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중섭 회화의 아이들 유형 분석

        이은주(Lee Eunjoo)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 2017 한국근현대미술사학 Vol.33 No.-

        This paper studies the art world of Lee Jungseob by applying Analytical Psychology of Jung in his artworks. The children depicted in Daehyang Lee Jungseob’s works are characterized as an object of life painted mostly based on his memories rather than from the observations of actual models. An artist sees the outside world thorough his mental structure and therefore accordingly, his views will change when said mental structure changes. The images depicted by an artist thus comprise an important element for understanding his work. Theref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opics and objects as depicted in Lee’s art focused on Lee’s psychological changes as caused by the historical time period that he lived in, the external shocks that he personally experienced, and his traumas, such as his own son’s death, separation from his family, and the failure of his art exhibit, all of which became the basis of his art world. Because an artist completes his work by conveying his inner world within the work, his work helps the artist to understand himself easily by making the artist focus on the ambiguous emotions embedded within him. However, a question is raised, namely which psychological approach is needed to reach that certain understanding. The nature, characters, and experiences of an artist are related to the way the artist expresses himself in his work, and the experiences are saved in the artist’s memory either internally or externally. As psychiatrist and psychologist Jung (Carl Gustav Jung, 1875-1961) said about images, "everything we do not know about or we always seem to have forgotten but being aware of is an image and an image is a mind." In other words, experiences are saved as images in the mind. Furthermore, Jung divided the creative work of art or literature into "Psychological type of creative work (Psychologische Art des Schaffens)" and "Visionary type of creative work(Visonare Art des Schaffesn)". The former ‘psychological type of creative work’ refers to a method of expressing the most intense life experience in the artworks, with the purpose of expanding the possibility of the experience in an individual’s daily event or fact and delivering it to others in the most impressive way. At this time, the primary matter(Urstoff) is eventually the daily event of fact that is embraced by the writer or poet. However, the latter "visionary type of creative work" originates from the most unfamiliar and the strangest original experience(Urerlebnis) that a human spirit can have. It is a process of identifying the spiritual characteristics of an artist in creating his artworks. In the context of psychological meanings of the materials in the paintings, the peach is used to express the yearning for a wish in a visionary way, while the motif of the string is a psychological type of creative work and is a symbolic expression of self that is entwined in a complex relationship of parents and children. The blue crap is a psychological reflection of unstable state of reality. As such, the types of children in Lee Jungseob’s paintings may be referred to as the creative types of his psychological and visionary reflection that expresses his mental world.

      • KCI등재

        양자키분배와 IPSec을 결합한 네트워크 보안 장치 연구

        이은주,손일권,심규석,이원혁,Lee, Eunjoo,Sohn, Ilkwon,Shim, Kyuseok,Lee, Wonhyuk 한국융합보안학회 2021 융합보안 논문지 Vol.21 No.3

        현존하는 대부분의 인터넷 보안 프로토콜은 소인수분해 문제의 수학적 복잡도에 기초한 고전적인 암호화 알고리즘에 의존하고 있으나, 이러한 고전 알고리즘은 양자 컴퓨터의 공격에 취약하다고 알려져 있다. 최근 양자 컴퓨팅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하면서 기존 통신의 물리 및 네트워크 계층 보안을 위해 양자키분배 기술을 적용하는 것이 국제적으로 필수적인 과제가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성형 네트워크에 적용하기 위한 plug & play 방식의 양자키분배 장치를 제작하고, 생성된 양자키를 IPSec의 키 교환 과정에 이용함으로써 기존 IPSec 장치와 연동 실험한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Most of the internet security protocols rely on classical algorithms based on the mathematical complexity of the integer factorization problem, which becomes vulnerable to a quantum computer. Recent progresses of quantum computing technologies have highlighted the need for applying quantum key distribution (QKD) on existing network protocols. We report the development and integration of a plug & play QKD device with a commercial IPSec device by replacing the session keys used in IPSec protocol with the quantum ones. We expect that this work paves the way for enhancing security of the star-type networks by implementing QKD with the end-to-end IP communication.

      • KCI등재

        블루스의 의미: 『마 레이니의 블랙 바텀』 (Ma Rainey’s Black Bottom)에 나타난 저항과 분노

        이은주 ( Lee¸ Eunjoo ) 대한영어영문학회 2021 영어영문학연구 Vol.47 No.3

        This paper focuses on resistance and fury in August Wilson’ Ma Rainey’s Black Bottom. Ma Rainey gained the nickname ‘Mother of the Blues’ in the decade of the 1920s. She moved from the Deep South to urban Chicago to record songs with her band. The white producer, Sturdyvant, and the white manager Irvin try to take advantage of Ma’s singing talent for financial gain without respecting her as a human being and famous blues singer. Ma Rainey strives to get white people to treat her the way she wants to be treated. She fights against the inevitable discrimination and injustice African Americans had to endure. For her, the blues is symbolic of resistance. A young black trumpet player, Levee, is an ambitious musician who dreams of recording his own music in the new style of the era. He represses his own pain and fury from a tragic family history stemming from the persecution of whites. He could not move from the Imaginary toward the Symbolic. This means he lacks having the signifier of Lacan’s Name of the Father. He could never reach the stage of the desiring subject and thus remains as merely a little child. He bears his frustration badly about his crushed dreams caused by white people. In this poor state, he can not control himself, and releases his fury by murdering his black colleague, Toledo. (Sungkyul University)

      • KCI등재후보

        무용 기록으로서의 구술사

        이은주,Lee, Eunjoo 성균관대학교 트랜스미디어연구소 2019 트랜스- Vol.6 No.-

        무용은 '몸'을 표현의 도구로 사용하는 예술이다. 또한 한 번 행해지면 소멸되는 무형체성과 일회성을 특징으로 한다. 즉 무용은 살아있는 몸의 예술이기 때문에 문자로 기록하는 것은 난해하다. 오늘날 영상이라는 디지털매체의 발달은 기록을 용이하게 했지만 이 역시 여전히 무용작품의 시각적인 면만을 기록한다는 한계를 지닌다. 이러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춤의 기록과 보존이 중요한 것은 과거와 현재의 만남이자 현재적 시점에서 재현과 해석을 할 수 있는 근거가 되기 때문이다. 무용가의 기억을 통한 기록방법인 구술사는 이를 가능하게 열어준다. 무용가의 언어로 자신의 삶과 예술을 기억하며 채록하고 연구하는 구술사는 무용의 기록방법으로서 무용가를 주체적으로 드러낸다. 또한 이를 근거로 현재적 시각에서 무용사 뿐 만 아니라 무용이 사회와 맺게 되는 상호작용을 읽어냄으로써 역사를 보는 다양한 관점을 지니게 한다. 따라서 무용분야 구술사는 무용가의 구술을 채록하여 기록으로 남긴다는 의의와 함께 여기에 함께 기록되어진 '인간과 사회적 관계'들을 남기는 것이다. 이렇게 기록되어진 무용분야 구술사는 분석과 해석이 더 해져 무용사 읽기, 역사 읽기의 창이 된다. Dance is an art that includes not only art historical facts, but also a series of processes for dancers' body, choreography, and the creation of entire process of dances and their lives. In other words, dance is the art of embodying the experience and consciousness of the dancer as the subject, and embodying it through the physical body, and therefore, the existing empirical study which relies solely on the literature in the history of dance study is difficult to deliver a complete history. Oral history is a new methodology historical writing that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research methods based on literature centered documents. Oral history in the field of dance is that the dancer becomes the subject of the history of dance's narrative. The memory and testimony of a dancer can become a history, complement the missing parts of the documentary record, and amount to analysis and interpretation to attempt the history of dance from various perspectives. The history of dance through oral history analysis thus generates another view from the literature. The oral history is acted as a prism that can explore the sociocultural discourse of the time and the history of dance. As a new academic challenge for the history of dance field, I expect to be able to review the artistic, social, and cultural functions and roles of dance beyond the limit of existing literature-oriented history study and to be able to progress to various the history of dance.

      • KCI등재후보

        국내 무용영화의 발전 가능성 연구 - '서울무용영화제'와 '댄스필름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이은주,정의숙,LEE, Eunjoo,CHUNG, Euisook 성균관대학교 트랜스미디어연구소 2018 트랜스- Vol.4 No.-

        무용과 영상 테크놀러지의 결합으로 시작된 무용영화는 새로운 장르로 자리매김하며 발전되어오고 있다. 해외에서는 이미 1950년대부터 실험적인 무용영화가 창작되었고 댄스필름협회가 조직되었으며 많은 무용영화제가 개최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 무용영화라는 장르에 대한 인식과 창작활동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것은 얼마 되지 않았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서울무용영화제' 개최와 '댄스필름 프로젝트'의 창작적 실험은 국내의 무용영화 발전에 중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무용영화에 대한 개념과 발전과정, 해외 여러 무용영화제와 '서울무용영화제'의 현황과 특징을 살펴보고, '서울무용영화제'와 '댄스필름 프로젝트'의 역할과 기능, 그리고 이들의 협업으로 인한 기대효과를 분석하며 국내 무용영화의 발전 가능성에 대해 논의했다. '댄스필름 프로젝트'는 댄스필름 제작의 교육과 실험의 장으로, '서울무용영화제'는 무용영화 제작자 발굴, 작품 상영, 관객과의 대화, 국제교류, 유통 등의 플랫폼이 된다. 무용영화제는 무용영화의 과거와 현재의 흐름을 인식하고 미래를 전망해 볼 수 있는 살아있는 컨텐츠로서의 가치를 내재하고 있다. 이 두 단체의 상생과 발전은 국내 무용영화 발전에 긍정적인 역할을 다 할 것이라 기대된다. Dance films, which started together as a combination of dance and video technology, have evolved into a new genre. Overseas, from early 1950s, experimental dance films have been produced and the dance film association is organized along with many dance film festivals are being held. However, it has not been long since the perception and creativity of the genre of dance films in Korea. Under these circumstances, holding of the 'Seoul Dance Film Festival' and experimental approaches by 'Dance Film Project' are important for the development of domestic dance films. Therefore, this paper explores the concept and development of dance films, the status and features of various overseas dance film festivals and the 'Seoul Dance Film Festival'. This paper also explores the roll and function of 'Seoul Dance Film Festival' and 'Dance Film Project', and their expected benefit along with possibilities of prosperity of domestic dance film. 'Dance Film Project' is the educational and experimental venue for producing of dance films, and the 'Seoul Dance Film Festival' is a platform for producing dance film makers, show of works, dialogue with audiences, international exchanges, and distributions. The dance film festival embodies the value of the past and current flow of the dance film and is intrinsic to the existence of a live content that can be predicted the future aspect of its roll. The two groups mutual growth and development are expected to play a positive role in the development of domestic dance films.

      • KCI등재후보

        사용자의 이용 요구 차이를 반영한 학교건축물의 개·보수 계획 - 서울시 학교 화장실 개·보수 사업 시행 사례 -

        이은주,Lee, Eunjoo 한국교육시설학회 2018 敎育施設 Vol.25 No.3

        Unlike other educational spaces in school facilities, restrooms have remained unpleasant spaces without reflecting the change in social awareness and students' lifestyle. In the process of the 'School Restroom Environment Remodeling Project in Seoul' by means of "user participatory design method", this study aimed to suggest a design of the school restroom environment responding to the different needs of actual users, who are students and school staffs. By surveying them, it was revealed that they have a variety of respective behavioral patterns and spatial needs according to their status, gender, age and working perio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eparate restroom facility standards that respond to the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cond, there should be an expansive approach to widely accommodate with the users' needs that were found out through 'user participation', more than just repairing pre-existing space. Third, it needs to have critical review of the maintenance and operation system itself as well as the improvement of the school restroom environment.

      • SCOPUSKCI등재

        International Comparison of Nursing Interventions Performed by Neurologic and Orthopaedic Nurses

        이은주,Lee, Eunjoo Korean Society of Adult Nursing 2001 성인간호학회지 Vol.13 No.4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 아이오와 대학에서 개발된 Nursing Interventions Classification (NIC)을 사용하여 신경기계 병동과 정형외과 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이 가장 빈번히 수행하는 간호중재를 파악함으로서 이러한 부서의 간호중재 리스트를 개발하는데 있다. 그리고 확인된 간호중재의 리스트를 미국 간호협회의 핵심 간호중재 목록과 비교함으로써 양국간의 간호중재의 유사성과 차이를 비교함으로써 한국간호의 발전을 도모하는데 있다. 방법: 8개의3차병원 및 종합병원 근무하는 간호사에게 NIC을 번역하여 소개한 뒤 가장 자주 수행하는 간호중재 30개를 선택하게 하였다. 선택된 간호중재는 빈도와 백분율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미국의 핵심간호 중재목록과 영역(domain)별, 분류군 (class)별로 비교하였다. 결과: 신경기계 병동은 30개의 간호중재를 정형외과 병동은 34개를 핵심간호중재로 확인하였다. 한국과 미국의 간호중재를 비교해본 결과 신경기계 병동의 간호중재와 미국American Association of Neuroscience Nurses (AANN) 의 핵심간호중재 목록과는 단지 5개의 간호중재가 일치하였지만 정형외과 병동의 간호중재목록은 미국의 National Association of orthopaedic Nurses (NAON) 의 핵심중재목록과 27개의 간호중재가 일치되어 더 많은 유사성을 나타내었다. 두 나라의 간호중재를 영역(domain)별로 비교해보면 한국 간호사의 간호중재는 미국간호단체의 핵심간호 중재 목록보다 신체적 간호에 보다 많은 편중을 보였다. 결론: 한국간호사의 간호중재가 신체적 간호중재에 집중되어 있으므로 환자간호에 보다 전인적인 간호중재가 수행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핵심 간호중재 목록은 병원의 간호정보시스템을 개발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간호지식의 확장이나 staffing, 간호 수가화, 그리고 궁극적으로는 간호의 효과성 연구를 자극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정신장애인들의 문화예술 및 유튜브 크리에이터 활동 참여와 회복 경험

        이은주(Eunjoo Lee),정현주(Hyunju Chung)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2023 생명연구 Vol.67 No.-

        본 연구는 '온택트-투게더' 프로그램에 참여한 정신장애인들의 경험을 그들의 시각과 관점에서 알아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프로그램에 참여한 10명의 정신장애인들을 대상으로 일반적 질적연구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코로나로 집안에 갇힘', '비대면과 대면: 갇힘과 나옴', '기관: 보호와 인정의 안전지대', '타인과 연결되어 성장함', '일상을 관리하고 일을 통해 세상에 나가기를 희망함'이라는 5개의 주제와 23개의 하위주제, 82개의 의미단위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참여자들이 팬데믹에서 앤데믹으로 나아가는 기간에 문화예술 활동과 사회적 지지를 부여하는 온택트-투게더 프로그램의 참여를 통해 사회적 재결합과 회복으로 나아가는 여정을 경험하였음을 제시하였다. 또한 온택트-투게더 프로그램은 참여자들에게 유튜브, 화상회의, SNS 소통에 기초한 사회적 참여의 새로운 공간을 열었고, 그들이 그 공간의 소비자뿐만 아니라 생산자로서 자신감 있게 활동하는 기술과 도구를 제공함으로써 임파워먼트의 향상의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u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 of mental health service users who participated in ‘the On-tact Together Project’ based on culture and arts activities and YouTube creator courses. Using a gener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ith in-depth interviews with 10 participants, 5 themes, 23 sub-themes, and 82 semantic units were drawn. A total of five themes are 'Stuck at home due to Covid 19', 'Non-face-to-face and face-to-face-Trapped and coming out', 'Institution-Protection and safety zone', 'Connected with others to grow and preparing for future, Managing daily life and hoping to go out into the world through work'. The research results suggest the process to recovery was presented through the experience of the On-Tact Together program with institutional support and social support during the endemic. The results also indicate that the On-tact Together program might open a new space of social inclusion based on YouTube, video conferencing, and SNS communication to the participants, and provide the technology and tools that enable them to act confidently as producers as well as consumers of the space.

      • KCI등재

        1960-1970년대 실험미술과 매체예술에 관한 연구

        이은주(Lee Eunjoo) 현대미술사학회 2020 현대미술사연구 Vol.0 No.48

        본 연구에서는 1960-1970년대 한국화단에서 개진된 융복합적 예술의 실천적 움직임을 분석한다. 1960-1970년대 실험미술 작가들은 새로운 매체 탐구를 위해 설치미술, 퍼포먼스, 네온사인아트, 오브제아트, 전자예술, 라이트아트 분야를 실천적으로 탐색했다. 이 시기에 발생했던 예술과 과학, 신기술에 의한 예술 현상은 미술장르뿐 아니라, 연극, 무용, 해프닝, 소설, 시 등에 빠르게 번지고 있었다. 전자음악과 전자예술이 다양한 행사로 한국에 소개되면서 소위 1960-1970년대 아방가르드 예술가들의 새로운 조형 의식 연구에 활력을 불어넣었다. 1990-2000년대 디지털 매체 시대가 본격화되면서 컴퓨터, 인터넷, 네트워크기술을 활용한 예술이 비디오아트, 미디어아트, 뉴미디어아트의 성격으로 미술계에 자리 잡히게 되었다. 디지털 매체 시대는 무엇보다 예술과 과학, 예술과 기술의 논의가 복합적이고 직접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는 계기를 다시 소환시켰다. 더 나아가 예술과 첨단과학의 만남을 넘어 각각의 다른 분야의 예술장르가 교차하는 다원, 융복합 예술 현상은 현장에서 이제 너무 자연스러운 광경이다. 우리는 이제 전시장에서 무용가와 연극인을 만나고, 전시장에서는 미디어 작가, 소설가 등과 허물없이 조우하고 있다. 연구자는 디지털, 과학기술, 학제 간 연구로 복합적인 예술형식의 원론적인 분석을 시도하고자, 융복합적 예술이 일어났던 초기 1960-1970년대의 예술가들의 활동에 초점을 두어 연구하였다. This paper primarily analyzes convergent art practices which actively unfolded in Korean art circles in the 1960s and 1970s. Artistic phenomena at the time, propelled by the mixture of art, science, and new technologies, not only influenced fine arts but also spread fast to various art forms such as plays, dance, happenings, novels and poetry. Electronic music and electronic art were introduced to Korean audiences through diverse events and inspired explorations of new formative consciousness by so-called avant-garde artists in the 1960s and 1970s. With the advent of digital media in the 1990s and 2000s, art utilizing computers, the internet, and network technologies had taken root in the art world in the forms of video art, media art, and new media art. This era of digital media, for the most part, enabled once again an opportunity for intricate and direct discourse on the intersection between art and science as well as art and technology. Moreover, moving beyond just the crossing of art and advanced science, it is now strikingly natural to see different art genres come together to drive pluralistic and convergent art phenomena in an art scene. It is common to encounter dancers and theater professionals, or socialize with media writers and novelists at an exhibition. In this paper, I focus on the activities of artists in the early 1960s through 1970s when convergent art emerged, in a bid to conduct a theoretical analysis on multi-layered art forms based on interdisciplinary research covering digital and science technolo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