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각장애인의 장애수용이 자기효능감에미치는 영향에서 대인관계의 매개효과

        이의빈,신성만,이다슬,조의혁,주현주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8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disability acceptance on self-efficacy of people with hearing disability and to see the relation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 the process. For this purpose, we ver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disability acceptance and self-efficacy of 311 people with hearing disability in the second wave data of the 2017 Korea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People with Disability using SPSS 22.0 and AMOS 22.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found that disability acceptanc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people with hearing disability had a significant impact on self-efficacy, and the higher disability acceptance, the higher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e higher self-efficacy. Second, it was found that interpersonal relationship was partially mediated and the path that affected the disability acceptance and self-efficacy of people with hearing disability was appropriate. In other words, it has been confirmed that disability acceptance not only directly affects self-efficacy, but also indirectly affects self-efficacy through interpersonal relationship.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suggested as a research implication that intervention is needed to improve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 promoting self-efficacy of people with hearing disability 본 연구에서는 청각장애인의 장애수용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그 과정에서 대인관계의 관련성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의 2017년도장애인고용패널 2차 웨이브 자료에서 청각장애인 311명을 대상으로 장애수용과 자기효능감간의 관계를 대인관계가 매개하는 경로구조모형이 자료에 부합하는지를 SPSS 22.0과AMOS 22.0을 활용하여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청각장애인의 장애수용, 대인관계가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장애수용이 높을수록, 대인관계가 높을수록 자기효능감이 높아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대인관계가 부분매개로 청각장애인의 장애수용과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장애수용이 자기효능감에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대인관계를 통해서도 간접적으로 자기효능감에 영향을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청각장애인의 자기효능감 증진에 있어 장애수용과 대인관계를 고려한 이해와 개입이 필요함을 연구적 함의로 제시하였다.

      • KCI등재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 부모 우울, 부정적 양육행동과 아동의 내재화, 외현화 문제행동 간 관계

        이의빈 한국청소년학회 2021 청소년학연구 Vol.28 No.5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socioeconomic status (SSS), parental depression, negative parenting behaviors and child’s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This study used 10th wave data of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path analysis, and bootstrapping were conducted. Maternal depression (MD) and maternal negative parenting (MNP) respective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SS and problem behaviors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The indirect effect of SSS on problem behaviors via the sequence of MD and MNP was significant. Also, the indirect effect of SSS on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via the sequence of paternal depression and paternal negative parenting (PNP) was significant. Lastly, the indirect effect of SSS on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via the sequence of MD and PNP was also significant.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와 부모 우울, 부정적 양육행동과 아동의 내재화, 외현화 문제행동 간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한국아동패널(PSKC) 10차년도 데이터의 1,092개의 사례를 사용하였고,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 상관분석, 경로분석과 부트스트래핑을 활용하였다. 아동의 내재화, 외현화 문제행동에 대한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의 직접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그러나 내재화 문제행동의 경우, 어머니의 우울과 부정적 양육행동은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와 아동의 문제행동 간 관계를 각각, 그리고 순차적으로 매개하였다. 외현화 문제행동의 경우, 아버지의 우울과 부정적인 양육행동은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와 아동의 외현화 문제행동 간 관계를 순차적으로 매개하였다. 마지막으로, 어머니의 우울과 아버지의 부정적인 양육행동은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와 아동의 외현화 문제행동 간 관계를 순차적으로 매개하였다. 위 결과를 바탕으로 의의 및 함의, 연구의 한계점을 논의하였고,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의 대인관계 스트레스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소속감의 매개효과: 사회계측이론을 중심으로

        이의빈,송용수,주현주,신성만 한국교육치료학회 2019 교육치료연구 Vol.11 No.3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belonging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relationship stress and self-esteem among college students based on sociometer theory. Specifically, we established the hypothesis that belongingness mediated between interpersonal stress and self-esteem. A survey was conducted on 245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at S, P and B colleges in Seoul metropolitan area and Kyungsang area. In additi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to verify the fitness of the model and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the variables. The results suggest that belongingness fu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stress and self-esteem. Interpersonal stress does not directly affect self-esteem, but that when interpersonal stress is present, belongingness is lowered and affects self-esteem. This research aim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interventions seeking to strengthen belongingness in order to resolve the problem of lower self-esteem due to interpersonal stress in college students. 본 연구는 대학생이 경험하는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소속감,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에 대해 사회계측이론(Sociometer Theory)을 토대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 사이를 소속감이 매개한다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수도권, 경상권의 S시, P시, B시 소재 대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 대학생 245명의 설문조사 응답 내용을 바탕으로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여 모형의 적합도 및 변인 간의 직·간접 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대인관계 스트레스는 소속감을 매개로 자아존중감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소속감이 자아존중감에 대한 대인관계 스트레스의 영향을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인관계 스트레스가 자아존중감에 직접 영향을 끼치는 것이 아니라 대인관계 스트레스를 경험하는 경우 소속감이 저하되어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대인관계 스트레스로 인한 자아존중감 감소에 대처하기 위해 소속감에 대한 개입의 필요성을 연구의 함의로 제시하였다.

      • KCI등재

        보호자의 자녀 의사결정을 존중하는 양육태도가학업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을 매개하여

        이의빈,김진원 한국청소년학회 2020 청소년학연구 Vol.27 No.11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adolescents’ perceived parenting attitude on academic stress. Using 2017 Korean Youth Human Right Status data, this study employed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d path analysis. Moreover, this study conducted bootstrapping analysis to examine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Primary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Adolescents’ perceived parenting attitude and self-esteem we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academic stress and the parenting attitude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self-esteem. Self-esteem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ttitude and academic stress. On top of that, the indirect effect of parenting attitude on academic stress via self-esteem was significant.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부모의 성취압력과 아동의 삶의 만족도 간 관계 -자율성, 여가시간 부족, 학업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이의빈,황신영,김진원 한국아동복지학회 2022 한국아동복지학 Vol.71 No.4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chievement pressure (PAP) and children’s life satisfaction (LS), especially focusing on the mediating roles of autonomy, lack of leisure time (LLT) and academic stress (AS). This study derived 1,239 cases of children from the 12th wave data (2019) of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The current study employed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bootstrapping method was used to test the significance of indirect effects. Primary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Direct effect of PAP on LS was not significant; autonomy, LLT and AS respective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P and LS. Moreover, indirect effect of PAP on LS via the sequence of autonomy and AS was significant; the indirect effect via the sequence of autonomy and LLT was also significant. In addition, the indirect effect of PAP on LS via the sequence of LLT and AS was significant. Lastly, the indirect effect of PAP on LS via the sequence of autonomy, LLT and AS was significant as well. Based on aforementioned results, this study concluded with discussion, implications,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 KCI등재

        부모의 성취압력 및 학습관여가 아동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학업 스트레스와 학업적 실패내성의 매개효과에 주목하여

        이의빈,김진원,김소연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3 한국청소년연구 Vol.34 No.4

        본 연구는 부모의 성취압력과 자녀 학습에 대한 부모의 관여가 아동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더해 자녀의 학업적 실패내성 및 학업 스트레스라는 학업 요인에 주목하여 부모의 성취압력과 학습관여가 학업 요인을 통해 아동의 삶의 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가지는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한국아동패널 12차년도 자료에서 총 1,169명의 사례를 분석에 활용하여,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 상관분석, 경로분석을 진행하였다. 간접효과의 유의성 검증에는 부트스트래핑 방법이 사용되었다. 분석 결과, 첫째, 부모의 성취압력은 자녀의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쳤으나, 학습에 대한 부모의 참여는 아동 자녀의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부모의 성취압력은 아동의 학업 스트레스와 학업적 실패내성을 통해 자녀의 삶의 만족도에 부적 간접효과를 보였다. 셋째, 부모의 학습관여와 자녀의 삶의 만족도 간 관계에서 학업 스트레스와 학업적 실패내성은 매개역할을 하였으며, 정적 간접효과가 나타났다. 전술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이론적 의의와 함의를 제시하고, 본 연구가 지니는 한계점과 보완을 위한 후속연구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 of parental academic pressure and parental academic involvement on children’s life satisfaction, and focused attention especially on the mediating role of academic stress and tolerance of academic failure. This study used 1,169 cases from the 12th wave of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PSKC).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were us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the variables, and bootstrapping methodology was conducted to test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indirect effect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parental academic pressure we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children’s life satisfaction, while parental academic involvement was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life satisfaction. Second, parental academic pressure had negative indirect effects on children’s life satisfaction through children’s academic stress and tolerance of academic failure. Third, parental academic involvement had positive indirect effects on children’s life satisfaction through children’s academic stress and tolerance of academic failure. This study concluded with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to supplement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 KCI등재

        한부모가정 양육 유형과 청소년 자녀 적응 유형 사이의 관계-사람 중심적 접근(person-centered approach)을 활용하여-

        이의빈,엄명용 한국아동복지학회 2023 한국아동복지학 Vol.72 No.1

        본 연구는 한부모가정의 보호자 양육방식과 그리고 청소년 자녀의 적응은각각 어떤 유형으로 나타나는지 탐구하고, 더 나아가 한부모가정 양육 유형과청소년 자녀의 적응 유형 간 관계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의 초4, 중1 패널의 2차년도 자료(2019년도 조사 자료)에서 한부모가정 청소년 자녀 323개의 사례를 추출하여 분석에활용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 상관분석, 잠재프로파일분석이 활용되었다. 특히, 한부모가정 보호자의 양육 유형과 청소년 자녀의적응 유형을 탐구하고 두 유형 간 관계를 검증할 때에는 잠재프로파일분석시 분류 오차를 고려하는 3단계 접근(three-step approach)이 활용되었다. 분석결과, 한부모가정 보호자 양육방식은 ‘심리 욕구 지지형’과 ‘긍정-부정 혼합형’이라는 두 개의 유형으로 분류되었으며, 한부모가정 청소년 자녀의 적응은‘적응 수준 낮은 집단’과 ‘적응 수준 높은 집단’과 같이 두 개의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마지막으로, 한부모가정 청소년 자녀는 보호자의 심리 욕구 지지형의 양육을 경험할 때 적응 수준이 높은 유형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다. 전술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기존의 한부모가정을 바라보던 결핍 중심적 시각의 한계를 논의하였다. 또한, 한부모가정 청소년 자녀의 적응에 중요한 영향요인이 되는 심리 욕구 지지형 양육의 중요성을 바탕으로, 한부모가정 보호자 대상 부모교육의 필요성 등의 함의를 논의하였다. 그밖에도 본연구의 이론적 의의 및 연구의 한계 및 후속연구 제언을 다루었다

      • KCI등재

        부모의 과잉간섭이 대학생 자녀의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자아정체감과 우울의 매개효과

        이의빈,김진원 한국청소년학회 2021 청소년학연구 Vol.28 No.8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 of parental over-intrusiveness on life satisfact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ego identity and depression. data from 7th wave of KCYPS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conducted; and bootstrapping method was employed to examine and significance of the indirect effect. Primary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direct effect of parental over-intrusiveness on life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ego identity and depression respectively mediated the relationship of parental over-intrusiveness and life satisfaction. Moreover, the indirect effect of parental over-intrusiveness on life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via the sequence of ego identity and depression was also significant. Based on aforementioned results, this study concluded with discussion, implication,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본 연구는 부모의 과잉간섭이 대학생 자녀의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자아정체감과 우울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0의 중1패널의 7차년도 데이터에서 1,139명의 사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으로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 상관분석, 구조방정식 모델링을 활용하였으며, 간접효과가 유의미한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방법을 활용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부모의 과잉간섭에 대학생 자녀의 삶의 만족에 이르는 경로의 직접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하지만 자아정체감과 우울은 각각 부모의 과잉간섭과 대학생 자녀의 삶의 만족 간 관계를 매개하였다. 그뿐만 아니라, 자아정체감과 우울은 순차적으로, 부모의 과잉간섭과 대학생 자녀의 삶의 만족 간 관계를 매개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연구의 의의, 함의, 연구의 한계 및 후속연구에 관한 제언을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