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Je sais pas’의 담화 기능과 한국어 자막번역

        이은령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3 코기토 Vol.- No.100

        The discourse functions of source language text and target language text do not always align in translation.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maintain the consistency of discourse function in the translation process of discourse markers. This study examines the various discourse functions of the French discourse marker “Je sais pas” and considers the translation patterns in Korean subtitles. “Je sais pas” is a typical single-clause discourse marker in French, and it is used frequently in everyday colloquial speech. It is also frequently used in the dialogue of movies and dramas that imitate the colloquial nature of everyday conversation. Through the close examination of our corpus, we showed the discourse functions of “Je sais pas”, such as having modal value to express the speaker’s uncertainty or indecision about a situation or utterance, and avoiding or distancing oneself from the responsibility of the utterance. We also confirmed the translation patterns of “Je sais pas” in Korean subtitles, such as the modal markers or discourse markers that are translated into Korean as “글쎄”, “모르겠다”, “아마”, and “혹시”. 이 연구는 프랑스어 담화표지 ‘Je sais pas’에 있는 다양한 담화적 기능을 살펴보고 한국어 자막번역에서 나타나는 번역 양상을 고찰한다. JSP는 프랑스어에서 대표적인 절 단위 담화표지로서 일상 구어에서 그 사용 빈도가 매우 높고 일상 대화의 구어성을 흉내 낸 영화 및 드라마 속 대화에서도 빈번하게 사용된다. 본 연구의 말뭉치를 통해 JSP에는 사태나 발화에 대한 화자의 불확실성, 미 결정성 등을 표현하는 양태적 가치가 있고 발화 상의 책임 회피, 거리두기 등의 다양한 담화기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JSP의 다양한 담화기능에 대해 한국어 자막번역에서는 ‘글쎄’, ‘모르겠다’, ‘아마’, ‘혹시’ 등으로 대응되어 담화적 일관성과 화자의 의도를 반영한 번역 전략이 활용되었으나 JSP의 담화 기능이 한국어 번역이 갖는 담화적 기능과 항상 일치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간과되기 쉬운 담화표지 번역 방법 연구에 활용될 수 있으며 자막번역에서도 목표언어의 담화 기능의 일관성과 구어성의 최적화를 고려한 번역전략 수립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옷차림에 영향을 미치는 디자인 특성 연구 : 성인여성의 외출복을 중심으로 Focused on Adult Women's Town Wear

        이은령,이경희 한국의류산업학회 2004 한국의류산업학회지 Vol.6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design properties affecting in evaluated image by adult women's town wear in un-limited circumstance. The stimulus, adult women's town wear, were collected from shopping mall, department stores and churches and evaluated by 20's 150 people. Through the estimations, the 76 pictures of `good image' and 65 pictures of `had image', were selected and analyzed by classification categori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Good Image' is classified 6 groups which are like active casual, feminine casual, adult casual, modern, sporty casual, and elegance. 2) 'Bad Image' is classified 5 groups which are like easy casual, active casual, soft casual, modern casual, and feminine casual. 3) Central code of adult women's town wear from 'Good Image' are simple, bright, and harmony and 'Bad Image' are complicate, heavy, and inharmony. The coordination, how to wear, is very important to evaluate image of women's town wear with other properties. Also, body shape appeared by important variable in evaluation.

      • KCI등재
      • KCI등재
      • 피동 정보를 통한 한국어 동사 어휘의미망 정제

        이은령,윤애선 한국언어정보학회 2005 하계학술대회 발표 논문집 Vol.2005 No.-

        To build a Korean wordnet, we translated semi-automatically the English wordnet PWN into Korean verbs. During this process, we found that some of translation errors are related to the arbitrariness of PWN``s sense distinction in regard to the accusativity/inaccusativity of the same verb form in English. This study presents an empirically based method of remodeling the PWN for Korean wordnet and while revising the PWN``s hierarchical structure, it shows the necessity of classifying the Korean passive verbs as semantically autonomous.

      • KCI등재

        19세기 이중어 사전 한불자전(1880)과 한영자전(1911) 비교 연구

        이은령 한국프랑스학회 2010 한국프랑스학논집 Vol.72 No.-

        Le présent travail a pour but de comparer les macro- et micro- structures du Dictionnaire Coréen-Français et du Korean English Dictionary, qui sont les deux dictionnaires bilingues importants dans l'histoire de la lexicographie coréenne. Malgré le privilège que confère l'histoire lexicographique au Dictionnaire Coréen-Français en tant que le premier dictionnaire bilingue, son influence sur les autres dictionnaires postérieurement publiés n'a guère été abordée. Notre analyse comparative sur les 550 paires de mots vedettes extraits des deux dictionnaires montre leur similarité dans les définitions et la manière dont le Dictionnaire Coréen-Français est utilisé comme référence révèle que celui-ci servait à la source de l'information sémantique lexicale de la langue coréenne du 19ème siècle. Cependant, le “Dictionnaire Coréen -Français” et le “Korean English Dictionary” paraissent différents, notamment dans la manière dont ils décrivent le sens du mot. En particulier, la segmentation du sens lexical et la description encyclopédique constituant la définition laissent voir l'originalité des deux dictionnaires considéré communément comme dictionnaire d'apprentissage. 인간의 두뇌 속에는 모국어의 어휘지식이 저장된 심상 어휘집이 있다. 어휘지식은 어휘가 쓰이는 맥락, 규칙, 용법, 의미적 자질, 음성 및 음운적 특질 등으로 인간 스스로 상상하기 어려운 방대한 언어학적 지식이다. 따라서 언어를 구사한다는 것은 어휘지식의 습득을 전제로 하지만 개인마다 다른 어휘지식을 모두 학습하기란 어렵다. 그러한 의미에서 한 언어를 구성하는 어휘지식의 목록이자 사회적 산물인 어휘사전은 사회화된 어휘지식의 기반을 제공함으로써 교육적 기능뿐만 아니라 해당 언어의 사회문화를 파악하고 타 문화와의 소통을 위한 중요한 기초 자료가 된다. 이러한 이유로 17세기 이후 조선을 거쳐 갔던 이방인들은 그 지식수준의 높고 낮 음을 떠나 자신의 경험을 토대로 한국어 지식을 기술했다. 이 과정에서 조선을 직접 경험한 이들과 직접적인 경험이 없었던 서양인들에 의해 다양한 종류의 텍스트가 생산되고 유통되었다. 그중에서 조선의 개항기 전후 입국했던 선교사들의 저작 중 한불뎐 韓佛字典 Dictionnaire Coréen-Français(이후 한불자전)과 韓英字典 Korean-English Dictionary(이후 한영자전)은 모두 조선을 직접 경험했던 서양의 선교사들이 한국인과 더불어 편찬한 사전으로서 당시의 한국어에 관한 저작으로서는 가장 전문적이고 방대한 규모의 저작이라고 할 수 있다. 우선 한불자전은 프랑스인 신부 리델(Felix-Clair Ridel)이 1880년에 일본의 요코하마에서 출판한 사전으로 근대적 의미에서 ‘사전’이라고 부를 수 있는 한국어 이중어 사전이다. 사전을 집필하기 위한 선행 조건이 등재어휘의 목록을 작성하는 것이라면 한불자전은 당시의 이중어 사전 중 가장 많은 표제어인 2만 9천개(어휘부, 지리부)를 수집했다는 점에서 이후 집필된 이중어 사전의 기초 자료로서의 의의가 크다. 한영자전은 캐나다 선교사 게일(James Scarth Gale)이 1897년에 언더우드의 한영 던 A Concise Dictionary of the Korean Language』(1890)과 한불자전, 그리고 그 외 오랜 기간 조선에 체류하면서 수집한 다양한 자료를 바탕으로 집필한 사전이다. 한불자전과 언더우드가 집필한 한영자전의 표제어를 기반으로 했으나 게일의 한영자전은 전문용어, 신조어, 고유명사(인명, 지명) 등을 등재하여 3판까지 출판하면서 점진적으로 등재어 목록을 확장해 나갔다. 본 연구에서는 한불자전(1880)과 한영자전(1911, 2판)을 전자 입력하고, Xml로 형식화한 메타데이터를 활용하여 사전의 거시 및 미시구조를 비교하고 뜻풀이에 나타난 의미정보를 살펴, 각 사전이 한국어 어휘정보를 어떻게 구성하고 있는지 비교한다. 나아가 이를 바탕으로 한영자전이 한불자전을 참조한 방식을 밝혀보고자 한다. 한영자전이 한불자전을 참조한 방식에 대한 분석은 개화기 사전과 국어사전 편찬 역사에 대한 연구뿐만 아니라 비교 문화적 관점에서도 항상 ‘서양’이라는 큰 틀에서 구별하지 않았던 프랑스어권 문화, 영어권 문화의 접근 방법의 차이점을 구체적으로 드러내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초기의 이중어 사전이 이후 한국어 사전 집필에 미친 직, 간접적인 영향관계를 밝힐 수 있는 실증적인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한어문전 Grammaire Coréenne」과 19세기 말 문법서 비교 연구

        이은령 한국프랑스학회 2012 한국프랑스학논집 Vol.78 No.-

        Le présent travail a pour objectif de comparer quatre livres de grammaire publiés par les étrangers à fin du 19ème siècle. Ouvrage publié en 1881 par les missionnaires de la Société des Missions Etrangères de Paris envoyés en Corée,《Grammaire Coréenne》est le premier livre du genre. Ce dernier a profondément marqué les grammairiens de cette époque qui s’interessaient aux études du coréen. 《A Corean Manual or Phrase Book》écrit par Scott, 《Manuel de la langue coréenne parlée à l’usage des français》par Imabult-Huart et《An Introduction to the Korean Spoken Language》de Underwood sont, entre autres, les ouvrages qui s’appuyent notamment sur la description grammaticale proposée par 《Grammaire Coréenne》. Nous pouvons constater que le système de classification des catégories lexicales n’est pas homogène dans les quatre livres mais, les trois livres se réfèrent systématiquement aux analyses morphologiques des verbes coréens et des combinaisons des items lexicaux menées dans 《Grammaire Coréenne》, qui constitue déja en elle-mê̂me un riche corpus du coréen du 19ème siècle. En outre, les régles syntaxiques de 《Grammaire Coréenne》 ont été partiellement reconsidérées par Underwood dans son livre 《An Introduction to the Korean Spoken Language》 qui se voulait ê̂tre à la fois livre de grammaire et manuel de l’enseignement du coréen. En somme, durant cette période de premières études “linguistiques” exercées par les occidentaux sur la langue coréenne, 《Grammaire Coréenne》a joué un rôle de fondement de connaissances grammaticales chez les grammairiens qui ont donné l’imapcte le plus marquant sur l’établissement de la grammaire coréenne autochto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