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객경험기반의 브랜드 아이덴티티 핵심가치 도출 프로세스 연구

        이은실(Eun Sil Yi)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4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0 No.4

        제품이나 서비스의 마케팅 및 커뮤니케이션에 있어기본적인 기준과 방향을 제시하는 브랜드 핵심가치는브랜드 아이덴티티의 중심이 되는 중요한 요인이다. 최근 산업 전반에 걸쳐 고객의 경험을 중시하는 경향과 더불어 브랜드 아이덴티티 역시 고객의 경험을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브랜드의 핵심가치 도출 프로세스 역시 고객의 경험을 중심으로 개발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브랜드 가치는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의 전개와 활용에 있어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중요한 요소이며, 브랜드 가치는 공급자의 목표가 아닌 고객의 경험을 통해 도출되어야 한다는 두 가지 가설을 세우고 고객 경험에 기반 한 브랜드 가치 도출 프로세스를 제시하였으며 이에 대한 검증을 위하여 치과용 영상진단 서비스를 대상으로 프로세스를 적용하여 고객경험에 기반 한 브랜드 핵심가치를 도출하였다. 생산자의 목적을 중심으로 하는 전통적 방식의 브랜드 핵심가치와 대조 되는개념으로, 고객의 경험을 통해 도출되는 고객경험 기반의 브랜드 핵심가치를 도출하는 전략적 프레임워크를 제시한다. 전통적 관점의 브랜드 가치가 제품이나서비스의 특징과 장점을 함축하여 전달하는 메시지라면 경험적 브랜드 가치는 제품이나 서비스의 경험을통해 고객에게 전달해야 할 감성적인 메시지로 볼 수있다. 고객 경험기반의 브랜드 핵심가치 도출을 검증하기 위한 적용대상으로는 고객 경험의 관여도가 높은 의료서비스 중 치과용 저선량 영상진단 서비스를대상으로 선택하여 진료 현장을 방문하고 고객의 경험을 조사하고 분석하여 고객 경험 가치를 도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고객경험기반의 브랜드 핵심가치도출 프로세스를 제시하였다. 이렇게 도출된 핵심가치는 저선량 영상진단 장비의제품브랜드 혹은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치과병원의 서비스 브랜드 핵심가치가 되어, 첫째, 생산자 및공급자 중심의 브랜드가 아닌 고객 중심의 브랜드 확립을 위한 기본 가치를 제공하고 둘째, 브랜드 플랫폼의 최상위 단계인 브랜드 핵심가치를 판단하고 결정하는 기준이 되어 주며 셋째, 다양한 브랜드 마케팅및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에 있어 고객의 경험을 중심으로 하는 방향성을 제공함으로써 일관성 있는 브랜드 활동과 관리가 가능하게 할 것으로 기대된다. Brand core value, guiding directions and fundamental standards for product/service marketing and communications is an important factor in the brand identity design. Recently, with the whole industry tending to focus on customer experiences brand identity is doing so, and the deriving of brand core values must be developed to focus on customer experiences. To this end, this study established two hypotheses -the brand is an important factor that plays a key role in the utilization and development of brand identity design and brand value should be derived from the customer experience not the objectives of the provider- and then suggested a brand value deriving process which is based on customer experience. To verify this process, it is applied on a dental imaging services and brand core value based on customer experience is derived. Unlike the traditional way of brand core value deriving, which focuses on the producer’s purpose, this study shows a strategic framework for deriving brand core value through customer experience. When the traditional view of the brand values implies the features and benefits of the product or service, the experiential brand core value is an emotional message delivered to customers through the experience of the product of service. The low-dose imaging dental health care services, showing high involvement of the customer experience, selected to verify the framework and customer experiential value is derived through medical site visits, customer research and analysis. Based on this experience, the deriving of brand core value based on customer experience process is suggested. Core value derived by this way is a service brand core value of dental clinics that provide products or services in such low-dose imaging equipment, so that first, producers and suppliers can be provided a default value to establish a customer-based brand and second, provides a standard to determine and select brand core value which is the highest level of brand platform, and third, at brand marketing and brand communications, provides a customer experience-based direction to enable consistent brand activity management.

      • KCI등재

        논문 : 의료기기 제품 아이덴티티 디자인 개발전략 연구 -진단용 영상 의료기기를 중심으로-

        이은실 ( Eun Sil Yi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3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2 No.1

        최근 아이덴티티의 개념이 브랜드 중심에서 고객의 터치포인트 중심으로 이동하고 여기에 사용자 경험을 중시하는 디자인의 트렌드가 더해지면서 진단용 의료장비에 있어서도 고객이 실제로 접하고 경험하는 제품의 디자인을 통하여 차별화된 아이덴티티를 확립하고 제품의 부가가치를 높이려는 기업의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본 연구는 제품 디자인에서 나타나는 고객 경험 기반의 디자인 트렌드를 아이덴티티 변화의 흐름과 연결시킴으로서 의료기기의 제품디자인이 일회성 기기디자인이 아닌 명확한 콘셉트와 가치를 지닌 전략적인 제품 아이덴티티로 개발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고객의 디자인관여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디지털영상 진단 장비를 중심으로 제품 디자인의 아이덴티티 및 의료기기 디자인의 환경 변화를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하여 우리나라 의료산업의 핵심 분야인 디지털 영상 진단 의료장비 중 여성 유방암 진단기기인 맘모그래피와 치과 교정용 영상진단기기를 중심으로 의료기기 아이덴티티의 표현 현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의료기기 제품 디자인 아이덴티티 구축을 위하여 디자인 우선의 DCR개념 도입, 고객관점의 친화성과 편의성 도입을 위한 조사와 분석 그리고 CMPF(컬러, 소재, 패턴, 가공)의 차별화를 전략적 디자인방향으로 제시하였다. With recent trends in identity that focuses on customer`s touch point instead of brand and user experiences are being emphasized also, the companies` efforts of increasing the value-added products and establishing essential image identity through the product design which customers touch and experience daily are increasing.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uggest systematic product identity development by connecting the customer experience based design trend appearing in the product design and the large changes in the flow of identity design. For this, this thesis analyzes the design identity of customer-centric product and related new environmental change of medical devices and then with mammography and dental imaging equipment which are core products in Korean medical industry, the thesis researched the status of medical product design identity and suggested the strategic design methods for medical instrument identity design.

      • KCI등재SCOPUS
      • KCI등재

        대학의 홍보마케팅을 위한 UI(University Identity) 슬로건 브랜드 디자인 개발 연구

        이지은 ( Ji Eun Lee ),이은실 ( Eun Sil Yi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4 기초조형학연구 Vol.15 No.5

        본 연구는 대학의 마케팅 전략 도구로써 UI 슬로건 브랜드 디자인 개발을 위한 프레임을 제시하여 대학의 전략적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을 구축하고, 더 나아가 대학의 입시 홍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연구방법의 첫째, 기업의 CI 슬로건 브랜드를 대상으로 해당 브랜드와 슬로건의 연계를 분석하여 3가지 유형 (A : 독립 브랜드 마크형), (B : CI 로고 결합형), (C : CI 모티프 연계형)으로 분류하여 UI 슬로건 브랜드의 구조를 수립하였다. 둘째, 국내·외 대학의 UI 디자인 동향을 검토하여 3가지의 표현방향 (1. 브랜드 자산 강조, 2. 플렉서블 디자인, 3. 가치의 세분화)을 도출하여 UI 슬로건 브랜드의 표현방향을 수립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이렇게 수립된 UI 슬로건 브랜드의 3가지 구조와 3가지 표현방향은 각 대학의 필요와 목적에 따라 유동적인 연합이 가능하여, UI 슬로건 브랜드 디자인 개발을 위한 9가지 프레임 (A+1), (A+2), (A+3), (B+1), (B+2), (B+3), (C+1), (C+2), (C+3)을 제시한다. 도출된 프레임이 모두 유효한 것인지는 검증되지 못한 점이 본 연구의 한계라고 할 수 있지만, 접근방법과 각 대학이 처한 상황과 목적에 맞게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더 나아가 국내와 해외의 문화 차이에 잇따른 UI 표현 차이를 인지한 개발 연구가 계속되어 대학의 글로벌 브랜드 확립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rve as a tool to suggest the frame, which is for developing UI slogan brand design to build a strategic brand communication for university. Furthermore, this study aims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admission promotional marketing of university. For the Study, research methods are first, analyzed the targeting the CI slogan brand of corporations on relationship between CI brand and slogan and established the structure of the UI slogan brands that a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A : independent brand mark, B : combined CI logo, C : associated with CI motifs). Second, reviewed the trend of UI designs in domestic and foreign countries and established the direction of expressions of the UI slogan brands that a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1. emphasis on the brand equity, 2. flexible design, 3. subdivision of the value). As the result of this paper, the three structures and the three expression directions can be combined flexibly. And I suggest nine frames for developing UI slogan brand design, which are (A+1), (A+2), (A+3), (B+1), (B+2), (B+3), (C+1), (C+2), (C+3) to be utilized for different needs and purposes for each university situations.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derived frame is not verified. However, I expect the study to be suitable for use in each university`s various situations and needs. Moreover, I hope the study on culture differences between domestic and foreign expression to continue to establish its global brand of university.

      • KCI등재

        소비자 감성가치 중심의 브랜드 컬러 선정 기준 연구

        이은희(Lee, Eun Hee),이은실(Yi, Eun Sil)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6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2 No.2

        최근 브랜드 전략에 있어서 소비자 중심적 역할을 하게 되면서 기업과 소비자 간의 커뮤니케이션 역시 중요한 요인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에 따라 언어적, 시각적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에서도 소비자 감성을 부각하여 성공한 사례가 늘어가고 있다. 감성적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중요한 요인인 브랜드 컬러 역시 이전과는 다른 모습으로 변화해 가고 있다. 그러나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핵심 요소인 브랜드 컬러의 선정은 뚜렷한 기준이 없이 단순한 제품 속성에 의해서 혹은 디자이너의 즉흥적 판단으로 결정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브랜드 컬러의 선정 기준을 일반적 기준-제품이나 서비스의 속성을 표현하는 경우와 변화하는 기준-소비자 감성치를 표현하는 경우로 구분하고 이 중 새롭게 변화하고 있는 소비자 감성중심의 브랜드 컬러 선정 기준에 대한 프레임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특히 시대적 · 환경적으로 그 의미가 급변한 핑크색을 대상으로 변화의 내용을 살펴보고 도출된 프레임에 적용하여 연구의 결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범위와 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미디어와 소비자의 변화에 관한 학술논문 등을 중심으로 소비자 감성 중심의 변화 배경을 조사하였다. 이어 선행연구를 통하여 연구의 필요성을 이해하고, 2016 한국브랜드 50순위를 통해 브랜드 컬러의 변화와 기준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브랜드 컬러 선정 기준은 프레임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프레임은 디자이너의 감성적 브랜드 컬러 선정에 타당성을 부여 하는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communication between companies and consumers is also emerging as a key factor as customers come to play a central role in recent brand strategies. For this reason, there is growing successful cases which highlight consumers" emotions in terms of verbal and visual brand communications. However, choices of the brand color, the core element of brand identity, are frequently decided simply by characteristics of products or by designers" impromptu judge without clear criteria. This paper, thus, classifies the criteria for brand color choices as general standards showing properties of products or services, and changing standards representing customers" emotional value, and among those two standards, suggests a frame for standards of the brand color choices focused on newly changing consumers" emotions. After I examined the contents of changes targeting pink color whose meaning had changed suddenly historically and environmentally, I verified the research results by applying them to the drawn frame. The scop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I firstly the consumers" emotions trend background was investigated based on the published papers on media and changes in consumer. Then, I understood the need for this research through the preceding studies and I drew the results of brand color changes and standards by looking into 2016 Korean brands top 50. I attempt to propose the frame for the drawn criteria of brand color choices. The frame that is suggested in this paper is expected to provide designers’ emotional brand color choices with valid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