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어 학습자의 읽기 불안 양상에 관한 연구

        이은진(Lee, Eunjin),권연진(Kwon, Yeon-J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1

        이 연구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학습자의 읽기 과정에서의 불안을 측정하고, 학습자 변인에 따른 불안의 양상을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교육적 함의를 도출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9년 3월부터 4월 초까지 외국어읽기불안척도(FLRAS)를 활용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 최종 186명의 자료를 SPSS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습자의 국적 변인에 따라 ‘텍스트 관련 불안’, ‘주제 및 기억 관련 불안’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학습자의 수준 변인에 따라 ‘주제 및 기억 관련 불안’의 차이가 유의미하였고, 이는 초급이나 고급에 비해 중급 수준 학습자의 불안도가 두드러지게 높았다. 학습자의 읽기 효능감 및 흥미 변인에 따라 ‘자신감 및 흥미 관련 불안’, ‘인식 및 상황 관련 불안’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읽기 불 안과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그간 한국어 읽기 교육에서 정의적 영역에 대한 논의가 부족하였고, 읽기 불안과 관련하여 초, 중, 고급 수준 학습자 전체를 대상으로 하위 요인을 탐색하고 다양한 학습자 변인에 따른 양상 차이를 통계 분석한 연구가 거의 없었으므로, 본 연구의 결과는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학습자의 읽기 불안에 대한 기초적 실증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auses of reading anxiety that may be incurred in Korean language learning and to analyze the differences between each aspect thereby proposing meaningful implications in Korean reading education. In order to meet the objectives, this study implemented the survey responses of 186 people who had learned the Korean language from March to April 10th, 2019 with FLRAS. The results of the survey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tilizing SPSS, and the results are as below: The responses represent two significant causes of reading anxiety: text-related anxiety, and anxiety related to the author’s intention and memorization. Furthermore, the study foun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nxiety related to the author’s intention and memorization depending on the level of reading ability. Korean language learners at an intermediate level showed a higher level of anxiety as compared to the learners at beginner and advanced levels. Finally, the reading efficacy and interest of the Korean language learner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wo causes: anxiety related to self-confidence, and anxiety related to symbols and reading activities. The group with low self-confidence and interest showed a high level of reading anxiety. As it is true that there have not been many types of research or studies that deal with the causes of Korean language reading anxiety covering all levels of Korean language learning with different variables and statistical analysis, this study expects that the results and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to play a key role as practical material concerning different aspects of Korean reading anxiety in the Korean reading education field.

      • KCI등재

        도시공원을 활용한 산림치유프로그램이 고령노인의 우울과 기억감퇴에 미치는 영향 -곤지암 도자공원을 사례로

        이은진 ( Eunjin Lee ),박봉주 ( Bongju Park ),왕금옥 ( Geumok Wang ),이현홍 ( Hyunhong Lee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6

        본 연구는 생활권내 도시공원을 활용한 산림치유프로그램이 고령노인의 우울과 주관적 기억감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경기도 K시에 거주중인 75세 이상의 여성 고령노인 10명이었으며 주1회 2시간씩 총 7회의 산림치유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본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단축형 노인우울 척도(GDSSF-K)와 주관적 기억감퇴 설문지(SMCQ)를 프로그램 전후에 평가하였다. 자료 분석에는 SPSS ver 18.0을 사용하였으며 Shapiro-Wilk test로 정규성을, Wilcoxon signed rank test로 통계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도시공원에서 산림치유프로그램이 고령노인의 우울 완화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했다. 이는 지역사회 노인을 위한 복지 서비스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s of forest healing programs using urban parks in the living area on depression and subjective memory loss in older old peopl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0 elderly women aged 75 or older living in K city, Gyeonggi-do, and a total of seven times forest healing programs were conducted once a week for two hours.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is program, the Geriartric Depress Scale Short Form-Korea Version (GDSSF-K) and the Subjective Memory Complaints Questionnaire (SMCQ) were used to evaluate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SPSS ver 18.0 was used for data analysis, normality was performed with the Shapiro-Wilk test, and statistical verification was performed with the Wilcoxon signed rank test. Forest healing programs at urban parks in the living area have been confirm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depression relief for older old people. It is thought that this can be usefully used for welfare services for the elderly in the community.

      • KCI등재

        성과중심 인사평가제도의 성과에 관한 연구

        이은진(Lee Eunjin) 서울행정학회 2010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2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ctual state and effect of 'result-based personnel evaluation system', which has been a basic personnel policy in the Korean Government.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xamined 'job performance agreement' and 'performance evaluation or appraisal' representing result-based personnel evaluation system, and people's perception on personal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under the systems. Second, this study analyzed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result-based personnel evaluation system, personal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with apply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To do this, empirical analysis on subject matters was performed with a survey which sampled 784 public officials from 25 governmental agenci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Respondents have a relatively positive perception of the personnel evaluation system, personal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each variable has positive causal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Also as the result of conducting the analysis of the causal relationship of the whole sample group with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personal performance', the primary endogenous variable of this model, showed a mediated effect in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system itself, personal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 KCI등재후보
      • 유혹하는 여성: 일제강점기 대중가요에서 재현된 여성의 욕망과 섹슈얼리티

        이은진(Lee, Eunjin) 한국대중음악학회 2017 대중음악 Vol.- No.20

        이 글은 대중문화, 특히 대중음악 전반에 걸쳐 여성에 대한 재현 방식과 여성성의 수행 방식이 정형화되어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문화적 텍스트에서 여성을 재현하는 방식이 일정한 경향성을 띠고 있다는 것은 여성을 특정한 유형으로 범주화하여 정형화한다는 의미이며, 여성을 유형화된 전형으로 인식하는 것은 차별과 혐오의 기제를 기반으로 한다. 특히 음악은 여성을 정형화하여 재현하는 언어적 서사를 음향적 전형성으로 제시하고, 여성 연행자가 정형화된 텍스트를 수행함으로써 여성의 발화 방식을 특정한 형태로 규정한다는 특수성을 가진다. 대중가요는 이러한 이중적 정형화가 가장 뚜렷하게 드러나는 분야이자 그 대중성을 통해 가장 광범위한 영향을 미치는 매체이다. 따라서 대중가요에서 드러나는 여성의 정형화 방식을 이해하는 것은 문화적 텍스트에서 드러나는 여성혐오의 발현 양식에 대한 이해를 좀 더 구체화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글에 서는 대중가요에서 드러나는 여성의 재현 방식을 이해하기 위해, 우리나라 대중가요의 원형이 만들어진 일제강점기에 초점을 맞추어 이 시기의 대중가 요에서 여성과 여성성의 수행을 재현하는 방식이 일정한 경향성을 띠고 있음을 밝히고자 했다. 특히 ‘연애’를 소재로 한 노래들에서 이러한 경향성이 두드 러지게 나타나는데, 여성의 욕망을 ‘연애’로 한정 짓고 여성이 자신의 욕망을 표현하는 방식을 유아화된 형태로 제시하고 있음을 밝혔다. 이러한 경향성이 가장 표면적인 층위에서 드러나는 것은 가사에서이지만, 이를 좀 더 직접적이고 감각적으로 전달하는 것은 음악적 장치이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연애를 욕망하는 여성을 소재로 다룬 노래에서 드러나는 음악적 경향성을 살펴봄으 로써, 연애라는 사적 관계에서 사회가 여성에게 요구했던 일정한 규범이 대중 가요를 통해 재생산되고 있었음을 논의하였다. 이 시기 대중가요에서 자신의 욕망을 표현하는 여성 화자는 자신이 순진하고 어린 처녀임을 강조하는 동시에 여성적 섹슈얼리티를 강조해야 했다. 이를 위해 대중가요에서는 여성의 목소리를 부각하는 음악적 장치를 사용하는 한편 아양과 애교를 드러내는 창법을 강조했다. 이러한 재현 방식을 통해 당대의 대중가요는 여성의 욕망을 일정한 방향으로 규정하고 그 욕망을 표현하는 규범적 방식을 재생산했다. 또한 이 과정에서 여성의 섹슈얼리티가 특정한 방식으로 정형화되었고, 이러한 전형성이 대중에게 유통됨으로써 여성적 섹슈얼리티의 규범적 수행 양식이 학습되는 효과를 낳았음을 논의하였다. Women and femininity, in many cultural texts, are represented and performed in a certain standardized way. This standardized pattern, widely dispersed in popular culture, is an evidence that there is a certain tendency in regards to representing women in cultural texts. This, in turn, indicates that women are being standardized and categorized into specific types, and the tendency to perceive women as stereotypes is strongly based on the mechanism of discrimination and hatred(Misogyny). Although the practice of representing women as stereotypes can be found in most cultural texts, music deserves special attention for it is a field in which a female performer herself has to perform the stereotyped text, conveying a verbal narrative depicting a standardized image of women, by means of a sound model which is perceived and defined as a typical female way of singing and speaking. Popular music, a medium of most powerful and vast influence, is where the double standardization of women appears most clearly. Therefore, in order to gain detailed understanding of the pattern of manifestation of Misogyny in cultural texts, it is crucial to understand how women in popular music are and have been represented as stereotypes. To discuss the representation of women in popular music, the author of this article analyzes the Korean popular music of the Japanese colonial era, during which the archetype of Korea’s modern popular music was formed, to find that the popular music of Korea had a tendency to represent and perform women and femininity in a certain standardized way from the beginning. Although this tendency is most clearly revealed in verbal text, i.e. the lyrics, it is music that delivers this tendency directly and sensuously to the listeners. Thus, this article analyzes, focusing on the interaction between musical elements and verbal text, the musical tendencies of popular vocal music representing the image of women longing for love. produc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The songs which deals with romantic relationships show that how certain norms that the society imposed on women, regarding personal relationships, were being reproduced through popular music of the era. In the narratives where a female subject expresses her desire for love, she has to stress the fact that she is a young virgin and use musical devices suggesting flattery and coquetry. This specific way of representation defines female desires in a certain way and reproduces a specific manner of expressing those desires. This particular manner was accepted by the Korean society of the Japanese colonial era as a norm, and female sexuality became standardized in a certain way to be accepted by both women and men as typical. In sum, this article analyzes the Korean popular music of the Japanese colonial era to find that these popular songs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reproducing the norm of femininity, in which the masculine desire is projected, and disciplining both women and men to accept the standardized feminie sexuality.

      • KCI등재

        노인의 과거수용과 자살생각의 관계 : 노화태도와 우울의 이중매개효과

        이은진(Eunjin Lee),김성희(Sunghee Kim),남석인(Seok In Nam) 한국노년학회 2021 한국노년학 Vol.41 No.4

        본 연구는 노인의 과거수용이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노화태도와 우울의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서울 및 경기도 지역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2017년 2월부터 8월까지 대면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최종적으로 329명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SPSS PROCESS macro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매개변수가 2개인 직렬다중매개모형 검증을 통해 이중매개효과를 확인하였으며, 부트스트랩을 활용하여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과거수용은 노화태도에, 노화태도는 우울에, 우울은 자살생각에 각각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노인의 과거수용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직접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노인의 과거수용과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노화태도와 우울을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자살생각에 이르는 경로만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이중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노인의 우울 감소와 자살 예방을 위한 긍정적인 과거수용과 노화태도 증진 방안을 정책적·실천적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past acceptance on suicidal ideation in older adults and verified double mediation effects of attitude to aging and depression. The responses of 329 aged 65 years or older who participate in senior welfare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do were used. As an analysis method, the double mediation effect was confirmed through serial multiple mediation model verification using the SPSS PROCESS macro program.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the past acceptanc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aging attitude, the aging attitude on the depression, and the depression on the suicidal ideation, but the direct effect of past acceptance on the suicidal ideation was not significant. Second, double mediation effects of attitude to aging and depression were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st acceptance and suicidal ideation. Based on these results, practical and policy interventions to prevent suicide in old age were suggested.

      • KCI등재

        한국어 학습자 변인에 따른 쓰기 전략 양상 연구

        이은진(Lee, Eunjin),권연진(Kwon, Yeon-J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7

        본 연구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전략에 대해 조사함으로써, 한국어 학습자가 쓰기 과정에서 사용하는 전략의 양상을 실증적으로 탐색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육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19년 4월부터 2019년 6월 초까지 한국어 학습자 175명을 대상으로 Petric과 Czarl(2003)의 작문 전략 검사지를 한국어 쓰기 교육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SPSS로 통계 분석하였다. 결과를 요약하자면, 우선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전략 검사지의 문항 신뢰도는 0.806으로 높게 나타났다. 쓰기 전략 문항 전체는 하위 범주인 계획 전략, 작문 전략, 수정 전략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중, 수정 전략은 학습자 변인에 따른 양상 차이가 가장 뚜렷하게 나타났다. 학습자의 성별, 국적, 쓰기 효능감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남성 학습자에 비해 여성 학습자가, 초급 학습자에 비해 중·고급 학습자가, 쓰기 효능감이 낮은 학습자에 비해 높은 학습자가 수정 전략의 사용이 높았다. 다만, 학습자의 쓰기 흥미와 쓰기 전략 사용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에 비해 학습자 범위를 확대하였고, 한국어 쓰기 전략 연구 분야에서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학습자 변인들을 설정하여 통계 분석한 것으로 한국어 쓰기 교육의 내용 및 방법 마련과 관련하여 실증적 기초 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writing strategies of Korean learners as a foreign language, provid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results in Korean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and thereby seeks to deduce educational implications based on them. In order to meet the objectives, we surveyed 175 Korean learners from April 2019 to June 2019 by modifying the Petrić & Czárl’s (2003) writing strategy test sheet tailored to Korean writing education. The result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SPSS. As a result, the overall writing strategy question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subcategories of planning strategy, writing strategy, and revision strategy. Among them, the difference in aspect according to learner s variables was discovered most clearly in the revision strategy. Revision strateg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learner s gender, nationality and writing efficacy. Females than men, advanced learners than intermediate and beginners, and learners who had higher writing efficacy than those that were low, had higher awareness of the use of revision strategies.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writing interests and the use of learners writing strategies. This study is a statistical analysis of the writing strategies of Korean learners as a foreign language according to diverse learner variables.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c empirical material in terms of contents and method of writing education in Korean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 KCI등재

        조선후기 궁방(宮房) 도서(圖署)의 유형과 특징

        이은진 ( Lee Eunjin ) 한국고문서학회 2021 古文書硏究 Vol.58 No.-

        본 논문은 조선후기 宮房에서 사용한 인장인 圖署에 대한 기록을 살펴보고, 현전하는 궁방 도서와 龍洞宮 문서에 답인된 사례를 바탕으로 유형과 특징을 정리한 연구이다. 도서에 대한 문헌 기록은 정조대에 궁방의 문서와 문서행정의 절차를 제한하는 내용에서 집중적으로 등장하였으며, 특히 官印과의 위계가 엄격히 구분되었다. 또한 정조는 궁방에서 사용한 도서는 본래 篆書로 새기니, 인장은 楷書로 새기게 하여 둘을 구분하는데 어려움이 없도록 하였다. 현재 23점의 궁방 도서가 전해지고 있는데 가장 많이 남아있는 형태는 정방형이며 관인의 크기와 비슷하거나 그 이상으로 나타났다. 內帑 기능을 수행한 궁방 중에는 도서의 印背에 제작 시기와 주조 주체에 관한 기록이 남아있었다. 후궁 궁방의 경우에는 품계에 따라 재질이 금속과 나무로 달랐다. 왕자녀 궁방의 도서는 형태면에서 가장 다양한 유형을 보여주었다. 용동궁 문서에 답인된 도서의 종류는 형태ㆍ字體ㆍ印文에 따라 총 5가지로 나눌 수 있었으며, 공식적으로 왕실과 관에만 허용되었던 朱印을 사용하였다. 가장 많은 유형은 정방형ㆍ전서 형태이며, 가장 앞선 시기에 사용되었다. 가장 늦은 시기에 사용된 것으로 추정되는 장방형ㆍ전서 형태는 궁방 폐지 이후인 1911년 臨時 財産整理局에서 펴낸 『臨時財産整理局事務要綱』에 수록된 것과 동일하였다. 본 논문은 궁방 문서행정 요소 중 하나인 도서의 유형 및 특징을 정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관과의 위계 비교를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cords of the Gungbang seal used in Gungbang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summarizes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such a seal based on existing Gungbang seals and examples from the documents in Yongdonggung. Records on Gungbang seals appeared frequently in the context of restricting the procedures for document administration and documents of Gungbang during the reign of King Jeongjo. In particular, a strict hierarchy was maintained with other government seals. In addition, Gungbang seals were engraved with zhuanshu, and others that are engraved with kaishu were known to be mere seals. Currently, 23 Gungbang seal pieces have been discovered, and they are mostly in the form of a square, which is similar to or larger than the size of the government seal. Among the Gungbang that had the function of a privy purse, records on the time of production and the subject of the entity were written on the back of the Gungbang seal. In the case of the royal concubines’ Gungbang, it was made out of different material, which varied from metal to wood depending on their class/hierarchy. The greatest diversity was found in the Gungbang seal of children in the royal family. Five categories of Gungbang seal officially used in Yongdonggung’s documents can be distinguished according to their form and style, and zhuyin (ink/stamp pad) was officially restricted to the royal family. The most common form was square zhuanshu, and it was used in the earliest era. The form of square zhuanshu, presumed to have been used in the latest period, was the same as that recorded in the “Outline of Duties” (臨時財産整理局事務要綱) of the “Bureau of Royal Property Nationalization” (臨時財産整理局) published in 1911 after the abolition of the Gungbang. This paper is meaningful in that it summarizes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Gungbang seal, which is one of the administrative elements of Gungbang documents, and attempts a hierarchical comparison with the government offices on this basis.

      • KCI등재

        한국어 학습자의 읽기 전략과 영향 요인 간 인과성 검증에 관한 연구

        이은진(Lee, Eunjin),권연진(Kwon, Yeon-J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3

        목적 본 연구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학습자의 읽기 전략과 정의적⋅환경적 측면에서 영향 관계에 있는 요인 간의 인과성을 검증함으로써 한국어 읽기 전략 교수 학습에 필요한 실증적인 정보를 얻고 교육적 함의를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서울, 부산, 대구, 울산 지역 소재의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학습자 389명을 대상으로 한국어 읽기 전략 검사, 한국어 읽기 동기 검사, 한국어 읽기 불안 검사, 한국어 읽기 환경 검사를 실시하고, 구조 방정식 모델 분석 및 부트스트래핑 분석을 통해 한국어 읽기 전략과 영향 관계에 있는 요인들의 인과성을 검증하였다. 결과 그 결과 한국어 학습자의 읽기 전략과 정의적 측면에서의 한국어 읽기 동기는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검증되었고, 한국어 읽기 불안은 학습자의 읽기 전략 사용과 유의미한 부의 상관관계가 검증되었다. 또한 환경적 측면에서의 한국어 교실 내 상호작용 요인은 학습자의 읽기 전략과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검증되었고, 교실 내 물리적 요인은 직접적인 경로에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검증되지 않았으나, 한국어 읽기 동기와 매개하여 한국어 읽기 전략과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검증되었다. 이 중 특히 한국어 읽기 동기와 교실 내 상호작용 환경의 경우, 이들 요인이 강화될수록 학습자의 읽기 전략 사용의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그간 한국어 읽기 교육 분야에서 한국어 학습자의 읽기 전략, 한국어 읽기 동기, 한국어 읽기 불안, 한국어 읽기 환경에 관한 독립적인 연구들이 주로 실시되었으나, 이들의 인과적 관계를 검증하는 종합적이고 거시적인 논의가 부족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한국어 학습자의 읽기 전략과 영향 요인에 대한 인과성 검증 결과는 한국어 읽기 교육에서 읽기 전략 교수 학습의 원리와 방법적 설계를 위한 기초적이고 실제적인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rive educational implications by analyzing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factors of influence and the use of the reading strategy of Korean learners as a foreign language. Methods To this end, the structural equation and bootstrapping were analyzed based on the test of Korean reading strategy, the test of Korean reading motivation, the test of Korean reading anxiety, and the Korean reading environment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as a foreign language based in Seoul, Busan, Daegu, and Ulsan. Results As a resul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use of Korean learners reading strategies as foreign languages and the motivation to read Korean was shown. In addition, there was a correlation of definitions that were significant in the factors of the interactive environment in the classroom. The physical factors in the classroom were not verified to have a significant correlation in direct paths, but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motivation for reading Korean and the mediation relationship was verified. Among them, especially the interaction environment and reading motivation had an effect on the increase of the use of Korean reading strategies. Conclusions Since there has been a lack of macro-level discussion of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learner s use of reading strategies and impact factors in Korean reading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verification of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use and influence of reading strategies by Korean learners in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principle and method design of reading strategie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 KCI등재

        뇌기반 교육원리를 적용한 가정과 공감교육 프로그램 개발

        이은진(Lee, Eunjin),최새은(Choi, Saeeun)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21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33 No.2

        본 연구는 가정과교육에서의 뇌기반 교육원리를 적용한 공감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ADDE(Analysis, Design, Development, Evaluation)의 절차에 따라 공감 및 뇌과학에 관련된 문헌 분석과 2015 개정 기술⋅가정 교육과정 및 교과서3종을 분석하여 중학생 대상 가정과 공감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전문가 평가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가정과교육에서의공감교육을 위한 뇌기반 교육원리는 ‘모방을 통한 이해’, ‘상상을 통한 추론’, ‘경험을 통한 상호작용’, ‘실천을 통한 내면화’라는네 가지로 도출된다. 2015 개정 기술⋅가정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 결과, 공감은 가정과의 교과역량인 관계형성능력을 기르는요소로서 ‘자신’, ‘타인’, ‘공동체’에서의 관계 차원에서 공감 관련 내용요소들이 다루어졌다. 개발된 프로그램의 전문가 타당도평가를 분석한 결과 전체 항목의 타당도 평균이 4.88, 타당도 지수(CVI)는 0.98로 프로그램이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통해 가정과교육에서의 공감교육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고, 현재 가정과교육에서는 뇌과학을 고려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인데본 연구는 가정과교육에서의 공감교육을 ‘뇌과학’과 접목하여 새롭게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Empathy Education Program by employing the brain-based education principle in home economics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e study used the “ADDE” (Analysis, Design, Development, and Evaluation) method to develope a Empathy Education Program for middle-school students. Analysis from previous literature derived that four principles of brain-based empathy education in home economics education: 1) understanding through imitation; 2) inference through imagination; 3) interaction through experience, and 4) internalization through practice. Based on these brain-based four principles and three components of empathy, a total of 15 lessons were designed and developed for the educational program for middle-school students, “FEEL” (For Empathy Education & Learning). The contents of this program were selected from the analysis of the 2015-revised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education curriculum and textbooks. Results from expert evaluation of the validity and feasibility of the program showed that this program is highly valid with an average validity score of 4.88 and 0.98 for the validity index (“CVI”).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be effectively employed in the middle school free-year policy system. Also, this study contributes to shedding light on the possibility of combining empathy education with home economics education by presenting newly presented elements of empathy and brain-based education principles in home economics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