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심미적 디자인의 감각포만이 지각된 가치와 제품전환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은미,전주언 한국상품학회 2019 商品學硏究 Vol.37 No.5

        기업이 전략적으로 구축한 심미적 디자인은 경쟁사가 모방할 수 없는 차별화된 경쟁우위를 창출하기 때문에 많은 기업들로부터 관심을 받아 오고 있다. 무차별적으로 노출되는 마케팅 자극들 사이에서 심미적 디자인은 소비자에게 자사 제품의 인지도를 빠르게 구축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아오고 있다. 하지만 전주언, 이은미 (2019)는 심미적 디자인과 관련된 기존 연구들을 고찰하는 과정에서 심미적 디자인의 반복적인 노출로 인해 유발될 수 있는 감각포만이 발견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논의가 부족했다고 지적한 바 있다. 그들은 심미적 디자인 제품의 반복 사용으로 인해 초기에 경험했던 감각적 즐거움에 익숙해지고 피로감을 느낌으로써 싫증이 발생하는 과정을 감각포만으로 개념화했다. 그리고 감각포만을 설명하는 구성개념으로 익숙함, 감각피로 그리고 싫증을 발견했으며. 이를 측정할 수 있는 측정항목을 개발했다. 하지만 해당 연구를 고찰하면 개발된 측정항목의 타당성 측면에서 한계가 발견된다. 이에 본 연구는 심미적 디자인으로부터 유발되는 감각포만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의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감각포만의 구성개념들이 감각포만을 충분히 반영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개념 타당성을 검증했다. 둘째, 감각포만을 경험한 소비자들의 행동을 예측하는 예측 타당성을 검증했다. 이상의 연구결과에 근거해 심미적 디자인으로부터 유발된 감각포만을 경험한 소비자들은 해당 제품의 지각된 가치를 낮게 평가해 결국 다른 제품으로 전환하려는 의도가 형성될 수 있음을 밝힐 수 있었다. 따라서 심미적 디자인을 강조하는 기업은 소비자들의 감각포만을 늦추기 위해 제품 노출을 통제하고 감각포만을 망각시킬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전략 구축의 필요성을 실무 관점에서 제안할 수 있다. Sensory satiation is a important issue in current marketing environment. Sensory satiation refers to the drop in the sensory pleasure are evoked by repeated aesthetic design. Jeon and Lee (2019) distinguished several sensory satiation dimensions and constructed a sensory satiation scale that includes three dimensions. This research show that the scale is reliable, valid, and distinct from other constructs. The empirical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is research found that sensory satiation construct includes three dimensions: satiation, sensory fatigue, and accustomedness. Second, sensory satiation including satiation, sensory fatigue, and accustomedness influences perceived value negatively. Finally, this research demonstrates sensory satiation affects product switch intention directly and indirectly through perceived value.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contribute to develop differences between sensory satiation and aesthetic experience and to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on marketing management.

      • KCI등재

        Pourtant의 위치들과 의미해석에 관한 고찰

        이은미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05 프랑스어문교육 Vol.19 No.-

        Pourtant은 출현 위치에 구애받지 않는 표지어이다. 그동안의 pourtant에 대한 연구에서 pourtant의 위치와 의미해석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예를 찾아볼 수 없다. 단지 Grand Robert나 Trésor de la Langue française와 같은 사전들에서, 또는 Le Bidois 형제들의 연구에서 끝자리 pourtant을 언급하며 그 예문들을 소개할 뿐이다. Morel은 pourtant의 위치들을 언급하지만, 이들이 의미해석에는 변화를 주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한 언술에서 pourtant의 위치를 달리하면 언술의 가치를 논할 수 없을 정도로 수용되지 않는 경우를 발견하게 된다. 또한 설사 수용되는 언술이라 하더라도 그 의미해석이 달라지는 경우도 허다하다. 이것은 pourtant의 위치가 의미해석과 연관이 있음을 의미한다. 앞자리 pourtant은 두 화자가 의견대립을 보이는 상황맥락에서 자주 출현한다. 앞자리 pourtant을 통해 언술화자는 선행구축 되어 있는 서술관계로 상대화자가 설정한 서술관계를 직접 반박한다. 끝자리 pourtant은 설정된 관계에 대해 언술화자가 돌이켜 본 후, 그 관계에 대한 정당성을 의심한다. 따라서 끝자리 pourtant은 앞자리 pourtant과는 다른 억양으로 발화되고, 상대화자를 직접적으로 반박하지 못한다. 중간자리 pourtant은 화자들의 의견대립은 부수적이고, pourtant이 수식하는 P항과 Q항의 구성요소들을 문제시하여 양보의 의미를 지니게 한다. 프랑스 문법에서 pourtant의 동의어로 간주되고 있는 cependant, néanmoins, toutefois가 출현할 수 없는 테마자리에서는 주절의 주어를 선행하는 분사구문의 형태와 pourtant의 불변소적 속성인 좌표결정 기능이 어우러진다. 시간선 상에서 유효한 가치가 이미 전제되어 있는 함축관계와 차이가 있음을 나타내는 테마자리 pourtant을 통해 언술화자는 놀라움을 표현한다.

      • 대사증후군의 개요

        이은미,Lee, Eun-Mi 한국생명보험의학회 2007 保險醫學會誌 Vol.26 No.-

        대사증후군은 비만, 이상지혈증, 고혈압, 당뇨병이나 내당능 장애가 동반되어 나타나는 증후군이다. 근래 들어 우리나라도 점차 비만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대사증후군의 유병률이 빠르게 증가하는 추세를 보여. 대사증후군에 대한 간단한 개념 정리를 하였다. 먼저 대사증후군의 정의와 진단기준을 살펴보았다. 1998년 대사증후군을 명명하고 진안기준을 제시한 WHO 진단기준, NCEP-ATP III 진단기준, 인슐린 저항성 증후군의 진단기준을 살펴보고, 기타 인종에 따른 허리 둘레 기준 및 IDF 정의를 살펴 보았다. 또한 대사증후군과 관련된 여러 인자들도 다시 확인해보고, AHA/NHLBI 진단 기준도 살펴 보았다. 우리나라는 대부분 연구에서 NCEP-ATP III 기준을 적용하고 있는데, 그 내용은 복부 비만 허리둘레 남자 102cm 이상, 여자 88cm 이상, 중성 지방 150mg/dl 이상, HDL-콜레스테롤 남자 40mg/dl 미만, 여자 50mg/dl 미만, 혈압 130/85 mmHg 이상, 공복 혈당 110mg/dl 이상이다. 복부 비만의 경우는 2000년 제정된 WHO 서태평양 지역 기준인 남자 90cm, 여자 80cm 이상으로 적용하고 있다. 다음 치료의 기본 개념을 간단히 언급 하였는데, 가장 중요한 치료는 우선적으로 생활 습관의 개선을 꼽을 수 있으며, 기타 약물요법 및 인슐린 저항성 개선제 등이 있다. 우리나라 에서도 심혈관계 질환과 당뇨병이 점차 사망 원인의 우위를 차지 하고 있으므로 대사증후군을 초기에 진단하고 관리하는 노력이 매우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생명보험사도 대사증후군을 하나의 증후군으로 인식하여 대사증후군의 전반적인 이해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日本人の若年層の会話における ディスコース・マーカーの研究

        이은미 한국일본언어문화학회 2018 일본언어문화 Vol.44 No.-

        In this study, the usage of discourse markers in conversations between friends of Japanese female high school students and conversations between friends of Japanese female university students was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types of discourse markers used in actual conversations are not so different between those of female high school students and those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Moreover, in both conversations, there are common tendencies in that the proportion of ‘なんか’ is the highest, and the proportion is high in order of ‘じゃない(か)’, とか’, みたいだ’, ‘ちょっと’. However, there were differences in detail usage patterns between female high school students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that the preferred discourse markers in both conversations are different and abbreviations are often used in conversations between female high school students. On the other hand, the frequency of use of the discourse markers was higher in conversations between female university students, compared with conversations between female high school students. Multiple discourse markers were used in a single utterance, and this tendency was remarkable even in the co-use of ‘なんか’.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