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자율주행차 산업기술 방향과 과제

        이재관 한국통신학회 2018 정보와 통신 Vol.35 No.5

        미래 자율주행차의 경쟁력은 차량을 만드는 기술력 보다 사회와 공존하면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신개념 이동체로서의 역할에 있다고 할 수 있으며 세계적 수준의 차량, ICT, ITS 기술을 보유한 우리나라는 충분한 잠재력 보유하고 있으며 이러한 자동차산업의 패러다임 전환이 중대한 기회이자 위기이기도 하다[1][2]. 즉, 국내외시장의 변화에 대응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현재 세계 6위 자동차산업의 위상마저 위협받을 가능성도 있고 이러한 중대한 변화의 기로에서 산업간, 민관협력을 통해 범국가적 역량을 결집하고 이업종간 협업, 안전성&사업성을 위한 실용화 실증, 인프라 및 법제도 연계를 위한 패키지형 정부지원이 시급한 상황이다. 자율주행차의 미래시장을 선도하기 위해서는 차량-인프라(도로&통신인프라) 정보융합을 통해 시장을 선도할 융합기술의 확보가 필요하다. ICT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대학, 연구소 및 기업간 공동으로 기술개발을 추진하고 자율주행차를 위한 DB, 개방형 플랫폼을 구축·제공하여 관련업체의 기술개발 지원 및 참여를 확대해야 한다. 아울러 자율주행차 관련서비스 신산업 창출을 위하여 자율주행차와 연계한 고부가가치 서비스모델(예, 자율셔틀, 로봇택시)을 발굴하고 실증환경에서 다양한 시나리오 검증을 통해 안전성을 확보하고 사업화를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스마트카 개발동향 및 당면과제

        이재관 한국통신학회 2013 정보와 통신 Vol.30 No.11

        2020년 자동차산업의 핵심 키워드는 새로운 교통수단과 이동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새로운 비즈니스의 기회를 창출해야 하는 ‘이동성의 재발견’, 글로벌시장의 다양한 소비자에게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을 모색해야 하는 ‘전방위적 유연성’, 미래사회·산업의 패러다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자동차업체 이외의 new players의 참여를 유도하고 공존할 수 있는 열린 산업문화를 구축해야 하는 ‘소통과 협력’, 미래경쟁력확보를 위해 핵심기술의 선점과 상품화 노력을 강화해야 하는 ‘첨단기술의 융합’으로 요약할 수 있다. 그리고 미래 자동차산업의 경쟁력은 자동차 자체를 만드는 기술력 보다는 융합기술을 접목한 신서비스의 소비자 니즈 충족이 관건인 점을 감안할 때, 최근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스마트카에 대한 적극적인 대처가 미래 자동차산업의 경쟁력을 확보하고 우리나라 자동차산업의 지속 성장을 보장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이러한 스마트카는 운전자 지원이 중요하고 운전자 수용성, 사회적 수용성, 산업적 수용성의 기본원칙을 만족해야 하며 여기서 운전자 지원의 형태로는 인식의 지원, 판단의 지원, 조작의 지원을 그리고 지원의 기능으로는 크게 지각기능의 확대, 정보제공, 경보, 사고회피 지원제어, 운전부하 경감제어를 들 수 있다. 운전자 수용성이란 스마트카의 다양한 기능들이 가능한한 운전자에게 쉽게 전달되어야 하고 운전자가 이들 기능들을 과신하여 의존하는 일이 발생해서는 안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아울러 스마트카의 기능은 어떤 조건에서 효과가 어느 정도로 기대될까를 분명히 정해둘 필요가 있다. 즉 사회적 측면에서의 표준화, 법규화가 병행되어야 함을 의미하고 이것이 사회적 수용성이라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산업적 수용성이란 자동차산업은 기존 사업을 지속 성장시키고 new players에게는 새로운 사업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가 정당하게 주어져야 함을 의미한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경복막 접근법을 통한 단일 통로 복강경 부신 절제술의 초기 경험

        이재관,곽하나,윤지섭,박용래,박찬흔 대한갑상선-내분비외과학회 2011 The Koreran journal of Endocrine Surgery Vol.11 No.4

        Purpose: Single port laparoscopic surgery is an area of active investigation in abdominal surgery. A standard procedure for single port laparoscopic adrenal surgery has not been established. We retrospectively investigated intraoperative and postoperative outcomes following laparoscopic adrenalectomy via mono-port (LAMP). Methods: Between March 2009 and December 2009,10 patients underwent LAMP at Kangbuk Samsung Hospital. The same surgeon performed all surgeries. The first 5 cases underwent LAMP using an Alexis Wound Retractor (Applied Medical, Rancho Santa Margarita, CA, USA) with surgical gloves, and others were done with an OCTO Port (Dalim Surgnet, Korea). Results: Of the 10 patients, 5 were male and 5 were female. The mean age was 43.7±9.9 years (range, 34∼62), and the mean BMI was 24.1±4.0 kg/m2 (Range, 17.1∼30.0). The mean tumor size was 32.5±16.9 mm (range, 12∼60),mean operative time was 127.0±29.5 min (range, 90∼180), and mean hospital stay was 4.5 days (range, 3∼7). Three patients were diagnosed with non-functioning cortical adenoma, 3 with Cushing's syndrome, 2 patients with pheochromocytoma, and others with primarily hyperaldosteronism and myelolipoma. Major postoperative morbidity, blood transfusions, or conversion to open surgery did not occur. Conclusion: The outcome of LAMP demonstrates the safety and feasibility of this procedure. With increasing surgeon experience and refinement in instrument technology, we believe LAMP is likely to become a standard approach to adrenal disease. (Korean J Endocrine Surg 2011;11:283-286)

      • KCI등재

        프로빗 분석을 활용한 타격식 뇌관의 외부 충격에 의한 감도특성 연구

        이재관,안대희,김명현,김문수 한국산학기술학회 202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3 No.12

        The electric primer or percussion primer used in military ammunition ignites the propellant and fires the warhead to the target. The primer must be able to supply energy to the propellant within a short time by the required level of stimulation. To evaluate its performance, the quality of the primer is managed through a sensitivity test, 0% non-functional, and 100% functional test. However,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the sensitivity of the primer cannot be estimated between the 0% non-ignition and 100% ignition energy levels. Recently, it has been reported that some firearms in use in the military did not fire the ammunition even after the firing pin struck the primer. It is presumed that it was caused by the lack of striking energy of the firearm, deterioration of the primer's performance, etc. However, since the current defense standards do not specify a method for evaluating the detonation force of a firearm, there is a need for research that can evaluate the sensitivity characteristics of the primer. In this study, the self-sensitivity of the KM36A2 percussion primer was measured through drop tests, and a primer sensitivity curve with a 95% confidence interval was derived through Probit analysis. Through the sensitivity curve and numerical analyses, it is possible to precisely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impact energy and the detonation of the primer, and it is expected that this will be used for the precise evaluation of the striking force of the firearms and in studies on the lifespan of firearm components. In this study, the sensitivity characteristics of only the KM36A2 percussion primer were studied, but further studies on sensitivity characteristics are required encompassing all the primers in service in the military. 군용 탄약에 사용되는 전기식 또는 타격식 뇌관은 추진제를 점화시켜 탄두부를 목표물로 발사시키는 역할을한다. 여기서 뇌관은 요구되는 수준의 자극에 의해 짧은 시간 내 추진제로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어야 하며, 뇌관 성능을평가하기 위해 국방규격에서는 감도 시험, 0% 비기능, 100% 기능 시험을 통해 뇌관 품질을 관리하고 있다. 하지만 0% 비기능, 100% 기능하는 에너지 범위 사이에서는 뇌관의 감도를 추정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최근 군에서 운용 중인일부 총기에서 공이가 뇌관을 타격하였음에도 탄약이 발사되지 않는 사례가 보고되었으며, 추정 원인으로는 총기의 타격에너지 부족, 뇌관의 성능 저하 등이 있다. 하지만 현 국방규격에서는 총기의 뇌관 타격력 평가 방법이 명시되어 있지않으므로, 이를 평가하기 위해 뇌관 감도 특성에 대한 연구 필요성이 인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KM36A2 타격식뇌관을 대상으로 낙추 시험을 통해 뇌관 감도를 측정하였고, 프로빗 분석을 통해 신뢰구간 95%를 가지는 뇌관의 감도곡선을 도출하였다. 감도곡선 분석 및 수치해석을 통해서 충격 에너지와 뇌관 기폭 간 상관관계를 정밀하게 분석할 수있으며, 이를 통해 총기 타격력 정밀 평가, 총기 구성품 수명 연구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에서는KM36A2 타격식 뇌관에 한하여 감도 특성을 연구하였지만, 군에서 운용 중인 뇌관으로 확장하여 추가 감도 특성 연구가요구된다.

      • KCI등재

        소진탄피 안정 물질과 탄약 품질 수준 간 상관관계 연구

        이재관,김명현,이지훈 한국산학기술학회 202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3 No.8

        The 120MM high explosive anti-tank tracer is the ammunition used to neutralize the side armor of the main tank of the enemy and kill people close to the tank. This ammunition consists of a warhead, closing ring, propellant, and combustible cartridge case(CCC). In particular, the CCC provides propulsion energy for the firing of the ammunition and causes less erosion of cannon tubes compared to the erosion by a metal case. Therefore, using the CCC is advantageous in terms of cannon tube management. Generally, ethylcentralite(ECL) or diphenylamine(DPA) organic stabilizer delaying the decomposition of the nitrate ester compounds by suppressing the autocatalytic reaction is used in the CCC. Also, it is a characteristic of the ammunition that its use is completed at one time after long-term storage of the ammunition. So, research on the quality change of the ammunition due to the long-term storage is required. In this regard, a study was conducted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quality level of the ammunition and the analyzed (by the study) effects of organic stabilizers on the ammunition. In particular, an aging test was conducted on the stabilizers to examine their respective aging effects on the closing ring. The aging test confirmed that the DPA derivative generated during the decomposition of DPA was adsorbed on the surface of the closing ring, resulting in the expression of the intrinsic color of the derivative. Also, a test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closing ring, which was used with the respective stabilizer during the aging test. This test confirmed that the ECL had a lesser effect than the one DPA had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closing ring. In effect, it is expected based on the study that the long-term storage quality level of the ammunition can be improved by using ECL as the stabilizer for the CCC. 120MM 대전차고폭예광탄은 적 주력전차의 측면장갑 무력화 및 전차 주변 인마살상용으로 사용되는 탄약으로 탄두부, 폐쇄링, 추진제 및 소진탄피(CCC: Combustible Cartridge Case)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요 구성품 중 하나인 소진탄피는 탄약 발사 시 추진에너지를 부여하는 기능을 지니며 금속탄피와 비교해 포신 마모율이 낮아 포신 관리 측면에서 이점을 가지며, 특히 소진탄피의 안정 물질로는 유기안정제인 에틸센트럴라이트(ECL: Ethylcentralite) 또는 디페닐아민(DPA: Diphenylamine)이 주로 사용된다. 안정 물질은 자동촉매반응을 억제하여 질산에스테르 화합물의 분해 속도를 지연시키는 역할을 한다. 장기간 저장되어 1회 사용 후 용도가 마무리되는 것이 탄약의 특성으로, 장기저장에 의한 탄약 품질 변화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이 인지되고 있다. 이와 관련해 안정 물질이 탄약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품질 수준과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안정 물질의 노화시험을 통해 폐쇄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DPA의 분해 과정에서 발생한 DPA 유도체가 폐쇄링 표면에 흡착되어 고유색상이 발현되었다. 또한 노화시험 간 안정 물질과 양립하던 폐쇄링의 기계 물성을 실험하여 안정 물질 ECL이 DPA 대비 폐쇄링의 기계 성질 변화에 미치는 영향이 적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소진탄피 안정 물질로 ECL을 사용하여 장기저장 품질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