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영증강 초음파 진단에서 파라미터 영상 생성 및 개선 기법

        김신해 ( Shin-hae Kim ),이은림 ( Eun-lim Lee ),조은비 ( Eun-bee Jo ),김호준 ( Ho-joon Kim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7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공학 Vol.6 No.4

        본 논문에서는 조영증강 초음파 진단시스템에서 유용성과 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영상처리 기법을 제안한다. 의료초음파 영상에서 진단 파라미터 데이터를 가시화 하는 방법론으로서 연속적인 픽셀 값을 갖는 전이시간 데이터의 표현과, 4가지 유형의 값으로 분류되는 병변 진단 파라미터 영상을 생성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또한 생성된 파라미터 영상에서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방법론으로서 MRF 모델을 이용한 영상개선기법을 제안한다. 이러한 파라미터 영상 생성기법은 초음파 진단 데이터에서 조영증강 패턴의 동적인 변화에 대한 육안 판별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게 한다. 제안된 방법은 원영상에서 영역의 윤곽선을 명확하게 하며 4가지 색상을 통하여 병변의 특성에 관한 시각적 판단을 용이하게 한다. MRF기반 영상개선 과정에서 연속적인 픽셀 값에 대한 에너지함수를 정의하고 이를 최적화 하는 기법을 개발하였으며 실제 의료영상을 사용한 실험을 통하여 제안된 이론의 유용성을 평가하였다. This paper proposes image processing techniques that improve usability and performance in a diagnostic system of the contrast-enhanced ultrasonography. For a methodology for visualizing diagnostic parameter data in an ultrasonic medical image, an expression of transition time data with successive pixel values and a method of generating a lesion diagnostic parameter image with four categorized values are presented. We also introduce a MRF-based image enhancement technique to eliminate noises from generated parametric images. Such parametric image generation technique can overcome the difficulty of discriminating dynamic change in patterns in the ultrasonography. The technique clarifies the contour of the region in the original image and facilitates visual determin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lesion through four colors. With regard to this MRF-based image enhancement, we define the energy function of consecutive pixel values and develop a technique to optimize it, and the usability of the proposed theory is examined through experiments with medical images.

      • KCI등재

        학습장애 연구에 관한 최근 동향 분석 : 국내 자료를 중심으로 focused on the learning disability all research in Korea

        이은림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1998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14 No.2

        본 연구는 최근 15년간 국내 학습장애 관련 선행 연구들을 Kirk가 분류한 학습장애 분류인 발달적 학습장애와 학업적 학습장애로 나누어 각 장애영역별 중재방법, 집단 하위유형, 표집방법, 진단 및 판별도구, 측정도구 및 측정치별로 분류하여 전체 동향을 분석해 보았다. 발달적 학습장애 영역에는 정보처리, 지각, 인지양식 관련 자료와 인지, 정서·행동 관련 자료, 교수-학습전략 및 상위인지 관련 자료를 포함시켰고, 학업적 학습장애 영역에는 읽기 및 독해, 수학 관련 자료를 포함시켜 분석하였다. 표집방법, 진단 및 판별도구에 따른 자료분석 결과 첫째, 학습장애를 가장 효율적으로 기술하고, 정확하게 예언할 수 있는 학습장애 하위집단 분류 연구의 필요성, 둘째, 학습장애 중재 방법에서 전략 훈련 외 신경심리적, 심리교육적, 사회행동적 변인들이 통합된 학령전 아동부터 발달기 아동 전체를 고려한 측정도구 개발의 필요성, 셋째, 기대-성취도간 격차 방법을 고려하여 학습장애를 선별할 때의 지능수준 준거 문제, 넷째, 쓰기영역 연구의 필요성, 다섯째, 학습장애 세계적 동향 연구의 필요성 등이 논의되었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analysis research trends in learning disability. It surveyed Korean journals from 1984 to 1998 as well as other related masters', degrees' theses. There are two research analyses as Kirk classfied to the learning disability. One is the developmental learning disability and it contains information processing, perception, cognitive style, cognition, emotion, behaviour, teaching-learning strategy and meta-cognition. This position focused academic readiness skills to accomplish learning performances. The other is a academic learning disability and it contains reading, reading comprehension, writing, mathematic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journals and theses were as follows: 1. As an attempt to understand the major deficits, function, theoretical concepts in learning disabilities, researchers need to be regarding the approach of cognitive, neuropsychological, social-behavioral domain with learning disability in advance. 2. It is urgent thing to develop diagonostic testing and assesment with learning disability for preschool children because most of them were made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3. KEDI-WISC and Primary Learning Test of Skills were commonly used in domestic research as learning disability diagnostic assessment, but children's IQ criterion for survey is different. It seems therefore we shall study more and more. 4. It contains reading, reading comprehension, mathematics, writing areas in academic learning disability. However we didn't find writing disability research in domestic research. We need to research this area furthermore. 5. I think this research is limited in Korean jouranals and theses, so we have to analysis and compare korean and foreign research of learning disability to know the world trends.

      • KCI등재

        부적응행동 및 대인관계 결함 발달지체아동의 미술치료 사례연구

        이근매,이은림,김일명 한국특수아동학회 2002 특수아동교육연구 Vol.4 No.1

        최근에는 발달지체아동의 문제행동을 감소시키거나 대인관계를 개선시키기 위한 한 방안으로 미술치료가 대두되어 우리 나라에서도 이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한 효과에 관한 연구가 많이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부적응 행동 및 대인관계 결여가 있는 발달지체아동 1명을 대상으로 다양한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함으로써 그 효과를 규명해 보고자 한다. 연구대상으로는 만5세 4개월 된 남아이며, 연구는 주1회 또는 2회 50분씩 총18회기동안 실시되었다. 미술치료 프로그램은 다양한 미술활동과 표현활동 향상에 도움을 주는 사물 그리기를 중심으로 구성하여 실시하였다. 미술치료에 대한 사전ㆍ사후 검사로서 부모관찰, 교사관찰, CARS, 사회성숙도, 인물화검사, E-CLAC을 사용하여 치료효과를 비교ㆍ평가하였다. 개별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 아동은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통해서 부적응 행동이 감소되었다.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진행되어감에 따라 연구자의 강력한 제지 없이도 미술활동에 스스로 참여할 수 있게 되었고, 깨지거나 찢어진 부분이 나와도 적응할 수 있게 되었다. 둘째, 대상 아동은 대인관계 면에 있어서도 변화를 보였다. 프로그램이 진행되어 감에 따라 연구자와의 상호작용이 가능해지며, 연구자의 행동에 관심을 보이면서 관찰하고 스스로 모방을 하기도 하였으며 표현이 어려운 부분에 있어서는 연구자의 손을 끌어다가 도움을 요청하게 되었다. 셋째, 대상 아동은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통해서 다양한 표현활동이 가능해졌다. 대상아동은 과제를 수행해 나가면서 지시에 따라 그리는 능력이 향상되고, 한가지 것에 고집하는 행동이 감소되면서 다양한 표현활동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점으로 미루어 보아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아동의 부적응 행동 및 대인관계 개선에 효과적으로 작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iveness of art therapy on changing behavior problem and improving social skills in a child with developmental delay. The sample for the present study was a male child whose age is 5. 4 years old who has significantly problematic behavior and immature skill in social relation with other person while he is involved in social interaction with another person. In this study, independent variable was art therapy program including various art experience which let child draw and paint objects freely by himself. Several measures which include parent report, therapist report regarding child's problematic behavior and social behavior, CARS, E-CLAC and so on were administered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 of intervention in this study. Overall finding for this study seems to be very favorable to art therapy not only in terms of changing child's maladaptive behavior but also in terms of increasing child's social behavior when he had to interact with another person. The following has also been found in thistudy. First, after intervention, the child manifested less maladaptive behaviors throughout 18 sessions. The child has participated in more art activity voluntarily and more willingly followed rules of activity while he was involved in activity. Secondly, the subject has shown more socialized behavior when he was with another person. After several intervention sessions were passed, it became possible for the child and therapist together to interact with each other during session. What seems most critical improvement is that the child started initiating interaction first with the therapist. The child has observed therapist's modelling behavior, tried to imitate that behavior, and sought help from the therapist from time to time.

      • KCI등재

        언어지도와 병행한 미술치료가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아동의 공격행동 및 부적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

        최은영,이은림,이근매,문장원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00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1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rt therapy along with language instruction that affect maladaptive behavior of ADHD child. One ADHD child participated in this case study. This language program was carried out their 50 minutes per time, once/twice a week, the art therapy program 50 minutes per time, once a week, parent counselling 10 minutes, every session. The pre/post test design was us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art therapy along with language instruction program. The results were in facilitating performance of receptive / expressive language, reducing aggressive and maladaptive behavi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