨다. 지나친 욕심이 억지스러운 행위로 이어지고 갈등과 싸움으로 번진다. 그래서 노자는 무욕하라고 말한다. 노자는 인간의 자랑질에 대해서도 비판한다. 자랑하고 싶은 마음도 인간의 본성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이것 역시 지나치면 문제가 된다. 서로 자기 자랑하다가 싸움으로 발전한다. 그러므로 공을 세우고도 뽐내지 말고 뒤로 물러나라고 말한다.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은 무엇인가? 노자는 무욕의 방법을 제시한다. 무욕을 실천하는 사람이 성인(聖人)이다. 성인이 되면 인위적 행위를 하지 않고 무위를 한다. 평화롭고 정의로운 세상이 되려면 성인이 다스려야 하고, 수양을 쌓으면 성인이 될 수 있다. What the writer paid attention to in this paper among the several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Taoism) Laozi Thought is his criticism thought. This paper focused on the criticism of reality instead of criticism of theory. Many wars broke out because it was in the confused stage at that time, and the rulers were desperate to kill many enemies and conquer wide land. Laozi criticizes such view of war and talks about how to reducing sacrifices and avoiding wars as much as possible. Laozi also criticizes the rulers and their governing ways at that time. Laozi`s core thought is the emperor studies, but it does not advocate and represent the personal benefits of a king but rather criticizes the king`s wrong doings from the perspectives of people and tells him to govern and execute politics for people. Humans could become a cultural being because they use language. However, a gaudily decorated word is not truthful. Since such word disrupts the world, Laozi criticizes on this. Also, language is a great tool of cultural development but also has functional limits, Laozi criticizes the attitude of being obsessed with language. He also criticizes on the excessive greed and forced behaviors of humans, renwei(人爲) artifact behaviors. A greed or desire is in human nature, but it causes many problems if there is too many. Excessive greed leads to forced behaviors and develops into conflicts and fights. Laozi also criticizes human`s act of bragging. A desire to brag oneself is also human nature, but it also becomes a problem if there is too much of it. People brag themselves to each other and end up fighting. Therefore, Laozi tells them not to boast themselves and rather step back even after making a contribution or success. What is one way to solve the above problems? Laozi suggests freedom from avarice. A person who practices freedom from avarice is a saint. A saint does not carry out artificial act and commits inaction. A saint must rule the world to make a peaceful and just world, and a person can become a saint by cultivating his mind.

      • KCI등재

        王弼의 本體論

        이재권(Rhee, Jae-Kwon) 한국도교문화학회 2016 道敎文化硏究 Vol.45 No.-

        이 논문은 왕필의 본체론이 체용론이라고 주장하는 중국학자들의 학설을 비판하고, 왕필의 본체론은 本無論이라는 것을 주장하는데 목적이 있다. 중국의 학자들은 체용론을 최초로 수립한 사람이 왕필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이런 주장은 설득력이 없다. 뒷날에 성립된 체용론의 관점을 가지고 왕필의 철학을 해석할 수는 있다. 이것과 왕필이 체용론을 수립했다는 것은 완전히 별개의 문제이다. 왕필은 以無爲本과 以無爲用을 말했다. 무가 근본이다. 근본은 본체와 같은 말이다. 왕필은 이 짧은 어구에 도가의 有無論과 유가의 本末論을 결합시켰다. 이것은 貴無論이 아니라 本無論이다. 이것이 왕필 본체론의 핵심이다. 그런데 학자들은 本이 본체이므로 체용론의 체와 의미가 같다는 점에 착안하여 以無爲體라는 새로운 용어를 만들어냈다. 본과 체의 의미가 같다고 하여 왕필이 직접 말하지도 않은 以無爲體를 왕필이 말한 것처럼 주장하는 것은 잘못이다. 철학은 개념의 학문이므로 의미가 같다고 해서 以無爲本을 以無爲體로 대체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이것은 논리적 비약이고, 명백한 오류이다. 왕필이 體와 用이라는 용어를 많이 사용했지만, 그것과 체용론에서의 체와 용의 의미는 다르다. 체용론에서의 체는 본체·실체라는 의미이고, 용은 작용·현상이라는 의미이다. 그런데 왕필이 사용한 체의 의미는 형체·육체이고, 용의 의미는 이용‧효용이다. 단어는 같지만 의미가 다르다. 왕필은 체용론에 관심이 없었다. 체용론은 왕필의 철학적 문제가 아니다. 왕필은 유무론과 본말론, 본무론에 관심이 있었다. 그는 이런 학설을 통하여 유가와 도가의 갈등을 봉합하고, 양자의 이론을 융합하려고 노력했다. The purposes of this thesis are to criticize the theory of the sinologists who argue that Wang Bi’s ontology is the theory of the things and their functions and to argue that Wang Bi’s ontology is a deontology. The scholars of China argue that the first person who established the theory of the things and their functions was Wang Bi. However, such an argument does not have any persuasiveness. Wang Bi’s philosophy can be interpreted with the viewpoint of the theory of the things and their functions that was established later on. This fact and the fact that Wang Bi established the theory of the things and their functions are the completely separate problems. Wang Bi talked about the imuwibon and the imuwiyong. ‘Mu’ is the root. The root is the same as the main body. To this short word, Wang Bi combined the theory of whether or not of Taoism and the theory of the beginning and the end of Confucianism. This is not the theory of the null, but it is a deontology. This is the core of the ontology of Wang Bi. But, paying attention to the point that, as ‘bon’ is the main body, it has the same meaning with the ‘che’ (body) in the theory of the things and their functions, the scholars created the new term ‘imuwiche’. It is a mistake to argue that Wang Bi talked about ‘imuwiche’, which Wang Bi never talked about, because the meanings of ‘bon’ (this) and ‘che’ (body) are the same. As philosophy is an academic study of the concepts, ‘imuwibon’ cannot be replaced with ‘imuwiche’ just because their meanings are the same day. This is a logical jump and a clear error. Although Wang Bi used the terms ‘che’ (body) and ‘yong’ (use), their meanings and the meanings of ‘che’ (body) and ‘yong’ (use) in the theory of the things and their functions are different. ‘Che’ (body) in the theory of the things and their functions means ‘the main body’ and ‘the actual body’. And ‘yong (use) means the actions and the phenomena. But, the meanings of ‘che’ used by Wang Bi are ‘the form’ and ‘the body’. And the meanings of ‘yong’ are ‘the use’ and ‘the utility’. Although the words are the same, the meanings are different. Wang Bi had not been interested in the theory of the things and their functions. The theory of he things and their functions is not a philosophical problem to Wang Bi. Wang Bi had been interested in the theory of whether or not, the theory of the beginning and the end, and the deontology. He endeavored to suture the conflicts between Confucianism and Taoism and fuse the theories of the both sides by using such a the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